$\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물을 달리한 구운 유과 반대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ugwabandagi with Different Additiv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3, 2015년, pp.492 - 501  

차경옥 (원광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  한은주 (한국폴리텍대학 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baked Yugwa 0.5, 1.0, 1.5 and 2.0% natural ind igestible materials,- (gellan gum, glucomannan and carrageenan) were each treated with glutinous rice-baked Yugwa was processed, and quality imprpvements were deducted. Baked Yugwa with natural additives,- (gellan gum, g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9) 관능평가

    관능검사는 유과의 기호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원광대학교 대학원생 20명을 패널로 선정하여 이들에게 실험의 목적과 평가방법 및 측정 항목을 잘 인지하도록 설명한 후, 공복감을 느끼는 시간을 피해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시료의 평가항목은 색(color), 향미(flavor), 단맛 (sweetness), 촉촉함(moistness), 씹힘성 (chew iness), 단단한 정도 (hard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preference)로 매우 나쁠 경우 1점, 매우 좋을 경우 9점으로, 평가는 9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Kim WJ & Koo GY 2001).

  • 호화된 찹쌀반죽을 성형하여 80℃에서 4시간 건조하였고, 건조된 반대기는 전분을 털어내고 각각의 반대기를 수분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첨가량에 따른 반대기를 각각 용기에 넣어 1일간 방치하였다. 굽기는 평형에 도달한 반대기에 대두유 10 g을 바른 후 7시간동안 공기가 차단된 용기에 보관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유과는 연탄불에 구웠으나, 본 실험에서는 Yang S et al(2008)의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원적외선 전기구이기를 이용하여 1단계 155℃, 2단계 165℃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는 16 rpm으로 하여 구웠다.
  • 기호도 조사는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등을 주요 항목으로 하여 제과업체 종사자 30명을 대상으로 9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Kim WJ & Koo GY 2001).
  • 0%(w/w)를 첨가하였고, 여기에 부재료인 대두즙과 막걸리를 첨가하여 찹쌀반죽을 제조하였다. 대두즙은 콩 200 g을 잘 씻어 물 500 mL에 불린 뒤 믹서기(Blender SMKANB-4000, Pungnyeongigye, Korea)에 갈아서 조리용 고운체에 콩물을 만들어 찹쌀가루의 3%, 막걸리는 1%를 첨가하여 증자 솥에 넣어 25분간 100℃의 온도로 증자하였고, 증자한 후 호화된 찹쌀반죽을 절편기(Millstone, Ohseongionghapgigye, Korea)에 넣어 꽈리치기를 20분하였다. 호화된 찹쌀반죽을 성형하여 80℃에서 4시간 건조하였고, 건조된 반대기는 전분을 털어내고 각각의 반대기를 수분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첨가량에 따른 반대기를 각각 용기에 넣어 1일간 방치하였다.
  • 본 연구는 유탕유과가 유지의 산패로 인한 품질 저하 및 저장기간 단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운 유과 제조 시 찹쌀에 비소화성 천연소재인 gellan gum 0.1%, 1.0%, 1.5%, 2.0%(w/w), glucomannan 0.1%, 1.0%, 1.5%, 2.0%(w/w), carra geenan 0.1%, 1.0%, 1.5%, 2.0%(w/w)을 첨가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과와 상품성이 우수한 첨가물을 찾기 위해 추가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시료의 평가항목은 색(color), 향미(flavor), 단맛 (sweetness), 촉촉함(moistness), 씹힘성 (chew iness), 단단한 정도 (hard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preference)로 매우 나쁠 경우 1점, 매우 좋을 경우 9점으로, 평가는 9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Kim WJ & Koo GY 2001).
  • 유과 내부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제조한 유과 시료를 carbon tape를 붙인 stub 위에 붙인 다음에 Au/Pd sputter coater (SC7640, polaron)를 이용하여 18 mÅ로 100초간 코팅한 다음, 주사현미경(s-3000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Co. Japan)을 이용하여 10 KV의 가속전압에서 표면 구조를 3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 유과의 조직감 측정은 준비한 유과 base를 NaNO3가 들어 있는 chamber(Aw:0.065)에서 24시간 방치하여 texture analy zer(TA-XT2, Stable Micro System Co.,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때의 측정조건은 Table 1과 같다.
  • 이상의 전통유과의 문제점 중에서 건조반대기를 팽화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액지(콩기름, 옥배유 등)대신 직화로 팽화를 하면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소비자의 필요에 부응하고 식품과학적 지향점에 부응하기 위해 직화 팽화 유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팽화율이 낮아 식감이 단단하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glucomannan, carrageenan, gellan gum을 첨가하여 농도별 첨가 효과를 검토하였다.
  • 이와 같은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여과액을 모두 합하여 분액 깔대기에 옮기고 소량의 증류수를 넣어 혼합한 후 ether층을 분리하였다. 이어 rotary vacuum evaporator로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총 지질을 구하였다.
  • 과산화물가는 시료 지질 3 g을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취하고 acetic acid : chloroform(3 : 2, v/v) 혼합용액 25 mL를 가하여 녹인 후 KI 포화용액을 1 mL를 넣고 1분간 흔들어 섞은 다음 10분간 암소에서 방치하였다. 이어 증류수 30 mL를 가하여 강하게 혼합한 후 1% 전분용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0.01N Na2S2O3 용액으로 무색이 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적정하였다(Cha SG et al 1999).
  • 찹쌀가루는 찹쌀 1 kg을 씻지 않고 20℃의 5배의 물에서 7일간 수침한 후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이 세척하고, 소금을 약간 넣어 분쇄기(Geinder, Dongkwangsaneopsa, Korea)에 30 mesh 크기로 3번 분쇄하였다. 첨가량에 따른 유과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gellan gum, glucomannan, carrageenan을 찹쌀가루 대비 0.5, 1.0, 1.5, 2.0%(w/w)를 첨가하였고, 여기에 부재료인 대두즙과 막걸리를 첨가하여 찹쌀반죽을 제조하였다. 대두즙은 콩 200 g을 잘 씻어 물 500 mL에 불린 뒤 믹서기(Blender SMKANB-4000, Pungnyeongigye, Korea)에 갈아서 조리용 고운체에 콩물을 만들어 찹쌀가루의 3%, 막걸리는 1%를 첨가하여 증자 솥에 넣어 25분간 100℃의 온도로 증자하였고, 증자한 후 호화된 찹쌀반죽을 절편기(Millstone, Ohseongionghapgigye, Korea)에 넣어 꽈리치기를 20분하였다.
  • 총 지질 함량은 시료 70∼100 g에 ether를 가하고 20분 간격으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 대두즙은 콩 200 g을 잘 씻어 물 500 mL에 불린 뒤 믹서기(Blender SMKANB-4000, Pungnyeongigye, Korea)에 갈아서 조리용 고운체에 콩물을 만들어 찹쌀가루의 3%, 막걸리는 1%를 첨가하여 증자 솥에 넣어 25분간 100℃의 온도로 증자하였고, 증자한 후 호화된 찹쌀반죽을 절편기(Millstone, Ohseongionghapgigye, Korea)에 넣어 꽈리치기를 20분하였다. 호화된 찹쌀반죽을 성형하여 80℃에서 4시간 건조하였고, 건조된 반대기는 전분을 털어내고 각각의 반대기를 수분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첨가량에 따른 반대기를 각각 용기에 넣어 1일간 방치하였다. 굽기는 평형에 도달한 반대기에 대두유 10 g을 바른 후 7시간동안 공기가 차단된 용기에 보관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유과는 연탄불에 구웠으나, 본 실험에서는 Yang S et al(2008)의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원적외선 전기구이기를 이용하여 1단계 155℃, 2단계 165℃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는 16 rpm으로 하여 구웠다.

대상 데이터

  • 찹쌀(2013년산), 콩(2013년산 고창군 대두), 대두유(해표식용유), 옥수수전분(곰표), 젤란 검,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주)한국카라겐을 2014년에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a∼c Means in row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d Means in row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g Means in row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significance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각 실험에서 얻은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SPSS 12.0 for windows, SPSS Inc.)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 평균값 간의 유의성은 P<0.05, P<0.01, P<0.001 수준으로 Duncan의 다중범위시험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수분함량은 AOAC 법(1990)에 따라 상압 가열건조법(105℃ dry oven)으로 실행하였다.
  • 유과바탕의 제조는 지역에서 시판 중인 유과 중에서 구워서 판매하는 제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다(Kim JM et al 2010). 찹쌀가루는 찹쌀 1 kg을 씻지 않고 20℃의 5배의 물에서 7일간 수침한 후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이 세척하고, 소금을 약간 넣어 분쇄기(Geinder, Dongkwangsaneopsa, Korea)에 30 mesh 크기로 3번 분쇄하였다.
  • 유과의 팽화율은 팽화 전후의 부피를 종자치환법(Lee SA et al., 2000)으로 3회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계산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유과 제조 및 조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에서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이상의 전통유과의 문제점 중에서 건조반대기를 팽화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액지(콩기름, 옥배유 등)대신 직화로 팽화를 하면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소비자의 필요에 부응하고 식품과학적 지향점에 부응하기 위해 직화 팽화 유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팽화율이 낮아 식감이 단단하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glucomannan, carrageenan, gellan gum을 첨가하여 농도별 첨가 효과를 검토하였다.
전통적인 유과 제조방법은? 강정 및 산자 또는 부수게, 과줄이라고 불리는 유과는 찹쌀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으로 찰기가 있고 쉽게 팽화하여 다공성 조직을 형성하므로 독특한 질감과 맛으로 인하여 명절 음식 및 의례용 음식에 이용하고 있으며, 후식이나 간식으로 선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Yang S et al 2008), 우리나라 지역의 특산품으로서 선물이나 관광 상품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전통가공 식품이다. 전통적인 유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담가 7∼10일 정도 삭힌 후 분쇄하여 콩물이나 막걸리 등을 넣고 혼합·증자한 후 반죽하여 반대기를 만들어 건조한 후, 기름에 튀기고 조청에 발라 고물을 묻히는 것이다(Yun SJ 2001). 그러나 유탕유과는 튀김 시 다공성이 되어 기름이 쉽게 침투하기 때문에 저장 중 유지의 산패로 인한 품질 저하 및 저장기간 단축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Park JN et al 2008).
유탕유과가 갖는 단점은? 전통적인 유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담가 7∼10일 정도 삭힌 후 분쇄하여 콩물이나 막걸리 등을 넣고 혼합·증자한 후 반죽하여 반대기를 만들어 건조한 후, 기름에 튀기고 조청에 발라 고물을 묻히는 것이다(Yun SJ 2001). 그러나 유탕유과는 튀김 시 다공성이 되어 기름이 쉽게 침투하기 때문에 저장 중 유지의 산패로 인한 품질 저하 및 저장기간 단축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Park JN et al 2008). 유탕유과는 저장 중에 산가와 과산화물가가 증가하게 되고,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감소하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가 증가된다고 보고되었으며(Lee YS et al 2003), 대형 매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과는 40일이 저장한계이고(Kim HS et al 2001), 30℃에서 저장할 때에는 4주 이상의 저장이 어렵다고(Jo MN & Jeon HJ 1985)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e HS, Lee YK, Kim SD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with citrus peel powder. J East Asian Soc Pietary Life 12: 388-396. 

  3. Cha SG, Gang GS, Ma SB, Bang KG, Oh MH (1999) Standard of Food Analytics. Jiju Cultral History. p336. 

  4. Choi YH, Yun EK, Kand MY (2000)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Yukwa(fried rice cookie) made by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East Asian Soc 10: 55-61. 

  5. Jo MN, Jeon HJ(1985) Effect of been water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ime of Yukwa paste and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Yukwa.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419. 

  6. Kim JM, Jeon YJ, Park HS, Song YA, Baek SH, Kim MK (2005) Effect of agar, sodium alginate and carrageenan on quality of Yugwa(Busuge) bas. Korean J Food Culture 20: 96-102. 

  7. Kim JM, Ewi LS (1985) Studies on busuge a preparation II effect of the addition of soy products on the quality of busu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28-736. 

  8. Kim JM, Han EJ, Cha kO (2010). Research study of Yokwa baking process a traditional desert originated from Jeon Buk Korea. J East Asion Soc Dietary Life 20: 402-414. 

  9. Kim HS, Kim SN (2001) Effect of addition of green tea power and Angelica keiskei pow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246. 

  10. Kim HS, Kim SN (2001) Effect of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and Angelica keiske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246-254. 

  11. Kim WJ, Koo GY (2001) Food Sensoy Examination. Hyungseul publisher. pp 68-76. 

  12.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 Fish Soc 33: 393-398. 

  13. Lee MH, Oh MS (2014) Quality charcteristics of Yukwa added with various suger alcohols. Korean J Food Culture 29: 428-436. 

  14. Lee SA, Kim CS, Kim HI (2000) Studies on the drying methods of GangJung pelle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 47-56. 

  15. Lee SH, Jang SY, Park MJ, Kim BK (2007)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zation of extrusion-puffed Yukw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69-377. 

  16. Lee YS, Jung Jo, Rhee co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fried with palm oil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60. 

  17. Lim KR, Lee KH, Kwak EJ, Lee YS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base and poppde rice for salyeotgangjung popped with sal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62-467. 

  18. Park GS, Lee GS, Sin YJ (2001)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Yukwa added safflower seed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Nutr 30: 1088-1094. 

  19. Park JN, Kweon SY, Kim JG, Park JG, Han IJ, Song BS, Kim JH, Byun MW, Lee JW (2008)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Korean fried rice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 37-42. 

  20. Seon KH (1995) Standardization of cooking method of Yukwa and of steeping process of glutinous rice. Desan Rural Culture 3: 224-250. 

  21. Shin DH, Choi U(1982) Shelf-life extension of Yukwa coil puffed rice cake by preventive pac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4. 

  22. Shin DH, Kim MK, Chang TK, Lee HY(1990) Shelf-life study of Yukwa(Korean traditional puffed rice snack) and substitution of puffing medium to air.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6. 

  23. Yang 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mugwort power using different puffing proces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40-348. 

  24. Yun SJ (2001) Korean Rice Cake, Cookies, Juice. Jiju Cultral History. pp.194-1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