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이 제초효과 및 과실생산에 미치는 영향
Weed Control Efficacy and Production of Fruit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s in an Apple Orchar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2, 2015년, pp.104 - 110  

장일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강지은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김향미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박용석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이정득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서상재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제초효과 및 과실 생산량, 약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처리는 부직포피복구,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 제초제(GFA, Glufosinate ammonium SL 18%) 2회 및 3회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두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반복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처리별 방제효과는 부직포피복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GFA 3회 처리 98.7%, 기계예초 95.1%, GFA 2회 처리 81.5%, 초생재배 5.8% 순이었다.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과실 생산량은 GFA 3회 처리 27.2 Kg으로 시험구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GFA 2회 처리 26.2 Kg, 기계제초구 25.3 Kg, 부직포피복구 24.1 Kg, 초생재배구 20.4 Kg, 무처리 13.3 Kg 순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잎, 과실에서 약해 발생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3 years in an apple orchar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glufosinate-ammonium (GFA) SL for weed control in comparison to non-woven fabric mulch, sod culture and machinery cutting treatments. Glufosinate-ammonium SL 18% was applied with 2 to 3 times, and the ext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사과원에서 안정적인 생산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초방법들과 glufosinate-ammonium의 처리횟수에 따른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제초 방법의 차이가 잡초의 생육 및 사과나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령화 농가의 노동력 절감 및 안전농산물 생산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재배 농가들이 초생재배를 위해 하는 것은? 현재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해 대부분 과원에서 초생재배가 실시되고 있다. 사과재배 농가들은 초생재배를 위해 연간 4~5회의 예초작업을 실시하거나, 오랜기간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피복재료로 토양멀칭을 실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예초작업에 의한 초생재배 등은 노동력, 비용, 시간에 대한 소모가 큰 데, 최근 농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제초제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Won et al.
사과의 품질이 좋은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조건은? 사과는 영년생 작물이며, 품질이 좋은 과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양·수분을 적절하게 공급 하면서 뿌리의 토양통기성을 좋게 하여 뿌리의 호흡을 원활하게 해야만 한다(Seo, 2008). 이에 사과재배 농가에서는 지표면의 잡초와 양수분 경합을 막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잡초제거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에서 규정한 제초제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는 우수농산물관리기준(농촌진 흥청 고시 제2009-18호)에 따라 농약관리법에 등록된 약제 사용이 가능함을 명시하고 있어 GAP 준수농가에서는 해당 작물에 등록된 제초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paraquat 의 등록이 취소되어 사용할 수 있는 제초제의 선택폭이 줄어 들어 사용되는 제초제는 glyphosate, sulfosate, glufosinate, bromacil 및 이들 중 일부 합제를 사용하고 있다(Chun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un, J.C., Lee, S.J., Lim, S.J. and Kim, S.E. 2000. Change in weed population in pear orchard by sequential applications of nonselective herbicides. Kor. J. Weed Sci. 20(1):39-45. (In Korean) 

  2. Cheong, D.C., Oh, J.M., Lim, H.C., Song, Y.J. and Kim, J.M. 2011. Effect of soil mulching materials and methods on weed occurring for the growth and flowering in Gypsophila paniculata cultivation. Flower Res. J. 19(1):15-21. 

  3.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pp. 1178-1195. 

  4. Kim, I.S., Kim, S.Y., Choi, C.D. and Choi, B.S. 2001. Effects of black polypropylene mulching on weed control and peach growth in peach orchard. J. Kor. Soc. Hort. Sci. 42:197-200. (In Korean) 

  5. Kim, Y.S., Jeon, Y.B., Choi, H.J., Kim, S.M. and Kim, S.M. 2006. Effects of glufosinate-ammonium to earthworms, soil microorganisms and crops. Kor. J. Pestic. Sci. 10(2):76-83. (In Korean) 

  6. Jang, I., Kim, H.M., Park, Y.S., Lee, J.D., Kim, S.M., et al. 2013.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pear tree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 in pear orchard. Kor. J. Weed Turf. Sci. 2(1):23-29. (In Korean) 

  7. Lee, I.Y., Kim, C.S., Moon, B.C., Park, J.E., Oh, S.M., et al. 2010. Suggestion of abbreviation for Korean weeds name. Kor. J. Weed Sci. 30(3):308-321. (In Korean) 

  8. Lee, I.Y., Park, J.E.,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1. Fact-finding survey on paddy, upland and orchard herbicides use at farmer's level. Kor. J. Pest. Sci. 21(1):58-64. (In Korean) 

  9. Lee, K.Y., Kim, S.K., Lee, J.W., Lee, Y.S, Lee, S.H., et al. 2013. Effects of yield and the grape growth each of weed control methods on at the vineyard in Chungbuk Province. Kor. J. Pest. Sci. 17(1):20-26. (In Korean) 

  10. Park, J.E., Lee, I.Y., Oh, S.M., Park, T.S., Kim, C.S.,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11.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Efficacy, toxicity herbicide trial procedure. Suwon, Korea. pp. 6-40. 

  12. Seo, B.S. 2008. Effect of soil mulching on soil,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apple. Korean M.S. Diss., Chonbuk National Univ., Jeonju, Korea. (Diss. Abstr. 631-8-15, In Korean) 

  13. U.S.EPA. 1988. Glufosinate ammonium: Review and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ies and environmental fate assessment. Submitted by Dynamic Corp. 55(9). 

  14. Won, T.J., Park, J.S., Kim, S.J. and Kim, H.D. 2013. Fact-finding survey on occurrence of weeds and herbicide usage for paddy rice cultivation in Gyeonggi Province, Korea. Kor. J. Weed Sci. 2(4):352-35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