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의 성과에 관한 연구 - 2010년~2013년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Evaluation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During 2010~2013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2, 2015년, pp.241 - 268  

차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도서관 운영 평가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 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기간(2009년~2013년) 가운데,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된 2010년 실적부터 2013년 실적까지 4년간의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규모를 기준으로 한 범주별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눈 지역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과 장서구성 등 내부 운영 역량 개선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격차는 개선되지 않았으며, 도서관 그룹 별로 투입 자원과 도달률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하여 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8,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has conducted 'Nation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and almost all of the public libra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on the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four years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에서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주의가 요구되는 이유는? 그러나 개별 공공도서관에 대한 기관 평가의 성격으로 진행되는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는 도서관마다 각기 다른 환경적 특성과 기관 내부의 여건을 평가에 적절이 반영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공공도서관의 경우 지역사회 환경과 인구 구성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이 도서관의 거의 모든 지표에 영향을 미침에도 이를 평가에서 적절히 반영하기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은 언제부터 시행되었고 어떤 도서관들이 참여하는가?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도서관 운영 평가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 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기간(2009년~2013년) 가운데,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된 2010년 실적부터 2013년 실적까지 4년간의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규모를 기준으로 한 범주별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눈 지역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의 추진 전략으로 국가 차원에서 실시한 전국의 공공 도서관 운영 평가의 결과를 종합, 분석하고 그 성과의 의미를 찾는데 목적이 있는데 어떤 연구 문제를 통해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가? 첫째, 공공도서관의 운영평가로 인해 도서관의 운영 및 서비스가 향상되었는가? 둘째,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의 향상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누적된 평가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규환, 남영준. 2008. 공공도서관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13-139.(Kim, Gyu-Hwan and Young-Joon Na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113-139.) 

  2. 김홍렬. 2013.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지표의 개선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77-95.(Kim, Hong-Ryul.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77-95.) 

  3.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서울: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09-2013.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4.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4-2018. 서울: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5.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08-2014.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2014. Report of Nation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6. 윤명희, 김기영. 2009.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유용성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2008년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중 공공도서관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221-245.(Yoon, Myung-Hee and Giyeong Kim.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usefulness of measures i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in the 2008 Korean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221-245.) 

  7. 이상복. 2009.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Lee, Sang-bok. 2009.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Korean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8. 이상복. 2012.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개선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Lee, Sang-bok.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dicators for Korean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9. 정현태. 2004. 공공도서관 관리운영평가 6년의 성과와 과제: 1998년-2003년 문화관광부 관리운영평가 결과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69-89.(Joung, Hyun-Tae. 2004. "Outcomes and probl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for Korean public libraries during 1998-2003."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69-89.) 

  10. 최재황, 차성종. 2012. 전국 공공도서관의 운영평가 분석에 관한 연구: 2011년도 운영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173-200.(Choi, Jae Hwang and Sung-Jong Cha. 2012. "Analysis of 2011 Korean public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173-200.) 

  11. Childers, Thomas A. and Van House, Nancy A. 1989. "The grail of goodness: the effective public library." Library Journal, 114(16): 44-49. 

  12. Childers, Thomas A. and Van House, Nancy. 1993. What's Good? Describing Your Public Library's Effectiveness.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3. Matthews, Joseph R. 2011. "Asses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s." Library Quarterly, 81(1): 83-110. 

  14. Orr, R. 1973. "Measuring the goodness of library services: a general framework for considering quantitative measures." Journal of Documentation, 29(3): 315-332. 

  15. Pinto, Leonor Gaspar. 2014. "Library performance continuum and the imperative of meta-evalu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atrics, 15(3): 86-98. 

  16. Van House, Nancy A. and Childers, Thomas A. 1994. "The use of public library roles for effectiveness evalu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6(1): 41-58. 

  17. White, Larry Nash. 2008. "Aligning library assessment processes to library's service environment; A conceptual model." Library Review, 57(7): 499-5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