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울릉도 연안산 해조류 넓미역 Undaria peterseniana의 서식 특성
Inhabit Features of a Brown Alga Undaria peterseniana in Coastal Area of Ulleung Island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3 = no.75, 2015년, pp.747 - 756  

윤성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wn alga Undaria peterseniana has been interested in the commercial scale aquaculture for warm water species development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However, this species was classified an endangered species caused by a decrease in habitat and natural population. In this study, inhabit cha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울릉도 주변 해역의 환경변화는 넓미역의 서식이 가능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울릉도 연안의 넓미역 서식 분포에 대한 기초 생태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의 넓미역 서식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연구로서 난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울릉도 주변 연안해역의 넓미역 서식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연안으로의 넓미역 가입과 생육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행하는 동해의 계절별 평균해류도를 참조하여 2011년과 2012년 가을철 울릉도 연안 해역의 해류 흐름을 비교하였다. 울릉도 연안의 수온변화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울릉도 조위관 측소에서 측정된 일일자료를 근거로 월별 평균값과 표준편자를 산출하여 매년 동일한 시기의 표층수온의 차이 비교 및 울릉도 연안의 장기간 수온변동 패턴은 분석하였다.
  • 1].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연안에서의 넓미역의 생육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해의 계절별 평균해류도를 참고하여 울릉도 주변 해역의 해류 흐름이 넓미역의 서식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넓미역은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종으로서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서 보호대상 해조류로 지정되어 일정기간 채취를 금지하고 있으며, 동해 연안에서는 서식처가 발견되지 않았던 종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넓미역의 서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과 2013년 울릉도 주변 연안해역의 넓미역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넓미역은 2012년 7월 경 울릉도 서쪽과 북쪽 연안의 20∼30m 수심에서 발견되었으며, 2013년에는 기존 정점을 포함하여 총 3개 정점에서 발견되어 2012년보다 서식범위가 확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갈조류 식물은 어디에 사용 되는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갈조류 식물은 식용뿐만 아니라 먹이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미역(Undaria pinnatifida, 감태(Ecklonia cava), 곰피(Ecklonia stolonifera), 대황(Eisenia bicyclis)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양식생물인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먹이로 사용되고 있다 (Migita, 1963; Yamanaka and Akiyama, 1993; Kang et al.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연안에서 넓미역이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이유는? 우리나라 넓미역의 분포 지역은 제주도 우도와 비양도, 가파도, 청산도의 수심 15m 부근으로 보고되었으나, 광범위하게 넓은 군락이 형성된 곳은 제주도 우도 지역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Kang, 1966; Lee and Koh, 1991; Lee, 1998). 그러나 본 종의 자연군락은 해마다 감소함에 따라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자원을 이용할 수 있어서 실험실 수준의 배양 실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연안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Hwang et al., 2011a).
넓미역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넓미역은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일본 남부 큐슈 서북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수온 25℃ 이상인 조건에서 성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igita, 1963). Kiriha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Yong-Kyu.Kim, Sang-Woo.Jeong Hee-Dong.Shim, Jeong-Min & Kwon, Kee-Young(2013). Coastal stratification induced by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pen sea in the East Sea on February, 20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9, 327-333. 

  2. Hwang, Eun-Kyoung.Gong, Yong-Gun & Park, Chan-Sun(2010).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endangered brown alga, Undariopsis peterseniana (Kjellman) Miyabe et Okamura, at Jeju Island, Korea: growth and maturatio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3, 63-68. 

  3. Hwang, Eun-Kyoung.Gong, Yong-Gun & Park, Chan-Sun(2011a). Cultivation of brown alga, Undariopsis peterseniana (Kjellman) Miyabe and Okamura, as a warm-temperature species by artificial seed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23, 449-455. 

  4. Hwang, Eun-Kyoung.Shim, Cheol-Hong.Ha, Dong-Soo.Gong, Yong-Gun & Park, Chan- Sun(2011b).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Undario- psis peterseniana for their mass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4, 155-161. 

  5. Hwang, Eun-Kyoung.Gong, Yong-Gun & Park, Chan-Sun(2012). Cultivation of a hybrid of free-living fametophytes between Undariopsis peterseniana and Undaria pinnatifida: morphological aspects and cultivation period,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24, 401-408. 

  6. Hwang, E.K..Gong, Yong-Gun.Hwang, Il-Ki.Park, Eun-Jeong & Park, Chan-Sun(2013). Cultivation of the two perennial brown algae Ecklonia cava and E. stolonifera for abalone feeds in Korea,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25, 825-829. 

  7. Kang, Jae-Won(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etin of Pusan Fisheries College 7, 1-125. 

  8. Kang, Jeong-Chan.Choi, Han-Gil & Kim, Myung-Sook(2011). Macroalgal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on Udo, Jeju Island, Korea, Algae 26, 333-342. 

  9. Kim, Kuh.Kim, Kyung-Ryul.Chung, Jung-Yul.Yoo, Hong-Sun & Park, Sang-Gap(1991).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Ulleung Basin,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6, 83-100. 

  10. Kim, Mi-Kyung.Shin, Jae-Ki & Cha, Jae-Hun(2004).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and whitening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Algae 19, 69-78. 

  11. Kirihara, Shinji.Nakamura, Toshiki.Kon, Naoto.Fujita, Daisuke & Notoya, Masahiro(2006). Recent fluctuations in distribution and biomass of cold and warm temperature species of Laminarialean algae at Cape Ohma, northern Honshu, Japan,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18, 521-527. 

  12. Lee, In-Kyu.Choi, Do-Sung.Oh, Yoon-Sik.Kim, Gwang-Hoon.Lee Jae-Wan.Kim, Kwang-Young & Yoo, Jong-Su(199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Chongsando Island o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Phycology 6, 131-143. 

  13. Lee, Yong-Pil(1998). Undariella, a new genus of the Alariace (Laminariales, Phaeophyta). Algae 13, 419-426. 

  14. Lee, Yong-Pil(2008). Marine algae of Jeju, Academy book 477p. 

  15. Luning, Klaus(1979). Growth strategies of three Laminaria species (Phaeophyceae) inhabiting different depth zones in the sublittoral region of Helgoland (North Se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 195-207. 

  16. Migita, Shunsuke(1963). Studies on ecology and culture of Undaria peterseniana, Bulletin of the Faculty of Fisheries Nagasaki University 15, 24-48. 

  17. Morita, Teruwo.Kurashima, Akira & Maegawa, Miyuki(2003).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the growth of young sporophytes of Undaria pinnatifida and Undaria undarioides (Laminariales, Phaeophyceae), Phycological Research 51, 266-270. 

  18. Otani, Koichiro & Nakamura, Takashi(1985). Coastal oceanography of Japanese Islands. Coastal Oceanography Research Committee, The Oceanographic Society of Japan (ed.)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pp. 145-154. 

  19. Rho, Tae-Keun.Kim, Yun-Bae.Park, Jeong-In.Lee, Yong-Woo.Im, Dong-Hoon.Kang, Dong-Ji.Lee, Tong-Sup.Yoon, Seung-Tae.Kim, Tae-Hoon.Kwak, Jung-Hyun.Park, Hyun-Je.Jeong, Man-Ki.Chang, Kyung-Il.Kang, Chang-Keun.Suh, Hae-Lip & Park, Myung-Won(2010). Plankton community response to physico-chemical forcing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during summer 2008, Ocean Polar Research 32, 269-289. 

  20. Suh, Young-Sang & Hwang, Jae-Dong(2005). Study on the cold mass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4, 945-935. 

  21. Yamanaka, Ryoichi & Akiyama, Kazuo(1993).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Undaria pinnatifida (wakame) as food,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5, 249-253. 

  22. Yoo, Sin-Jae & Park, Ji-Soo(2009). Why is the southwest the most productive reg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Journal of Marine Systems 78, 301-315. 

  23. Yoon, Hwan-Su.Lee, Ju-Yeon.Boo, Sung-Min & Bhattahcharya, Debashish(2001). Phylogeny of Alariaceae, Laminariaceae, and Lessoniaceae (Phaeophyceae) based on plastid-enclosed RuBis-Co spacer and nuclear-enclosed ITS squence comparisons, Molecular Phylogenics and Evolution 21, 231-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