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2 교차계획법에서 결측치가 있을 때의 결측치 처리 방법 비교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Single Imputation Methods in 2×2 Cross-Over Design with Missing Observation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3, 2015년, pp.529 - 540  

조보배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건강과학과) ,  김동재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건강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과학 분야에서 교차계획법은 임상시험을 통한 두 처리의 비교 검정에 이용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2{\times}2$ 교차계획법에서 2시기에 결측치가 발생했을 때 통상적으로 결측치가 발생한 개체를 삭제하고 모수적 검정을 한다. 하지만 소표본으로 진행되는 $2{\times}2$ 교차계획법에서 일부 관측치의 삭제가 통계적 분석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표본으로 이루어지는 $2{\times}2$ 교차계획법에서 2시기에 결측치가 발생했을 때 단순대체법들을 적용한 후 Hills-Armitage (1979)의 모수적 검정법과 Koch (1972)와 Kim (1999)이 제안한 비모수적 검정법들의 제 1종오류와 검정력을 몬테카를로 모의실험(Monte-Carlo simulation)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ross-over design is frequently used in clinical trials (especially in bioequivalence tests with a parametric method) for the comparison of two treatments. Missing values frequently take place in cross-over designs in the second period. Usually, subjects that have missing values are removed an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rizzle은 이 모형에서 두 처리의 직접 효과(treatment effect), 이월 효과(carry-over effect), 시기 효과(period effect)에 대한 검정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도 정규성 가정만을 포함하지 않고 직접 효과, 이월 효과, 시기 효과를 검정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표본으로 진행되는 2×2 교차계획법에서 MCAR 가정 하에 2시기에 결측이 발생하였을 때 결측치를 한 개의 값으로 대체하는 단순대체법들을 사용하여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이를 결측이 발생한 개체를 삭제하고 분석하는 Complete case analysis와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검정 실제로는 이월 효과가 없음을 검정하기 원하지만 시기 효과가 있는 경우에는 이월 효과가 없음을 검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시기 효과의 유무를 알 수 없으므로 두 약물의 이월효과가 같다는 가설을 검정한다. 식 (2.
  • 이월 효과의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채택할 경우에만 두 시기의 자료를 모두 이용한 처리 효과 검정(Treatment A)을 하며 이월 효과의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경우에는 첫 번째(Treatment B) 시기의 자료만을 이용하여 검정을 하였다. 시기 효과 검정의 경우 역시 이월 효과의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채택할 경우에만 이월 효과가 없다고 가정하고 시기 효과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고려하여 이월 효과의 차이가 없을 때 시기 효과의 차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이월 효과의 차이가 있을 때 시기 효과의 차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모의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립인 두 표본의 여러 가지 검정 법이 갖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두 가지 처리를 비교하는 방법은 독립인 두 표본의 여러 가지 검정 법들(two-sample test)이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각 개체의 치료 전 상태가 매우 다를 수 있고 또한 치료에 대한 반응 역시 매우 다를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두 가지 처리를 같은 개체에 교차시켜 적용하는 실험계획법을 교차계획법(cross-over design)이라 한다 (Kim, 1999).
평균대체법은 무엇인가? 평균대체법은 수집된 표본을 임의의 대체층으로 나누어 각 층내의 관측값들의 평균을 구하여 그 층의 모든 결측값에 평균을 대체하는 방법이다 (Lee, 2007). 평균대체법은 사용법이 간단하고 Complete case analysis에 비해 효율성이 향상되지만 통계량의 표준오차가 과소 추정되는 문제가 있다 (Yun, 2004).
평균대체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평균대체법은 수집된 표본을 임의의 대체층으로 나누어 각 층내의 관측값들의 평균을 구하여 그 층의 모든 결측값에 평균을 대체하는 방법이다 (Lee, 2007). 평균대체법은 사용법이 간단하고 Complete case analysis에 비해 효율성이 향상되지만 통계량의 표준오차가 과소 추정되는 문제가 있다 (Yu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en, J. and Shao, J. (2000). Nearest neighbor imputation for survey data,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16, 113-131. 

  2. Grizzle, J. E. (1965). The two-period change over design and its use in clinical trials, Biometrics, 21, 467-480. 

  3. Hills, A. V. and Armitage, P. (1979). The two-period cross-over clinical trial,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8, 7-20. 

  4. Kang, S. (2013). Medical Statistics Needed for Drug Development, 2nd edition, Free Academy. 

  5. Kim, D. (1999). Distribution-free tests for cross-over design data,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6, 151-157. 

  6. Koch, G. G. (1972). The use of none-parametric methods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period change over design, Biometrics, 28, 577-584. 

  7. Lee, N. (2007). A Study of Imputation Methods with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s Korea.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Bioequivalence test criteria. 

  9. Orban, J. and Wolfe, D. A. (1982). A class of distribution-free two-sample tests based on placement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7, 666-671. 

  10. Park, Y. and Song, H. (1998). Analysis of Repeated Measures and Cross-Over Design, Freeacademy. 

  11. Park, S., Lee, J., Choi, S., Yoon, M., Lee, J. and Choi, Y. (2004).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bioequivalence in 22 crossover design with missing observations,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34, 379-383. 

  12. Patel, H. I. (1965). Analysis of incomplete data in a two-period crossover design with reference to clinical trials, Biometrika, 72, 411-418. 

  13. Yun, S. (2004). Imputation of missing valu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37, 209-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