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택트렌즈의 재질별 각막부종의 비교
Comparison of Corneal Edema Induced by Material of Contact Len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2, 2015년, pp.151 - 156  

김기성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선경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태훈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콘택트렌즈를 권장착용시간 동안 착용한 후에 렌즈의 재질에 따라 발생하는 각막부종의 정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나 약물사용이 없는 성인남녀 43명 7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Narafilcon A, HEMA,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정기교체형 렌즈 3종의 렌즈를 사용하였다. 중심각막두께는 Pentacam을 사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8시간 착용 후를 측정하였다. 착용 전과 후의 차이 값으로 각막부종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결과: Narafilcon A, HEMA 재질의 렌즈,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정기교체형 렌즈의 평균 각막부종은 각각 $2.36{\pm}6.15{\mu}m(Mean{\pm}SD)$, $23.61{\pm}10.71{\mu}m$, $18.25{\pm}8.64{\mu}m$였다. Narafilcon A를 착용한 뒤 측정된 중심각막두께는 착용 전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EMA와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렌즈에서 착용 후에 유발된 각막부종은 그 정도에 있어 narafilcon A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정기교체형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 렌즈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양은 HEMA 재질의 렌즈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narafilcon A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재료의 조성에 따라 권장착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has been compared the degree of corneal edema arising from the material of the lens after wearing the recommended wearing time for the contact lens. Methods: For the study, 43 adults of 77 eyes who did not use drugs and have not any disease participated. Three types of lense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제품명, 회사명 등을 알 수 없도록 맹검법(masking) 처리를 시행한 뒤 무작위로 선택하여 대상자들에게 지급하였다. 대상자들은 기상한 뒤 2시간 이상 안경을 사용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하루착용시간 8시간을 착용한 후인 오후 6시~9시 사이에 렌즈를 제거한 즉시 검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 전에 측정하는 시간과 착용 후에 측정하는 시간은 동일하도록 일정을 조정하여 진행하였다.
  • 군 간의 결과를 토대로 어떤 군 간에 부종된 정도가 틀린지 세부 검정을 위해 Scheffe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종의 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집단군을 Homogeneous subset를 통해 확인하였다. p 값이 0.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3종류의 콘택트렌즈를 권장착용시간 동안 착용시킨 후 유발된 각막부종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콘택트렌즈의 착용 후에 유발된 각막부종의 정도는 렌즈의 재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의 중심각막두께는 숙련된 단일 검사자가 Pentacam(Oculus, Germany)을 이용하여 3회씩 시행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고, 측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Quality of speciality 창에 “OK”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였다.
  •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제품명, 회사명 등을 알 수 없도록 맹검법(masking) 처리를 시행한 뒤 무작위로 선택하여 대상자들에게 지급하였다. 대상자들은 기상한 뒤 2시간 이상 안경을 사용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하루착용시간 8시간을 착용한 후인 오후 6시~9시 사이에 렌즈를 제거한 즉시 검사를 진행하였다.
  • 되기 때문에 측정 대기 시에는 눈을 감도록 하여 산소유입으로 인한 각막부종의 회복을 방지하였다. 오른쪽 눈의 측정이 완전히 끝난 후 왼쪽 눈의 콘택트렌즈를 제거한 다음 오른쪽 눈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하이드로젤을 포함한 재질이 서로 다른 3종류의 콘택트렌즈를 권장착용시간 동안 착용시킨 후 각막부종의 유발과 각막부종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대상자들은 기상한 뒤 2시간 이상 안경을 사용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하루착용시간 8시간을 착용한 후인 오후 6시~9시 사이에 렌즈를 제거한 즉시 검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 전에 측정하는 시간과 착용 후에 측정하는 시간은 동일하도록 일정을 조정하여 진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시력교정 수술이나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사용경험이 없고, 각막과 안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이나 약물사용이 없으며 교정시력 1.0이상인 대상자 중 본 실험의 취지에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한 만19세~43세(27.82±7.56) 사이의 성인남녀 43명 77안(남 31안, 여 4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가운데 재질별로 1개 종류씩 사용하였다(Table 1). 연구에 사용된 콘택트렌즈의 주요사양은 제조사에서 제공된 사항을 주로 이용하였고, 제조사에서 제공한 정보가 없는 B와 C 콘택트렌즈의 Dk와 Dk/t는 ISO 18369-4:2006의 규정에 의하여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하였으며, 중심 두께는 ISO 18369-2:2006의 규정에 의하여 electronic thickness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동일군 내에서 착용 전후의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였고, 세 군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차이는 Kruskal-Wallis rank test를 시행하였다. 군 간의 결과를 토대로 어떤 군 간에 부종된 정도가 틀린지 세부 검정을 위해 Scheffe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종의 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집단군을 Homogeneous subset를 통해 확인하였다.
  • , USA)을 이용하였고,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세 군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전과 착용 후의 중심각막두께를 비교하였다. 동일군 내에서 착용 전후의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였고, 세 군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차이는 Kruskal-Wallis rank test를 시행하였다. 군 간의 결과를 토대로 어떤 군 간에 부종된 정도가 틀린지 세부 검정을 위해 Scheffe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0.0(IBM Corp., USA)을 이용하였고,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세 군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전과 착용 후의 중심각막두께를 비교하였다. 동일군 내에서 착용 전후의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였고, 세 군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차이는 Kruskal-Wallis rank test를 시행하였다.

이론/모형

  •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가운데 재질별로 1개 종류씩 사용하였다(Table 1). 연구에 사용된 콘택트렌즈의 주요사양은 제조사에서 제공된 사항을 주로 이용하였고, 제조사에서 제공한 정보가 없는 B와 C 콘택트렌즈의 Dk와 Dk/t는 ISO 18369-4:2006의 규정에 의하여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하였으며, 중심 두께는 ISO 18369-2:2006의 규정에 의하여 electronic thickness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의 장시간 착용이 유발하는 부정적인 면은? 콘택트렌즈의 착용은 각막부종을 유발한다.[1] 콘택트렌즈의 장시간 착용은 각막상피에 자극을 가해 눈물막에 이상을 가져오고, 저산소증으로 인한 내피의 기능부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눈에 불편함과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2] 또한 연속착용 콘택트렌즈의 착용은 일일착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보다 세균성 각막염의 위험을 10~15배 높인다고 보고되었다.
각막부종이 발생하게 되면 각막의 민감도가 저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각막부종은 콘택트렌즈를 제거한 직후부터 회복되기 시작하게 되는데,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각막부종이 발생하게 되면 각막의 민감도가 저하된다. 이는 저산소증으로 인한 각막부종이 지각 신경지를 압박하여 부분적 마비 상태를 일으켜 각막민감도를 감소시킨다고 하였다.[14] 또다른 연구에서 콘택트렌즈 착용기간이 길어질수록 각막 민감도는 유의하게 감소(p<0.
대한안경사협회에서 제시한 콘택트렌즈의 하루 권장착용시간은? 콘택트렌즈의 재질은 각막부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하이드로젤 재질의 콘택트렌즈는 각막이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투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산소부족으로 인한 부작용 예방을 위해 대한안경사협회는 콘택트렌즈의 하루 권장착용시간을 8시간으로 제시하고 있다.[8] 이에 비해 산소투과도가 높은 재질인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는 각막과 콘택트렌즈 사이에 존재하는 누액의 산소량을 미착용 수준으로 증가시켜 각막부종을 감소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aHood D, Sweeney DF, Holden BA. Overnight corneal edema with hydrogel rigid gas-permeable and silicone elastomer contact lenses. Int Contact Lens Clinic. 1988;15:149-153. 

  2. Joo CK, Doh HJ. Effect of aging and soft contact lens wearing on the change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J Korean Ophthalmol Soc. 1999;40(2):330-337. 

  3. Liesegang TJ. Contact lens-related microbial keratitis: part I : epidemiology. Cornea. 1997;16(2):125-131. 

  4. Kim JH, Song JS, Hyon JY, Chung SK, Kim TJ.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0-31. 

  5. Kim KT, Kim KS, Nam SK. The effect of corneal edema on corneal topography. J Korean Ophthalmol Soc. 1996;37(10):1590-1594. 

  6. Klyce SD. Stromal lactate accumulation can account for corneal oedema osmotically following epithelial hypoxia in the rabbit. J Physiol. 1981;321(1):49-64. 

  7. Nguyen T, Soni PS, Brizendine E, Bonanno JA. Variability in hypoxia-induced corneal swelling is associated with variability in corneal metabolism and endothelial function. Eye Contact Lens. 2003;29(2):117-125. 

  8. Korean Optometric Assocoation. Precautions of wearing contact lenses, 2013. http://www.optic.or.kr/Cate_02/content.asp?ref601&step1&board_idnotice(30 April 2015). 

  9. Kim JD, Yoon JH. Mastering of contact lens, 1st. Seoul: Doing media, 2012:71. 

  10. Woo CM. The changes of corneal shape by contact lens materials. MA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14;23. 

  11. Vincent SJ, Alonso-Caneiro D, Collins MJ. Corneal changes following short-term miniscleral contact lens wear. Cont Lens Anterior Eye. 2014;37(6):461-468. 

  12. Mah KC. The overnight corneal swelling induced by extended contact lens wear. Eulji University Annual Bulletin. 1996;16:137-144. 

  13. Park KS. Corneal thickness variation and consistency according to daytime. MA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1999;6. 

  14. Hales RH. Contact lenses: A clinical approach to fitting. 2nd Ed. Baltimore: The Williams & Willkins Co., 1982;13-14. 

  15. Kim HK. The changes of corneal sensitivity with daily wear soft contact lenses according to duration in myopic patient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1;10. 

  16. Dixon JM. Ocular changes due to contact lenses. Am J Ophthalmol. 1964;58(3):424-443. 

  17. Park SJ, Lee SM, Kim MK, Han YK, Wee WR, Lee JH. Cosmetic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9 ca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6):927-935. 

  18. Bruce A. Local oxygen transmissibility of disposable contact lens. Cont Lens Anterior Eye. 2003;26(4);189-196. 

  19. Hamano H, Maeda N, Hamano T, Mitsunaga S, Kotani S. Corneal thickness change induced by dozing while wearing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Eye Contact Lens. 2008;34(1):56-60. 

  20. Kim KS, Kim SK, Kim HJ. The survey on its wearing schedule of workers wearing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1):43-49. 

  21. The Korea Optical News. Note the silicone hydrogel lens growing rapidly, 2013.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34(30April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