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생태학적 특성이 조류출현에 미치는 영향 -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
Effects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Bird Appearance -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3, 2015년, pp.287 - 299  

김범수 (부산발전연구원) ,  여운상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오동하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새도래지로서 기능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하게 낙동강 하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류서식지의 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하구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조류서식지를 갈대, 갯벌, 경작지, 담수개방수면, 사주, 수변림, 새섬매자기, 수로, 인공물, 초지, 해수 기수개방수면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총 11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12개 조사권역으로 구분하여 서식지 및 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주요 조류 서식지 중 갯벌, 인공물, 경작지, 갈대 등 4개의 유형이 전체 육역 면적의 약 80%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인공물과 경작지의 비율이 높아 대상 지역이 인간의 간섭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수와 밀도는 서낙동강, 삼락둔치, 맥도강, 대저수문 등에서 크게 나타나 이들 지역에서 서식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다. 관찰된 조류의 총 종수와 개체수는 조사면적과 서식지를 구성하고 있는 서식지의 유형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서식지 관리에 있어서 충분한 면적의 확보 특히 새섬매자기 서식지의 보존이 중요하며,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시 낙동강하구를 찾는 조류 개체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가 철새서식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서식지의 보존 정책이 먼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o be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consider bird habitat requirements, especially given that the area serves as an important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his study, bird habitat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classified into 11 diff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Jeong, 2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철새도래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낙동강 하구의 주요 조류서식지에 대한 유형 분류 및 경관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낙동강 하구의 조류서식지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낙동강 하구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결과는 중요 조류 서식지의 양적 또는 구조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발압력에 노출되어 있는 낙동강 하구에서의 잠재적 사업들이 조류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향후 환경영향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개발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낙동강 하구의 주요 서식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낙동강 하구의 주요서식지를 갈대, 갯벌, 경작지, 담수개 방수면, 사주, 수변림, 새섬매자기, 수로, 인공물, 초지, 해수·기수개방수면 등 총 11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12개의 조사권역에 대하여 서식지 및 경관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 i번째 서식지 유형의 면적(Ai)을 전체면적(TA)으로 나눈 값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조사권역별 실제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서식지의 양적 구성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식지 유형별 면적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유형별 면적 구성비에 대한 분석도 함께 하였다. 유형별 면적의 구성비에 대한 분석은 수역을 포함한 전체 서식지의 면적 비와 수역을 제외한 육역에 대한 구성비를 따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는데 이는 실제 토지이용 변화나 개발 압력이 주로 육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육역이 서식지관리의 주 대상지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하구가 훼손되고 변형된 이유는? 낙동강이 남해와 만나는 기수역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한때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로 알려졌으며 그 중요성 때문에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환경보전지역, 문화재보호법의 문화 재구역, 습지보전법의 습지보호지역, 해양오염방지법의 특별관리해역 등 4개의 법으로 보호하고 있다 (Busan Metropolitan City, 2011). 하지만 일원화 되지 않은 법적 관리체계와, 낙동강 중상류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유입, 낙동강하굿둑의 건설을 시작으로 공단 및 주거단지조성, 도로 및 교량 건설과 4대강 사업 등 지속적인 개발에 의해 이미 많은 지역이 훼손 또는 변형되어, 지속적인 철새 서식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간과할 수 없는 형편이다. 서식지는 생물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필요한 자원, 조건 및 모든 주변적 요인과 환경요인을 포함한다(Hall et al.
낙동강하구가 중요한 이유는? 낙동강하구는 국가간 또는 대륙간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들의 기착지와 겨울새의 월동지 및 여름새의 번식지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Hong, 2004). 낙동강이 남해와 만나는 기수역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한때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로 알려졌으며 그 중요성 때문에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환경보전지역, 문화재보호법의 문화 재구역, 습지보전법의 습지보호지역, 해양오염방지법의 특별관리해역 등 4개의 법으로 보호하고 있다 (Busan Metropolitan City, 2011).
낙동강하구의 위치는? 낙동강하구는 국가간 또는 대륙간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들의 기착지와 겨울새의 월동지 및 여름새의 번식지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Hong, 2004). 낙동강이 남해와 만나는 기수역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한때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로 알려졌으며 그 중요성 때문에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환경보전지역, 문화재보호법의 문화 재구역, 습지보전법의 습지보호지역, 해양오염방지법의 특별관리해역 등 4개의 법으로 보호하고 있다 (Busan Metropolitan City, 2011). 하지만 일원화 되지 않은 법적 관리체계와, 낙동강 중상류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유입, 낙동강하굿둑의 건설을 시작으로 공단 및 주거단지조성, 도로 및 교량 건설과 4대강 사업 등 지속적인 개발에 의해 이미 많은 지역이 훼손 또는 변형되어, 지속적인 철새 서식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간과할 수 없는 형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한수, 오충현. 2011.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경관생태학적 접근, 농촌계획 17(3), 1-13.(Kim HS, Oh CH. 2011.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s based on Landscape Indices-Focusing on Landscape ecological aspects, Rural Planning, 17(3), 1-13.) 

  2. 노백호, 윤정호, 최준규, 이석원, 서현지.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Rho B, Yoon J, Choi J, Lee S, Seo H. 2010. Habitat evaluation strategy for legally protected wildbird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박찬열, 이우신. 2002. 농촌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22-33.(Park CY, Lee WS. 2002. Effects of fragmentation on the bird community in agricultural landscap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6(1), 22-33.) 

  4. 부산광역시. 2000. 낙동강하구 일원 환경관리기본 계획 철새도래지 생태계 조사.(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0. Environment management general planning for Nakdong River Estuary.) 

  5. 부산광역시. 2002.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 연구.(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2.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6. 부산광역시. 2004.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4.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7. 부산광역시. 2005.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5.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8. 부산광역시. 2006.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6.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9. 부산광역시. 2007a.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7a.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10. 부산광역시. 2007b. 비오톱지도 제작을 통한 낙동강하구 일원 자연환경보전종합계획.(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7b. Environment management general planning for Nakdong River Estuary using biotop mapping.) 

  11. 부산광역시. 2008.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8.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12. 부산광역시. 2009.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09.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13. 부산광역시. 2010.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10.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14. 부산광역시. 2011.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Busan Metropolitan City(BMC). 2011.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15. 성기준. 2006. 을숙도 및 낙동강하구의 갈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Sung K. 2006. Research on Phragmities control measures in Eulsukdo and Nakdong river estuary, Environment Busan 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16. 유승화, 이기섭, 박종화. 2012. 조류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166(2), 247-256.(Yoo S, Lee K, Park C. 2012.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s(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6(2), 247-256.) 

  17. 이용민, 여운상, 성기준. 2013.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의 초기밀도, 생테량과 괴경량의 관계, 한국습지학회지, 15(1), 9-17.(Yi YM, Yeo US, Sung K. 2013. Relationship of initial density, biomass and tuber productivity of Scirpus planiculm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Wetland Research, 15(1), 9-17.) 

  18. 이용민, 오동하, 여운상, 성기준. 2011,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의 연간변동과 환경특성, 한국습지학회지, 13(3), 567-579.(Yi YM, Yeo US, Oh DH, Sung K. 2011. Annual changes in Scirpus planiculmi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Wetland Research, 13(3), 567-579.) 

  19. 정성은. 2001. 해안 간척지에서의 조류서식처 복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Jeong S. 2001. Study on habitat restoration for birds in reclaimed tideland: focus on the habitat infrastructure for waterfowls in Taeho reclaimed tidelan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정용현, 성기준, 강대석, 이석모, 박소영. 2008. 을숙도 생태공원내 서식지별 환경요인과 갈대 분포 특성, 환경복원녹화, 11(3), 50-61.(Chung Y, Sung K, Kang D, Lee S, Park S. 2008. Environmental factors and Phragmites distribution at various habitats in Eulsukdo ecologic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3), 50-61.) 

  21. 조용현. 2000. 경관지수를 이용한 지역생태계 평가, 환경영향평가, 9(4), 349-362.(Cho Y. 2000. Evaluation of regional ecosystem by landscape ecological measure - Case study in Yongin City-, Korean Journal of Impact Assessment, 9(4), 349-362.) 

  22. 최창용, 남현영, 허위행, 이우신, 김현중, 황근연. 2006. 온대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산림성 조류의 가장자리 선호도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9(3), 191-203.(Choi C, Nam H, Hur W, Lee W, Kim H, Hwang G. 2006. Edge preference of forestdwelling birds in temperate decidous forest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3), 191-203.) 

  23. 홍순복. 2004.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7(5), 269-281.(Hong S. 2004. Properties of bird community by region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Ecology, 27(5), 269-281.) 

  24. Carrara E, Arroyo-Rodriguez V, Vega-Rivera JH, Schondube JE, de Freitas SM, Fahrig L. 2015. Impact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n forest specialist and generalist bird species in the fragmented Lacandona rainforest, Mexico, Biological Conservation, 184, 117-126. 

  25. Forman RTT. 1995. Land mosaic: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6. Hall LS, Krausman PR, Morrison ML. 1997. The habitat concept and a plea for standard terminology, Wildlife Society Bulletin, 5, 173-182. 

  27. Mcgarigal K, Marks BJ.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351,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Portland, Oreg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