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지화학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irpus planiculmis Habitats in Nakdong Estuary,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2, 2019년, pp.125 - 131  

김윤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강정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최재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박찬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하구개발로 인해 수리 및 지형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는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개체수 감소 원인 파악을 위해 6개 정점에서 2018년 6월과 8월에 약 30cm의 주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으로 매우 조립하였으며, 평균 염분은 6월 $17.8{\pm}1.12psu$, 8월 $18.4{\pm}1.83psu$였다. 을숙도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3}C$)는 평균 $-24.7{\pm}0.59$‰로 하구기원 입자성 유기물 특성을 보였다. 표층(0~1cm)에서 ${\delta}^{13}C$는 -24.0 ~ -22.6‰로 새섬매자기 뿌리와 줄기의 ${\delta}^{13}C$($-25.2{\pm}0.05$‰) 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해양 유기물의 유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하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이 비식생 지역과 거의 동일함을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조립하고 염분이 15 psu 이상으로, 새섬매자기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낙동강 염분 상승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구 염분 상승이 새섬매 자기 생산량의 점진적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kdong Estuary has experienced hydraulic and topographic changes over the last century, which have had negative effect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The population of Scirpus planiculmis, a major food plant for wintering birds in Nakdong Estuary, has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To id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개체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섬매자기 군락이 감소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새섬매자기 서식지와 비서식지를 선정하여 탄소안정동위원소비를 비롯한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및 환경인자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명지와 을숙도의 새섬매자기 군락지와 비식생 지역의 퇴적물 지화학 특성을 통해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생산량 회복이 되지 않는 원인을 알아보았다.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인 조립한 입도를 보였으며, 평균 퇴적물 염분은 6월 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에서 새섬매자기는 무엇의 주요 먹이원인가? , 1997). 낙동강 하구에서 새섬매자기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이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Kim et al.
해외에서 새섬매자기를 비롯한 하구 먹이식물 생산량과 이를 섭취하는 생물 개체수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새섬매자기를 비롯한 하구 먹이식물 생산량과 이를 섭취하는 생물 개체수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해외에서는 Scirpus spp. (Bolboschoenus spp.)의 서식분포(Lubke, 1982; Edwards, 1992) 및 형태(Coops et al.,1996), Scirpus spp.와 이를 섭식하는 오리 및 어류 간의 상관관계(Amat, 1995; Bakker et al., 1999), Scirpus spp.의 염분 및 수심에 대한 적응력(Coops et al., 1994, 1996)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국내에서는 새섬매자기의 생체량 변화와 조류 개체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새섬매자기는 어디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는 내염성이 있는 다년생 사초과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염도가 낮은 염습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ang et al., 1978;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JB, Bate, GC (1995). Ecological implications of tolerance of salinity and inundation by Spartina maritima, Aquat. Bot., 52, pp. 183-191. DOI: https://doi.org/10.1016/0304-3770(95)00496-3 

  2. Amat, JA (1995). Effects of wintering greylag geese Anser anser on their Scirpus food plants, Ecography, 18(2), pp. 155-163. DOI: https://doi.org/10.1111/j.1600-0587.1995.tb00336.x 

  3. Bakker, L, Van der Wal, R, Esselink, P and Siepel, A (1999). Exploitation of a new staging area in the Dutch Wadden Sea by greylag geese Anser anser: the importance of food-plant dynamics, Ardea, 87, pp. 1-13. 

  4. Barko, JW and Smart, RM (1978). The growth and biomass distribution of two emergent freshwater plants, Cyperus esculentus and Scirpus validus, on different sediments, Aquatic Botany, 5, pp. 109-117. DOI: https://doi.org/10.1016/0304-3770(78)90054-2 

  5. Blossfeld, S (2013). Light for the dark side of plant life:-Planar optodes visualizing rhizosphere processes, Plant and soil, 369(1-2), pp. 29-32. DOI: http://dx.doi.org/10.1007/s11104-013-1775-0 

  6. Coops, H, Geilen, N, & van der Velde, G (1994). Distribution and growth of the helophyte species Phragmites australis and Scirpus lacustris in water depth gradients in relation to wave exposure, Aquatic Botany, 48(3-4), pp. 273-284. DOI: https://doi.org/10.1016/0304-3770(94)90020-5 

  7. Coops, H, van den Brink, FW and Van Der Velde, G (1996). Growth and morphological responses of four helophyte species in an experimental water-depth gradient, Aquatic Botany, 54(1), pp. 11-24. DOI: https://doi.org/10.1016/0304-3770(96)01025-X 

  8. Edwards, GS (1992). Root distribution of soft-stem bulrush (Scirpus validus) in a constructed wetland, Ecological Engineering, 1, pp. 239-243. DOI: https://doi.org/10.1016/0925-8574(92)90005-M 

  9. Esselink, P, Helder, GJF, Aerts, BA and Gerdes, K (1994). The impact of grubbing by greylag geese on the vegetation dynamics of the tidal marsh in the Ems Dollard estuary, Ophelia-Supplements, (6), pp. 348-348. 

  10. Fredrickson, LH and Reid, FA (1988). Nutritional values of waterfowl foods. Waterfowl management handbook, Fish and Wildlife Leaflet 13. 

  11. Hinsinger, P, Plassard, C, Tang, C and Jaillard, B (2003). Origins of root-mediated pH changes in the rhizosphere and their responses to environmental constraints: a review. Plant and soil, 248(1-2), pp. 43-59. DOI: https://doi.org/10.1023/A:1022371130939 

  12. Kasai, A and Nakata, A (2005). Utilization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by the bivalve Corbicula japonica estimated from stable isotope analysis, Fisheries Science, 71, pp. 151-158. DOI: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5.00942.x 

  13. Kim, GY, Lee, CW, Yoon, HS and Joo, GJ (2005). Changes of Distribution of Vascular Hydrophyt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Growth Dynamics of Schenoplectus triqueter, Waterfowl Food Plant, Korean J. Ecol., 28(5), pp. 335-345. [Korean literature] DOI: https://doi.org/10.5141/JEFB.2005.28.5.335 

  14. Koop-Jakobsen, K, Mueller, P, Meier, RJ, Liebsch, G and Jensen, K (2018). Plant-sediment interactions in salt marshes-an optode imaging study of $O_2$ , pH, and $CO_2$ gradients in the rhizosphere, Frontiers in plant science, 9. DOI: 10.3389/fpls.2018.00541 

  15. Lee, KS, Han, GH, Park, SH and Choi, SY (1991). Growth Habits of Scirpus planiculmis F. Schmidt in Poldered Paddy Field. Korean J. of weed science, 11(2), pp. 111-116. [Korean literature] 

  16. Lenzewski, N, Mueller, P. Meier, RJ, Liebsch, G, Jensen, K and Koop-Jakobsen, K (2018). Dynamics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rhizospheres of Lobelia dortmanna-a planar optode study of belowground gas exchange between plants and sediment, New Phytologist, 218(1), pp. 131-141. DOI: https://doi.org/10.1111/nph.14973 

  17. Lillebo, AI, Pardal, MA, Neto, JM and Marques, JC (2003). Salinity as the major factor affecting Scirpus maritimus annual dynamics: evidence from field data and greenhouse experiment, Aquatic Botany, 77(2), pp. 111-120. DOI: https://doi.org/10.1016/S0304-3770(03)00088-3 

  18. Lim, B, Ki, B and Choi, JH (2009). A Study on the Biogeochemistry of the Sedi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31(10), pp. 839-844. [Korean literature] 

  19. Lubke, RA and Avis, AM (1982).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Scirpus nodosus plants in a dune slack community, South African J. of Botany, 1, pp. 97-103. DOI: https://doi.org/10.1016/S0022-4618(16)30157-7 

  20. Busan Metropolitan City. (2014). Monitoring of Bolboschoenus planiculmis at restored sites on Eulsuk Island. [Korean literature] 

  21. Mucha, AP, Almeida, CMR, Bordalo, AA and Vasconcelos, MTS (2005). Exudation of organic acids by a marsh plant and implications on trace metal availability in the rhizosphere of estuarine sedimen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5(1-2), pp. 191-198. DOI: https://doi.org/10.1016/j.ecss.2005.06.007 

  22. Shepherd, RG (1989). Correlations of permeability and grain size, Groundwater, 27(5), pp. 633-638. DOI: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9.tb00476.x 

  23. Shin, WS, Aikawa, Y and Nishimura, O (2012).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in Nanakita Estuarine Tidal Flat: Estimation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Origin by Stable Isotope and Fatty Aci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17(2), pp. 77-82. DOI: https://doi.org/10.4491/eer.2012.17.2.077 

  24. Shon, YG, Choi, SH, Kim, SR, Park, EJ, Park, DM and Lee, JJ (2003).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Alteration of Inorganic Ion and Soluble Amino Acid Level in Sea Club Rush and Rice Seedlings, Kor. J. Wee Sci., 23(4), pp. 343-350. [Korean literature] 

  25. Yang, HK and Kim, OK (1992).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n tuber germination in Scirpus maritimus L., Korean J. Ecol., 15(2), pp. 127-135. [Korean literature] 

  26. Yang, HS, Chun, JC and Moon, YH (1978). Control of Perennial Weed Scirpus maritimus L. in Reclaimed Paddy Fields of West Seashore - I. Distribution of S. maritimus, Korean J. of Crop Science, 28(3), pp. 255-263. [Korean literature] 

  27. Yeo, US (2009).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cirpus planiculmis, Strategy Seminar for Preservation of Salt Marsh Ecosystem, pp. 43-45. [Korean literature] 

  28. Yi, YM, Yeo, US and Sung, K (2014). Soil properties of barrier island habitat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of Wetlands Research, 16(3) pp. 355-362. [Korean literature] DOI: https://doi.org/10.17663/JWR.2014.16.3.355 

  29. Yi, YM, Yeo, US, Oh, DH and Sung, K (2011). Annual Changes in Scirpus planiculmi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567-579. [Korean literature] DOI: https://doi.org/10.17663/JWR.2011.13.3.567 

  30. You, YH (2008). Population decline cause of Scirpus planiculmis and its restoration plan in Han River Wetland Conservation Area, South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10(2), pp. 165-172.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