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따른 어류상 분포 특성
Distribution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Shallow Wetland by Environmental Variabl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3, 2015년, pp.391 - 400  

최종윤 (국립생태원) ,  조현빈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성기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라긍환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분포와 종 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2년 봄철(5~6월)에 경상남도에 위치한 24개의 습지에서 이화학적 요인, 수생식물, 어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0종의 어류가 동정되었으며, 잉어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요인 및 수생식물 생물량은 조사 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특히 수생식물 생물량은 어류 풍부도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df=1, F=32.00, P=0.001). 조사 지점간에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 지점들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또한 수생식물 생물량에 대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습지에서는 검정우럭과 어류인 블루길에 의해서 우점되었으며, 그 외 어류 군집은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두 번째 집단은 주로 잉어과 어류인 붕어가 우점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에 속한 습지에서는 첫 번째 집단과 비슷하게, 블루길이 우점하였으나, 다른 어류 종 또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얕은 습지에서 어류 군집의 분포와 종 다양성은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의해 강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생식물의 높은 생물량은 어류의 높은 풍부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새롭게 조성할 때 수생식물의 적절한 식재는 어류의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어류가 수생태 먹이망 내에서 최상위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먹이망의 건강성 유지에도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shallow wetlands that might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crophytes biomass, and fish assemblage in 24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from May to June, 2012. I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얕은 습지에서 어류의 종 조성과 분포를 조사하고, 수생식물의 생물량을 포함한 환경 요인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수생식물의 생물량이 어류 군집에 분포와 종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각 습지마다 수생식물의 생물량 및 우점종이 다르며, 이와 같은 차이는 어류 종조성이나 분포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얕은 습지에서 어류의 종 조성과 분포를 조사하고, 수생식물의 생물량을 포함한 환경 요인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수생식물의 생물량이 어류 군집에 분포와 종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 2011), 그래서 여름과 가을에는 강우에 대한 영향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강우량을 제외한 다른 요인과 상호작용을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수생식물 등의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종 조성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수환경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조성되는 봄 시기(5~6월, 2012)에 각 습지에서 한번씩 조사를 수행하였다.
  • 각 습지마다 수생식물의 생물량 및 우점종이 다르며, 이와 같은 차이는 어류 종조성이나 분포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이러한 어류의 분포 특성을 해당 습지의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비교하여 수생식물의 생체량이 어류의 먹이원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생식물에 대한 어류 포식의 영향이 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예시는? 그러나, 수생식물에 대한 어류 포식의 영향은 종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블루길과 같은 검정우럭과 어류의 경우 식생대 내에서도 활발한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rowder and Cooper, 1982; Paukert and Willis, 2002). 그러나 식생대의 복잡한 구조 안에서는 블루길을 포함한 어류의 포식 활동은 현저하게 감소하며, 어류의 과도한 먹이 섭식을 제한하기 때문에 먹이원의 고갈을 방지하고 유지를 도울 수 있다(Dionne and Folt, 1991; Casatti et al.
생태계로서 습지에 대한 인식은? 습지는 육상생태계와 수 생태계의 중간에 위치하는 전이지대이며, 매우 중요한 서식처로서 인식되고 있다(Denny, 1994). 특히, 이러한 환경에서는 얕은 수심으로 인해 빛이 충분하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가 풍부하게 제공되므로, 수생식물이 성장하기에 적당하다.
수생식물의 기능은? , 2008), 다양한 동물들을 위한 서식처로서 활용된다(Wolcox and Meeker, 1992). 또한 수생식물은 포식자를 회피하기 위한 피난처로서의 기능도 가지며, 이와 같은 효과는 주로 플랑크톤이나 치어 등의 작은 동물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Dionne and Folt, 1991; Lauridsen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inson, M.M., A.E. Lugo and S. Brown(1981) Primary productivity, decomposition and consumer activity in freshwater wetlands. Annu. Rev. Ecol. Syst. 12: 123-161. 

  2. Burks, R.L., D.M. Lodge, E. Jeppesen and T.L. Lauridsen(2002)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zooplankton: costs and benefits of inhabiting the littoral. Freshwater Biol. 47: 343-365. 

  3. Casatti, L., H.F. Mendes, K.M. Ferreira(2003) Aquatic macrophytes as feeding site for small fishes in the Rosana Reservoir, Paranapanema River, Southeastern Brazil. Brazilian Journal of Biology 63: 213-222. 

  4. Choi, J.Y., G.H. La, S.K. Kim, K.S. Jeong and G.J. Joo(2013) Zo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aquatic plants zone: Influence of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in accordance with aquatic plants cover and types. KJEE 46: 86-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Y., K.S. Jeong, G.H. La and G.J. Joo(2014a) Effect of removal of free-floating macrophytes on zooplankton habitat in shallow wetland. Knowl. Manag. Aquat. Ecosyst. 414, 11. 

  6. Choi, J.Y., K.S. Jeong, G.H. La, H.W. Kim, K.H. Chang and G.J. Joo(2011) Inter-annual variability of a zooplankton community: the importance of summer concentrated rainfall in a regulated river ecosystem. J. Ecol. Field Biol. 34: 49-58. 

  7. Choi, J.Y., K.S. Jeong, G.H. La, S.K. Kim and G.J. Joo(2014b) Sustainment of epiphytic microinvertebrate assemblage in relation with different aquatic plant microhabitats in freshwater wetlands (South Korea). J. Limnol. 73: 11-16. 

  8. Choi, J.Y., K.S. Jeong, S.K. Kim, G.H. La, K.H. Chang and G.J. Joo(2014c) Role of macrophytes as microhabitats for zooplankton community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Eco. Inform. 24: 177-185. 

  9. Choi, J.Y., S.K. Kim, G.H. La, K.S. Jeong, H.W. Kim, T.K. Kim and G.J. Joo(2012)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Korea J. Limnol. 45: 329-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rowder, L.B. and W.E. Cooper(1982) Habitat structural complexit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luegills and their prey. Ecology. 63: 1802-1813. 

  11. Denny, P.(1994) Biodiversity and wetlands. Wetl. Ecol. Manag. 3: 55-61. 

  12. Diehl, S.(1988) Foraging efficiency of three freshwater fishes: effects of structural complexity and light. Oikos. 53: 207-214. 

  13. Dionne, M. and C.L. Folt(1991) An experimental analysis of macrophyte growth forms as fish foraging habitat. Can. J. Fish. Aquat. Sci. 48: 123-131. 

  14. Geurts, J.J., A.J. Smolders, J.T. Verhoeven, J.G. Roelofs and L.P. Lamers(2008) Sediment Fe: PO4 ratio as a diagnostic and prognostic tool for the restoration of macrophyte biodiversity in fen waters. Freshwater Biol. 53: 2101-2116. 

  15. Jeong, K.S., D.K. Kim and G.J. Joo(2007) Delayed influence of dam storage and discharge on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 proliferation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a regulated river system of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Water Res. 41: 1269-1279. 

  16. Jeong, K.S., G.J. Joo, H.W. Kim, K. Ha and F. Recknagel(2001) Prediction and elucidation of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akdong River (Korea) by means of a recurrent artificial neural network. Ecol. Model. 146: 115-129. 

  17. Jeppesen, E., T.L. Lauridsen, T. Kairesalo and M.R. Perrow(1998)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in lakes. In E. Jeppesen, M. Sondergaard and K. Christoffersen (Eds.), The Structuring Role of Submerged Macrophytes in Lakes. (pp. 91-114). New York. Springer. 

  18. Keast, A.(1984) The introduced aquatic macrophyte, Myriophyllum spicatum, as habitat for fish and their invertebrate prey. Can. J. Zoolog. 62: 1289-1303. 

  19. Kim, I.S. and J.Y. Park(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0. Lauridsen, T.L., L.J. Pedersen, E. Jeppesen and M. Sonergaard(1996) The importance of macrophyte bed size for cladoceran composition and horizontal migration in a shallow lake. J. Plankton Res. 18: 2283-2294. 

  21. Lauridsen, T.L., E. Jeppesen, M. Sondergaard and D.M. Lodge(1998) Horizontal migration of zooplankton: predator-mediated use of macrophyte habitat. In The Structuring Role of Submerged Macrophytes in Lakes (pp. 233-239). Springer New York. 

  22. Lee, W.O., I.R. Lee, H.Y. Song and I.C. Bang(2008)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from the Major Rivers and Reservoirs in Korea Assessed by AFLP. Korean J. Limnol. 41: 395-4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illie, R.A. and J. Budd(1992) Habitat architecture of Myriophyllum spicatum L. as an index to habitat quality for fish and macroinvertebrates. J. Freshwater. Ecol. 7: 113-125. 

  24. Manatunge, J., T. Asaeda and T. Priyadarshana(2000) The influence of structural complexity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a study using artificial submerged macrophytes. Environ. Biol. Fish 58: 425-438. 

  25. Meerhoff, M., C. Iglesias, F.T. de Mello, J.M. Clemente, E. Jensen, T.L. Lauridsen and E. Jeppesen(2007) Effects of habitat complexity on community structure and predator avoidance behaviour of littoral zooplankton in temperate versus subtropical shallow lakes. Freshwater Biol. 52: 1009-1021. 

  26. Mittelbach, G.G.(1981) Foraging efficiency and body size: a study of optimal diet and habitat use by bluegills. Ecology 62: 1370-1386. 

  27. Mizuno, T. and E. Takahashi(1999) (Eds).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28. Moyle, P.B. and J.J. Cech Jr(2000) Hydromineral balance.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79-96. 

  29. Nelson, J.S.(1994) Fishes of the World. 3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30. Niehoff, D., U. Fritsch and A. Bronstert(2002) Land-use impacts on storm-runoff generation: scenarios of land-use change and simulation of hydrological response in a meso-scale catchment in SW-Germany. J. Hydrol. 267: 80-93. 

  31. Okun N. and T. Mehner(2005) Distribution and feeding of juvenile fish on invertebrates in littoral reed (Phragmites) stands. Ecol. Freshw. Fish 14: 139-149. 

  32. Paukert, C.P. and D.W. Willis(2002) Seasonal and diel habitat selection by bluegills in a shallow natural lake. T. Am. Fish. Soc. 131: 1131-1139. 

  33. Perrow, M.R., A.J. Jowitt, J.H. Stansfield and G.L. Phillips(1999) The practical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fish, zooplankton and macrophytes in shallow lake restoration. Hydrobiologia 395: 199-210. 

  34. Pelicice, F.M. and A.A. Agostinho(2006) Feeding ecology of fishes associated with Egeria spp. patches in a tropical reservoir, Brazil. Ecol. Freshw. Fish 15: 10-19. 

  35. Robertson, A.I. and R.C.J. Lenanton(1984)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food chain dynamics in the surf-zone of sandy beaches: the role of detached macrophyte detritus. J. Exp. Mar. Biol. Ecol. 84: 265-283. 

  36. Son, M.W. and Y.G. Jeon(2003) Phys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etlands on the downstream reach of Nakdong River. J. Korean Assoc. Reg. Geogr. 9: 66-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Stansfield, J.H., M.R. Perrow, L.D. Tench, A.J. Jowitt and A.A. Taylor(1997) Submerged macrophytes as refuges for grazing Cladocera against fish predation: observations on seasonal changes in relation to macrophyte cover and predation pressure. In Shallow Lakes' 95 (pp. 229-240). Springer Netherlands. 

  38. Terashima, A.(1980) Bluegill: a vacant ecological niche in Lake Biwa. In: T. Kawai, H. Kawanabe and N. Mizuno, Editors, Freshwater Organisms in Japan: Their Ecology of Invasion and Disturbance, Tokai Univ. Press, Tokyo, p. 63-70. 

  39. Thomaz, S.M., E.D. Dibble, L.R. Evangelista, J. Higuti, and L.M. Bini(2008) Influence of aquatic macrophyte habitat complexity on invertebrate abundance and richness in tropical lagoons. Freshwater Biol. 53: 358-367. 

  40. Valley, R.D. and M.T. Bremigan(2002) Effects of macrophyte bed architecture on largemouth bass foraging: implications of exotic macrophyte invasions. T. Am. Fish. Soc. 131: 234-244. 

  41. van Donk, E. and W.J. van de Bund(2002)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including charophytes on phyto-and zooplankton communities: allelopathy versus other mechanisms. Aquat. Bot. 72: 261-274. 

  42. Warfe, D.M. and L.A. Barmuta(2004) Habitat structural complexity mediates the foraging success of multiple predator species. Oecologia 141: 171-178. 

  43. Werner, E.E. and D.J. Hall(1977) Competition and habitat shift in two sunfishes (Centrarchidae). Ecology 58: 869-876. 

  44. Wetzel, R.G. and G.E. Likens(2000) Limnological Analyses, Springer-Verlag, New York. 

  45. Wolcox, D.A. and J.E. Meeker(1992) Implications for faunal habitat related to altered macrophyte structure in regulated lakes in northern Minnesota. Wetlands 12: 192-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