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의 습지 유형 (하천형과 호수형)에 따른 경남지역 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Fish Assemblage Characteristics by Wetland Type (River and lake) of 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 of Wetlands in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1 no.2, 2018년, pp.149 - 159  

김정희 (에코리서치) ,  윤주덕 (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  임란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구연 (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  조현빈 (부산대학교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습지 유형에 따른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관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29개의 습지 (하천형 20개소, 호수형 9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하천형 습지에서는 평균(${\pm}SD$) $10.3{\pm}4.8$종이, 호수형 습지에서는 평균 $9.1{\pm}4.1$종이 출현하였으며, 출현 종수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Mann-Whitney U test, P>0.05). 반면 두 습지 유형의 어류군집을 구성하는 종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PERMANOVA, Pseudo-F=2.9555, P=0.007), 각 유형의 어류군집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은 참갈겨니(하천형, 28.51%)와 블루길 (호수형, 23.21%)로 확인되었다 (SIMPER). 지점별 어류군집을 활용한 NMDS 분석결과 총 3개의 그룹(하천형, 호수형, 기타)으로 구분되어 기존의 유형 구분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습지 관리는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한 일원화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습지 유형별 어류군집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유종, 외래종, 주요 기여종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관리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지형을 기반으로 한 습지의 유형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습지의 유형에 대한 분류가 모호한 경우가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해 생물상 분석을 통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습지 유형에 대한 분석결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모든 유형의 습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각 습지의 유형을 대변할 수 있는 세부적인 관리 방법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nine wetlands (20 river type and 9 lake type wetlands) in Gyeongsangnam-do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assemblages by the wetland type and to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As a result, $10.3{\pm}4.8$ species were collected from river type wetland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습지의 유형에 대한 구분은 지형, 수원·수질 등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에 습지의 유형에 따라 어류군집의 차이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습지 유형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를 대상으로 유형별 어류군집의 특성 및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보호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원적인 습지관리 전략의 한계를 파악하고 습지 유형별 생물상을 반영할 수 있는 포괄적인 관리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하천형 습지와 호수형 습지를 대상으로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습지 유형에 대한 어류군집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재의 멸종위기종 중심의 습지 관리에서 벗어나 고유종 및 외래종 중심의 습지 관리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습지 유형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를 대상으로 유형별 어류군집의 특성 및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보호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원적인 습지관리 전략의 한계를 파악하고 습지 유형별 생물상을 반영할 수 있는 포괄적인 관리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식 생물의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의 습지의 유형 분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 이를 통해 현재의 보호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원적인 습지관리 전략의 한계를 파악하고 습지 유형별 생물상을 반영할 수 있는 포괄적인 관리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식 생물의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의 습지의 유형 분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는? 습지는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전 세계의 육지 표면의 약 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Lehner and Döll, 2004). 이러한 습지는 홍수조절, 먹이공급, 탄소저장, 수질정화, 식량, 여가, 문화, 관광 등 사회 전반적으로 매우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중요성이 높은 지역이며(Lambert, 2003), 육지 특성을 지닌 내륙과 수생태계 사이에 일종의 전이 지대로(Cowardin et al.
우리나라의 습지 분포현황은? 우리나라의 습지는 유형별로 약 2,500개소의 습지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면적은 약 734 km2로 추정된다(국립습지센터, www.wetland.
환경부에서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를 마련한 이유는? kr). 습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분류체계를 통해 습지의 유형을 구분하며 국내의 경우 과거 “람사르습지유형분류체계”를 통해 분류가 이루어졌다. 반면 본 분류체계는 전 지구에 걸친 기후현상과 수문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실정을 반영할 수 있는 분류체계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를 마련하였다(MO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K.G. and J.H. Han. 2013. Ch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Mid- to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 180-188. 

  2. Baek, S.H., J.D. Yoon, J.H. Kim, H.J. Lee, K.R. Choi and M.H. Jang. 2013.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Seomjin River and brackish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 402-410. 

  3. Batzer, D.P. and V.H. Resh. 1992. Wetl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enhance waterfowl habitats can also control mosquitoes. Journal of the American Mosquito Control Association 8: 117-125. 

  4. Beck, M.W., K.L. Heck Jr, K.W. Able, D.L. Childers, D.B. Eggleston, B.M. Gillanders, B. Halpern, C.G. Hays, K. Hoshino, T.J. Minello, R.J. Orth, P.F. Sheridan and M.P. Weinstein. 2001. The identific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stuarine and marine nurseries for fish and invertebrates. Bioscience 51: 633-641. 

  5. Buisson, L., L. Blanc and G. Grenouillet. 2007. Modelling stream fish species distribution in a river network: the relative effects of temperature versus physical factors. Ecology of Freshwater Fish 17: 244-257. 

  6.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Similarity-based testing for community pattern: the two-way layout with no replication. Marine Biology 118: 167-176. 

  7. Cowardin, L.M., V. Carter, F.C. Golet and E.F.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8. Engler, R., A. Guisan and L. Rechsteiner. 2004. An improved approach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from occurrence and pseudo-absence data.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 263-274. 

  9. Field, J.G., K.R. Clarke and R.M. Warwick. 1982. A practical strategy for analysing multispecies distribution pattern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8: 37-52. 

  10. Jang, M.H., G.J. Joo and M.C. Lucas. 2006. Diet of introduced largemouth bass in Korean rivers and potential interactions with native fishes. Ecology of Freshwater Fish 15: 315-320. 

  11. Jo, H., J.A. Gim, K.S. Jeong, H.S. Kim and G.J. Joo. 2014. Application of DNA barcoding for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carnivorous fish diets: Is number of prey items dependent on size class for Micropterus salmoides? Ecology and Evolution 4: 219-229. 

  12. Jo, H., J.D. Yoon, J.H. Kim, K.S. Jeong, Y. Do and G.J. Joo. 2016. Diet shifts and delayed piscivory specialisation during the ontogenesis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Lacepede, 1802) in the Nakdong River and Upo Wetlands, South Korea. Indian Journal of Fisheries 63: 48-54. 

  13.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4. Lambert, A. 2003. Economic valuation of wetlands: an important component of wetland management strategies at the river basin scale. Conservation Finance Guide, Washington. 

  15. Lehner, B. and P. Doll.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lobal database of lakes, reservoirs and wetlands. Journal of Hydrology 296: 1-22. 

  16. Matthews, W.J., D.J. Hough and H.W. Robison. 1992. Similarities in fish distribution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streams of Arkansas: congruence of multivariate analysis. Copeia 1992: 296-305. 

  17. Mitsch, W.J. and J.G. Gosselink.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 25-33. 

  18. MOE. 2010. The study on manual of wetland classification by type/class and wetland restoration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19. MOE/NIER. 2011. Monitoring guideline of Korean inland wetl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0. MOE/NIER. 2012. Wild fauna and flora disturbing the eco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1. MOE/NIER. 2014. Guidebook for wetland policy offic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2. MOE/NIER. 2015. Guideline for natural environment protected are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3. Moyle, P.B. and J.J. Cech. 2000.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4th edition).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24. Naugle, D.E., R.R. Johnson, M.E. Estey and K.F. Higgins. 2001. A landscape approach to conserving wetland bird habitat in the prairie pothole region of eastern South Dakota. Wetlands 21: 1-17. 

  25. Nelson, J. 2006. Fishes of the world. Wiley, New York. 

  26. NIBR.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fish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27. Park, S.H., J.W. Lee, J.H. Kim, S.H. Baek, J.D. Yoon, K.R. Choi and M.H. Jang. 2013. Fish distribution and salinity in the Saemangeu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 411-418. 

  28. Semlitsch, R.D. and J.R. Bodie. 2003. Biological criteria for buffer zones around wetlands and riparian habitats for amphibians and reptiles. Conservation Biology 17: 1219-1228. 

  29. Yoon, J.D., J.H. Kim, M.S. Byeon, H.J. Yang, J.Y. Park, J.H. Shim, H.B. Song, H. Yang and M.H. Jang. 2011. Distribution patterns of fish communitie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gradients in Korean streams.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