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정보통신기반보호법과 일본 사이버 보안 기본법에 대한 비교를 통한 고찰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25 no.3, 2015년, pp.44 - 51  

한도석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서비스보안학과) ,  한덕호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서비스보안학과) ,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발생한 3.20 사이버 테러나 6.25 사이버 공격은 우리나라의 주요정보통신시설을 목표로 하였으며, 공격방법은 점점 지능화되고 첨단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으로 기반시설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기반시설에 대한 해킹은 다른 전산망 해킹 및 바이러스 유포 등에 의한 피해보다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크므로 더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중요성을 알고 2001년부터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을 제정하여 중요성이 높은 시설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일본에서는 국내의 "정보통신기반보호법"과 유사한 "사이버 보안 기본법"을 2014년 11월 6일에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정보통신기반 보호법"과 일본의 "사이버 보안 기본법"에 대하여 비교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정보통신기반 보호법』과 일본의 『사이버 보안 기본법』에 대하여 비교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서로 성격이 비슷한 한국의 『정보통신기반 보호법』과 일본의 『사이버 보안 기본법』의 법령 내용 비교를 통해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도의 정보통신망 구축으로 인한 역기능의 폐해로 일어난 사건은?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급속한 진전은 고도의 정보통신망 구축을 가능하게 하였고, 국가·공공기관을 비롯하여 금융권, 기업체 그리고 개인에 이르기까지 각종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1]. 하지만 이와 더불어 3.20 사이버 테러나 6.25 사이버 공격과 가장 최근 발생한 한수원 해킹 사건은 정보화로 야기되는 역기능 폐해가 심각하다.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급속한 진전은 무엇을 가능하게 했나?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급속한 진전은 고도의 정보통신망 구축을 가능하게 하였고, 국가·공공기관을 비롯하여 금융권, 기업체 그리고 개인에 이르기까지 각종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1]. 하지만 이와 더불어 3.
한국과 일본의 법령을 비교해 본 결과는? 한국의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와 일본의 ‘사이버 보안 전략 본부’가 기능과 역할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법령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은 ‘침해사고의 통지’,‘복구조치’, ‘벌칙’, ‘과태료’ 등 세부적인 내용까지 다루는데 반해 일본은 ‘기본이념’, ‘책무’, ‘기본적 시책’과 같은 내용에 모든 것이 포함되어 사각지대가 없도록 법령을 제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이남훈, 정윤정, 김인중,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안위험분석 프로세스를 통한 취약점 분류",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3(7), pp. 1564-1567, 2003 

  2. 박순태, 이완석, 노봉남,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를 위한 취약점 분석.평가 관리 방안",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지, 19(6), pp. 32-40, Dec. 2009 

  3. 배효빈, 엄정호, 김태경, 정태명, "주요정보통신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위협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보호체계 구축", 보안공학연구논문지, 10(6), pp. 643-654, Dec. 2013 

  4. 일본 사이버 보안 기본법 채택...사이버 보안 전략 본부 신설로 범부처 사이버 보안 정책 추진 사령탑 역할 기대, 정보통신방송해외정보(CONEX), Nov. 2014 

  5.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Nov. 2014 

  6. 사이버 보안 기본법안,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Japan(중의원), Nov. 2014 

  7.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 기술설명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Aug.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