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심 벽면녹화식물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K. Schum)의 화분 형태 및 세포독성에 근거한 유해성평가
Hazard Assessment of Green-Wall Plant Campsis grandiflora K. Schum in Urban Areas based on Pollen Morphology and Cytotoxicit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2, 2015년, pp.256 - 261  

김현준 (국립수목원) ,  소순구 (국립수목원) ,  신창호 (국립수목원) ,  노혜지 ((주)생명의나무) ,  나천수 ((주)생명의나무) ,  이유미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능소화를 대상으로 화분형태 및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화분 형태를 확인해 본 결과, 화분립 형태는 장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3공구형이며 화분 표벽 (extine)은 망상의 형태이고 외부로 돌출된 돌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능소화 70% MeOH 부위별 (꽃, 잎, 줄기) 추출물 및 화밀을 24, 48시간 동안 농도별 (10, 20, 50, $100{\mu}g\;mL^{-1}$)로 RAW264.7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능소화 추출물 및 화밀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9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꽃, 잎, 줄기 추출물은 $50{\mu}g\;mL^{-1}$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화밀의 경우 저농도인 $10{\mu}g\;mL^{-1}$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hazard pattern in the surface structure of pollen grains of Campsis grandiflora, and cytotoxicity of different part extracts and nectar on RAW264.7 macrophages. The pollen grains were medium sized ($21.8{\mu}m$) with tricolpate apertur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능소화의 화분형태 관찰과 꽃, 잎, 줄기 부위별 MeOH 추출물 및 밀선에서 채취한 화밀에 대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에 대해 능소화 부위별 (꽃, 잎, 줄기) 70% MeOH 추출물 및 밀선에서 채취한 화밀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능소화 추출물 및 화밀을 24, 48시간 동안 농도별 (10, 20, 50, 100 μg mL-1)로 RAW264.
  • 본 연구는 능소화를 대상으로 화분형태 및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화분 형태를 확인해 본 결과, 화분립 형태는 장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3공구형이며 화분 표벽 (extine)은 망상의 형태이고 외부로 돌출된 돌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소화란 무엇인가?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K. Schum)는 능소화과 (Big non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덩굴식물로 예로부터 담장에 주로 식재하였으며, 현대 도시환경에 효율적인 녹지공급 대안인 벽면녹화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Lee 2003; Ro et al. 2003).
능소화의 줄기, 잎 그리고 꽃의 형태적 특징은 무엇인가? 2003). 줄기는 회갈색으로 5~10 m까지 자라며, 잎은 대생으로 5~13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다. 꽃은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5~15개의 황홍색 꽃이 달린다 (Fig. 1A-C).
능소화의 화학 성분과 생리적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전통적으로 꽃을 능소화 (凌霄花) 또는 자위화 (紫葳花), 잎과 줄기를 자위경엽 (紫葳莖葉), 뿌리는 자위근 (紫葳根)이라 하며, 약용으로 순환계, 피부 및 부인과 질환에 주로 사용 되어 왔다 (Ahn 2003; Kang 2008). 능소화의 화학성분으로는 terpenoids, steroids 등에 속하는 성분들이 확인되었으며, 생리활성연구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혈전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Jin et al. 2004;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ler LS. 2001.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toxic nectar. Oikos 91:409-420. 

  2. Ahn DK.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Gyohaksa, Seoul. 

  3. Bertin RI. 1982. Floral biology, hummingbird pollination and fruit production of trumpet creeper (Campsis radicans, Bignoniaceae). Amer. J. Bot. 69:122-134. 

  4. Cui XY, JH Kim, X Zhao, BQ Chen, BC Lee, HB Pyo, YP Yun and YH Zhang. 2006. Antioxidative and cu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ampsis grandiflora flower. J. Ethnopharmacol. 103:223-228. 

  5. Erdtman G. 1971.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Angiosperm). Hafner Publish. Co., New York. pp. 3-553. 

  6. Guo LY, TM Hung, KH Bae, EM Shin, HY Zhou, YN Hong, SS Kang, HP Kim and YS Kim. 2008.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hisandrin siolated from the fruit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Eur. J. Pharmacol. 591:293-299. 

  7. Han MH, MH Lee, SH Hong, YH Choi, JS Moon, MK Song, MJ Kim, SJ Shin and HJ Hwang. 2014.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264.7 murine macrophages. J. Life Sci. 24:329-335. 

  8. Hwang CH. 201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7/14/0200000000AKR20140714183600004.HTML?input1195p 

  9. Jeong YO, NB Park, JS Gwak and SJ Jeong. 2010. Yasaenghwadogam (Yeoreum). Pureunhaengbok, Seoul. 

  10. Jin JL, YY Lee, JE Heo, S Lee, JM Kim and HS Yun-Choi. 2004. Anti-platelet pentacyclic triterpenoids from leaves of Campsis grandiflora. Arch. Pharm. Res. 27:376-380. 

  11. Kang BH. 2008. Hanguk Saengyakjawon Saengtaedogam. Geobook, Seoul. 

  12. Kim DH, MC Song, KM Han, MH Bang, BM Kwon, SH Kim, DK Kim, IS Chung, MH Park and NI Baek. 2004.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FPT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357-360. 

  13. Kim HJ, DJ Lee, JJ Ku, K Choi, KW Park, SH Kang, C Moon and PJ Lee.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n J. Plant Res. 26:169-177. 

  14. Kim YS. 2014. http://home.kppa.or.kr/news/view/?idx2738 

  15. Koo JS, SN Lee and BI Seo. 2010.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of herbal medicines used to activate blood flow and remove blood stasis (活血祛瘀藥). Kor. J. Herbol. 25:21-39. 

  16. Lee ST. 1978. Systematic signification of the pollen morphology. Korean J. Pl. Taxon. 8:59-68.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18. Park DS. 2009.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308 

  19. Park HY, BY Shu, TJ Kim and HW Oh. 2000. Pollen of Korea 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eon. p. 211. 

  20. Punt W, S Blackmore, S Nolson and AL Thomas. 1993. Glossary of Pollen and Spore Terminology. LPP contribution, no 1. LPP Foundation, Utrecht. 

  21. Radford AE, WC Dickinson, JR Massey and CR Bell. 1974. Vascular plant systematics. Harper & Row, New York. pp. 1-891. 

  22. Ro SM, JS Lee and YS Kim. 2003.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nd plant growth on wall surface afforestation in seoul. J. Kor. Flower Res. Soc. 11:157-165. 

  23. Woo WA. 2014.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newsid01902406606154848&DCDA00703&OutLnkChk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