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독성법을 이용한 중금속, 나노입자 및 금속오염 토양 평가
Bioassessment of Heavy Metals, Nanoparticles, and Soils Contaminated with Metals using Various Bioassay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3, 2015년, pp.261 - 271  

공인철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석우도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민경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강일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총설 논문에서는 다양한 급성독성법을 이용하여 중금속, 나노입자, 중금속 오염 토양에 의한 영향 평가 결과를 소개하였다. 평가는 씨앗발아, 생물발광, 효소활성 및 유전자 변이 평가법을 이용하였으며, 오염물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상이한 민감도를 보였다. 씨앗의 경우에는 상추(Lactucus)와 알타리무(Raphanus)가 대체적으로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단일 금속 노출에서는 일반적으로 As(III)가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As(III) 1 mg/L 조건에서 높은 유전자변이(MR=5.1)가 관찰되었다. 혼합 중금속에 대한 영향은 명확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지만, 씨앗 발아의 경우에는 상승 효과가 보편적으로 관찰되었다.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한 평가에서는 시료별 총중금속 농도와 독성 영향 간의 상관성을 예측하기는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의 씨앗발아에 근거한 영향은 다음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CuO > ZnO > NiO > $TiO_2$, $Fe_2O_3$, $Co_3O_4$. 특히 $TiO_2$, $Fe_2O_3$$Co_3O_4$는 최대 노출 농도 1,000 mg/L 농도에서도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양한 독성 생물검정법에 대한 통합 자료는 향후 다양한 오염물 기초 독성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xicity results of metals, nanoparticles (NPs), and soils contaminated with metals were introduced on this review. Following methods were used: seed germination, bioluminescence, enzyme activity, and mutation. In general, different sensitiviti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ypes of bioassays and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합물의 독성을 상이한 독성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사용한 방법은 (1) 유전자 재조합 발광 균주인 RB1436의 발광 활성, (2) 상이한 4종류(genera)의 씨앗 발아, (3) 단기간 유전자 생물검정법인 Salmonella typhimurium변이 균주 유전자 복귀 돌연변이원성에 근거한 Ames test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입자는 무엇인가? 나노(nano)입자는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로 1 nm에 해당되는 원자규모의 크기이며, 원자들의 배열 간격이 약 0.2 nm이고 원자 중 가장 작은 수소 원자의 직경이 0.1 nm이므로 나노세계는 원자세계라 말할수 있다(Lowry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합물의 독성을 어떤 독성 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합물의 독성을 상이한 독성 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사용한 방법은 (1) 유전자 재조합 발광 균주인 RB1436의 발광 활성, (2) 상이한 4종류(genera)의 씨앗 발아, (3) 단기간 유전자 생물검정법인 Salmonella typhimurium변이 균주 유전자 복귀 돌연변이원성에 근거한 Ames test이다.
나노입자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국내에서도 세계적 추세와 같이 오래전부터 나노 기술이 도입, 개발 및 다양한 상업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나노입자는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1) 탄소 기반(대부분 탄소로 구성) (2) 금속 기반(양자입자, 나노골드, 나노실버, 금속산화물 등) (3) 덴드리머(가지구조 나노크기의 고분자) (4) 복합물(나노입자 혹은 거대물들을 혼합) (Lin and Xing, 2007; Klaine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공인철, 권효정, 고경석 (2010) 다양한 생물 검정법에 근거한 비소의 위해성 평가 비교. 대한환경공학회지. 32(8), 795-801. 

  2. 공인철, 이소라 (2012) 씨앗발아 시험에 근거한 단일 및 혼합 중금속과 오염토양의 독성평가. 한국폐기물자원환경학회지. 29(6), 527-533. 

  3. 구본우, 공인철 (2014) 씨앗발아 및 발아지수에 근거한 나노입자 독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6(6), 396-401. 

  4. 이진수, Klinck, B., 전효택 (2001) 비소 및 독성중금속들의 인체위해성 평가 모델 링. 한국자원공학회지, 38(2), 136-145. 

  5. 이종삼, 김용진, 한상국 (2007) Ames test를 이용한 소각 잔사 혼입 매립지 침출수 처리공정수의 돌연변이원성 평가. 한국폐기물학회지. 24(3), 211-218. 

  6. Abedin, M.D.J. and Meharg, A.A. (2002) Relative toxicity of arsenite and arsenate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rice (Oryza sativa L.). Plant Soil, v.243, p.57-66. 

  7. An, Y.J. (2004) Soil ecotoxicity assessment using cadmium sensitive plants. Environmental Pollution, v.127, p.21-26. 

  8. Aposhian, H.V. and Aposhian, M.M. (2006) Arsenic toxicology: five questions. Chemistry Research Toxicology, v.19, p.1-15. 

  9. Bitton, G. (1999) Wasterwater Microbiology, 2nd ed., Wiley-Liss, Inc. 

  10. Biswas, P. and Wu, C.Y. (2005) Critical review: nanoparticles and the environment. J. Air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55, p.708-746. 

  11. Chang, K.N., Lee, T. C., Tam, M.F. and Chen, Y.C. (2003) Identification of falectine and thioredoxin peroxidase II as two arsenic-binding proteins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Biochemistry, v.371, p.495-503. 

  12. Fairbrother, A., Wenstel, R., Sappington, K. and Wood, W. (2007) Framework for metals risk assessment.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v.68, p.145-227. 

  13. Gonzalez, L., Lison, D. and Kirsch-Volders, M. (2008) Genotoxicity of engineered nanomaterials: a critical review. Nanotoxicology, v.2, p.252-273. 

  14. Gupta, G. and Karuppiah, M. (1996) Toxicity study of a Chesapeake bay tributary-Wicomico river. Chemosphere, v.32, p.1193-1215. 

  15. Klaine, S.J., Alvarez, P.J.J., Batley, G.E., Fernandes, T.F., Handy, R.D., Lyon, D.Y., Mahendra, S., McLaughlin, M.J. and Lead, J.R. (2008) Nanomaterials in the environment; behaviour, fate, bioavailability, and effects. Environment Toxicology Chemistry, v.27, p.185-1851. 

  16. Ko, K-S., Han, J. and Kong, I.C. (2013) Assessment of arsenite, arsenate, and chromate phytotoxicity based on the activity of seed germination and growth (root & shoot) of various plant seeds. Human Ecology Risk Ass., v.19, p.742-753. 

  17. Kungolos, A., Emmanouil, C., Tsiridis, V. and Tsiropoulos, N. (2009) Evaluation of toxic and interactive toxic effects of three agrochemicals and copper using a battery of microbiotes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407, p.4610-4615. 

  18. Landsiedel, R., Kapp, M.D., Schulz, M., Wiench, K. and Oesch, F. (2009) Genotoxicity investigations on nanomaterials: Methods, preparation and characterilization of test material, potential artifacts and limitations-Many questions, some answers. Mutation Reserch, v.681, p.241-258. 

  19. Lin, D. and Xing, B. (2007) Phytotoxicity of nanoparticles: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and root growth. Environment Pollution, v.150, p.243-250. 

  20. Liu, X., Zhang, S., Shan, X. and Zhu, Y-G. (2005) Toxicity of arsenate and arsenite on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amylolytic activity of wheat. Chemosphere, v.61, p.293-301. 

  21. Lowry, G.L., Gregory, K.B., Apte, S.C. and Lead, J.R. (2012) Transformations of nanomaterials in the environment. Environ. Science Technology, v.46, p.6893-6899. 

  22. Mankiewicz-Boczek, J., Nalecz-Jawecki, G., Drobniewska, A., Kaza, M., Sumorok, B., Izydorczyk, K., Zalewski, M. and Sawicki, J. (2008) Application of a microbiotests battery for complete toxicity assessment of river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v.71, p.830-836. 

  23. Mathur, N., Bhatnagara, P., Mohanb, K., Bakrea, P., Nagarc, P. and Bijarniac, M. (2007) Mutagenicity evaluation of industrial sludge from common effluent treatment plant. Chemisphere, v.67, p.1229-1235. 

  24. Mortelmans, K. and Zeiger, E. (2000) The Ames Salmonella/microsome mutagenicity assay. Mutation Reserch, v.455, p.29-60. 

  25. Sharma, V.K. and Sohn, M. (2009) Aqautic arsenic: Toxicity, speciation, transformations, and remediation. Environment Internationl, v.35, p.743-759. 

  26. Singh, N., Manshian, B., Jenkins, G.J.S., Griffiths, S.M., Williams, P.M., Maffeis, T.G.G., Wright, C.J. and Doak, S.H. (2009) NanoGenotoxicology: The DNA damaging potential of engineered nanomaterials. Biomaterials, v.30, p.3891-3914. 

  27. Suzuki, N., Naranmandura, H., Hirano, S. and Suzuki, L.T. (2008) Theoretical calculations and reaction analysis on the interaction of pentavelent thioarsenicals with biorelevant thiol compounds. Chemistry Resarch Toxicology, v.21, p.550-553. 

  28. US. EPA. (1996)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seed germination/root elongation toxicity test, EPA 712-C-96-154. 

  29. Wu, S.G., Huang, L., Head, J., Chen, D-R., Kong, I.C. and Tang, Y. (2012) Phytotoxicity of metal oxide nanoparticles in related to both dissolved and metal ions and adsorption of particles on seed surfaces. J. Petroleum Environ. Biotechnol., v.3, n.4, p.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