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과 음운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Early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2, 2015년, pp.63 - 73  

하승희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청각언어연구소) ,  박보라 (한림대학교 언어병리청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longitudinally early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9 months to 18 months of age. Spontaneous utterance samples were collected at 9, 12, 15, 18 months of age and p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초기 발성자료를 토대로 한국 아동의 일반적인 초기 음운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반유아의 초기 발성의 발달패턴과 음운 발달을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동이 산출한 초기 낱말 뿐 만 아니라 SAVED-R의 발성 발달단계 중 4, 5단계로 분류된 발성에 초점을 맞추어, 월령에 따른 발성 비율과 함께 4, 5 단계 발성과 낱말에 나타난 자음 목록과 음절구조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기 음운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초기 말 발달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국내연구는 1-3명의 소수로 진행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김민영, 하승희, 2013; 전현주, 2010, 홍경훈, 심현섭,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초기 발성자료를 토대로 한국 아동의 일반적인 초기 음운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반유아의 초기 발성의 발달패턴과 음운 발달을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수집된 아동의 초기 발성자료를 토대로 초기 음운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음이 산출되면서 본격적으로 음절구조가 포함되는 SAVED-R의 발성 발달단계 중 4, 5단계로 분류된 발성과 낱말에 초점을 맞추어, 월령에 따른 발성 비율과 함께 초기 발성과 낱말에 나타난 자음 목록과 음절구조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기 음운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생후 9개월에서 18개월까지 아동의 말 발달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본 연구는 언어이전기 발성을 포함해 초기 낱말 산출에 나타난 음절구조와 자음을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초기 음운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언어이전기 발달 수준에 머물러 있는 말 늦은 아동이나 선천적인 장애로 인해 말 발달 지연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발성과 말 발달 수준을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중재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수집된 아동의 초기 발성자료를 토대로 초기 음운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음이 산출되면서 본격적으로 음절구조가 포함되는 SAVED-R의 발성 발달단계 중 4, 5단계로 분류된 발성과 낱말에 초점을 맞추어, 월령에 따른 발성 비율과 함께 초기 발성과 낱말에 나타난 자음 목록과 음절구조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기 음운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반유아의 초기 발성의 발달패턴과 음운 발달을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동이 산출한 초기 낱말 뿐 만 아니라 SAVED-R의 발성 발달단계 중 4, 5단계로 분류된 발성에 초점을 맞추어, 월령에 따른 발성 비율과 함께 4, 5 단계 발성과 낱말에 나타난 자음 목록과 음절구조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기 음운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이전기에 아동이 산출하는 초기 발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언어이전기에 아동이 산출하는 초기 발성은 이후 말-언어발달과 상관관계를 보이며 초기 음운 및 어휘발달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Vihman et al., 1985).
SAEVD-R의 2~5단계의 내용은 무엇인가? SAEVD-R의 1단계는 생후 0-2개월 영유아에게 주로 보이는 딸꾹질과 같은 생리적인 소리, 울음, 불완전한 공명음이 포함되는 발성 단계이다. 2단계는 생후 1-4개월의 초기 옹알이 단계로 이전 단계에 비해 조절된 성대진동과 구강 기제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소리이지만 여전히 성인의 모음과 자음으로는 전사가 되지 않는 모음같은 소리, 자음같은 소리가 주요한 발성 특징이다. 3단계는 생후 3-8개월의 확장 단계로 전사가능한 모음이 단독 또는 연속으로 산출되고 자음같은 소리와 모음같은 소리가 연속적으로 산출되는 경계선 옹알이가 산출된다. 4단계는 생후 5-10개월의 기본 음절단계로 전사가 가능한 자음이 산출되기 시작하면서 자음이 포함된 음절구조의 반복적 옹알이가 주요한 특징이다. 5단계는 생후 9-18개월에 보이는 후기 옹알이 단계로 자음과 모음이 음절 내에서 변화하면서 강세와 억양패턴을 보이기도 하며 복잡한 음절구조와 자곤, 이중 모음이 산출된다.
SAEVD-R은 어떻게 나뉘고 무엇을 제시하고 있는가? SAEVD-R은 출생부터 생후 18개월까지 영아들에게서 보편적으로 출현되는 발성유형을 크게 5단계로 나누고 23개의 하위 발성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Appendix-1]. SAEVD-R의 1단계는 생후 0-2개월 영유아에게 주로 보이는 딸꾹질과 같은 생리적인 소리, 울음, 불완전한 공명음이 포함되는 발성 단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rnthal, J. E., Bankson, N. W., & Flipsen, P. (2012).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 (7th ed). Boston, MA: Pearson. 

  2. Chapman, K. L., Hardin-Jones, M. A., Schulte, J., & Halter, K. A. (2001). Vocal development of 9-month-old babies with cleft palate.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44(6), 1268-1283. 

  3. Cobo-Lewis, A. B., Oller, D. K., Lynch, M. P., & Levine, S. L. (1996). Relations of motor and vocal milestones in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and infants with Down syndrome.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0(5), 456-467. 

  4. Davis, B. L., & MacNeilage, P. F. (1995). The articulatory basis of babbl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199-1211. 

  5. Eilers, R. E., & Oller, D. K. (1994). Infant vocalizations and the early diagnosis of severe hearing impairment. The Journal of pediatrics, 124(2), 199-203. 

  6. Ertmer, D. J., & Galster, J. (2001). www.vocaldevelopment.com. 

  7. Ertmer, D. J., Young, N. M., & Nathani, S. (2007). Profiles of vocal development in young cochlear implant recipi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0(2), 393-407. 

  8. Jeon, H. (2010). Longitudinal study of early vocal and phonetic development for cochlear implant infant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전현주 (2010).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발성 및 음소 발달 종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Jung, K. H., Pae, S., & Kim, G. (2006). The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3), 1-15. (정경희.배소영.김기숙 (2006). 12, 18, 24개월 영유아의 음운 발달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3), 1-15.) 

  10. Kim, J., Ji, Y., & Shin, H. (2012). A study of infant's vocal production patterns for developing early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Korean Academy of Audiology, 8, 61-77. (김진숙.지연숙.신현욱 (2012). 조기청능재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아의 발성패턴 연구. 청능재활, 8, 61-77.) 

  11. Kim, M., & Ha, S. (2013). Longitudinal study of early vocalization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from 6 to 18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2), 223-234. (김민영.하승희 (2013). 6-18개월 구개열 영유아와 일반 영유 아의 발성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8(2), 223-234.) 

  12. Ha, S., & Hwang, J. (2013). Speech measures from phonological analyses of spontaneous conversations in children between 18-47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4), 425-434. (하승희.황진경 (2013). 18-47개월 아동의 자발화 분석에 기초 한 말소리 측정치에 관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8(4), 425-434.) 

  13. Ha, S. Seol, A. Pae, S. (2014). Vocal development of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6(4), 161-169. (하승희, 설아영, 배소영 (2014).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 발달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6(4), 161-169.) 

  14. Hardin-Jones, M., & Chapman, K. L. (2014). Early Lexical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Cleft Lip and Palate.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51(6), 622-631. 

  15. Hong, K., Shin, H.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development of the infant's speech sounds: 18 to 24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7(2), 105-124. (홍경훈.심현섭 (2002). 유아의 말소리 발달 특성: 18-24개월 종단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7(2), 105-124.) 

  16. Locke, J. (2002). Vocal development in the human infant: Functions and phonetics. NJ: Erlbaum. 

  17. Lyer, S. N. & Ertmer, D. J. (2014). Relationship between vocalization forms and functions in infancy: preliminary implications for early communicativ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23(4), 587-598. 

  18. Moon, H., & Ha, S. (2012). Phonological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cleft palate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aged 12-24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1), 118-129. (문희원.하승희 (2012). 9-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음운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17(1), 118-129) 

  19. Nathani, S., Ertmer, D. J., & Stark, R. E. (2006). Assessing vocal development in infants and toddlers.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0(5), 351-369 

  20. Oller, D. K. (1980). The emergence of the sounds of speech in infancy. Child phonology, 1, 93-112. 

  21. Oller, D. K., Eilers, R. E., Neal, A. R., & Cobo-Lewis, A. B. (1998). Late onset canonical babbling: a possible early marker of abnormal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3(3), 249-263. 

  22. Oller, D. K., & Eilers, R. E. (1988). The role of audition in infant babbling. Child Development, 59, 441-449. 

  23. Oller, D. K., Eilers, R. E., Bull, D. H., & Carney A. E. (1985). Prespeech vocalizations of a deaf infant: A comparison with normal metaphonological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8, 47-62. 

  24. Pae, S. (1996).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7(1), 98-105. (배소영 (1996), 한국 아동의 언어발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7(1), 98-105.) 

  25. Stark, R. E. (1986). Pre-speech segmental feature development. Language Acquisition,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Stark, R. E., Bernstein, L. E., & Demorest, M. E. (1993). Vocal Communication in the first 18 months of lif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6(3), 548-558. 

  27. Stoel-Gammon., C. (1985). Phonetic Inventories, 15-24 Month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8(4), 505-512. 

  28. Stoel-Gammon, C. (1988). Prelinguistic vocalizations of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subjects: A comparison of consonantal inventori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3, 302-315. 

  29. Stoel-Gammon, C. (1989). Prespeech and early speech development of two late talkers. First Language, 9(6), 207-224. 

  30. Stoel-Gammon, C., & Otomo, K. (1986). Babbling development of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subjec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1(1), 33-41. 

  31. Storkel, H. L. & Morrisette, M.. L.(2002). The lexicon and phonology: Interactions in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3, 24-37. 

  32. Scherer, N. J., Williams, A. L., & Proctor-Williams, K. (2008). Early and later vocaliz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2(6), 827-840. 

  33. Vihman, M. M., Ferguson, C. A., & Elbert, M. (1986). Phonological development from babbling to speech: Common tendenc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Applied Psycholinguistics, 7, 3-40. 

  34. Vihman, M. M., Macken, M. A., Miller, R., Simmons, H., & Miller, J. (1985). From babbling to speech: A re-assessment of the continuity issue. Language, 61, 397-4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