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인식이 구강관리용품의 인지 및 사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bjective awareness of dental health status on the use of dental hygienic devic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3, 2015년, pp.477 - 486  

이경희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정은서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bjective awareness of dental health status on the use of dental hygienic devic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20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y to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인식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구강관리용품의 인지 및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환자가 자신의 구강상태에 적합한 구강관리용품을 잘 선택하고 사용하여 건강한 구강환경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병의 예방을 위해서 치면 세균막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즉, 구강병의 예방은 구강병 발생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 숙주요인 및 병원체요인 중 한 가지를 제거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기구를 차단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균에 의해서 배출되는 산으로 치아표면이 부식되기 때문에 치아우식증이 발생하고, 세균막의 세균독소생산으로 인한 치은의 화학적 자극때문에 치은염이 야기되는 것을 보면 세균막 형성은 양대구강병 발생에 핵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치면세균막 제거는 환경요인과 병원체요인을 조절함으로써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구강 위생관리법이다2-4).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의 관리가 중요한가 구강건강(Dental health)이란 상병에 이환되지 않고 정신작용과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구강조직 및 장기의 상태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1).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치아발거의 대표적 원인이 되는 중대 구강병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치면세균막 관리가 중요하다2). 즉, 구강병의 예방은 구강병 발생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 숙주요인 및 병원체요인 중 한 가지를 제거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기구를 차단함으로써 가능하다.
구강건강이란 무엇인가 구강건강(Dental health)이란 상병에 이환되지 않고 정신작용과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구강조직 및 장기의 상태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1).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치아발거의 대표적 원인이 되는 중대 구강병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치면세균막 관리가 중요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EJ, Lee MO.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d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adult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s. J Dent Hyg Sci 2010; 10(4): 241-50. 

  2. Lee HS, Kim YS. Comparis on study of oral health care and dental treatments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e patients.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2008; 8(3): 149-60. 

  3. Park HR. A study on the statu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labor of the D heavy industries. J Dent Hyg Sci 2006; 6(2): 93-9. 

  4. Kim SK.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outpatient as the central figure. J Dent Hyg Sci 2002; 2(2): 95-103. 

  5. So MH, Kim SS, Shin SB. A study on usage status of oral hygiene devices in some area. J Dent Hyg Sci 2010; 10(6): 1107-19. 

  6. Jang KA, Seong MG, Kang HK, Cho JO, Kim YS. Availability of oral hygiene devices for the patients with smoking in som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2009; 8(1): 7-12. 

  7. Lee YH, Moon HS, Paik DI, Kim JB. A survey on family dental health behavior in Seoul capital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0; 24(3): 239-54. 

  8. Seo EJ, Shin SC, Seo HS, Kim EJ, Jang YS. A survey on Koreans' behavior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3; 27(2): 177-93. 

  9. Kim JY, Jung GO.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treatment and use of present in dental patients. J Dent Hyg Sci 2009; 15(2): 61-70. 

  10. Paik DI.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about dental caries among Korean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3; 17(1): 1-12. 

  11. Lee BH. A study on the status recognition oral hygiene devices status by periodontal treatment needs. J Dent Hyg Sci 2009; 14(1): 45-53. 

  12. Lee KH. Influential factors for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6): 951-9.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06.951. 

  13. Park IS, Youn HJ.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ral health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 11(7): 243-53. 

  14. Chae MS. A study on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mong dental patients[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 of Daegu Haany, 2007. 

  15. Kim ES. A study on perceived oral health, oral health promotion and dental impact of daily living.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0; 24(2): 145-57. 

  16. Kim SJ. A survey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havior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Jeola-Bukdo. J Dent Hyg Sci 2009; 9(4): 387-95. 

  17. Kim YN, Kwon HK, Chung WG, Cho YS, Cho YH.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 29(3): 250-60. 

  18. Choi JH, Kim DK. Relation between self-recognition of major oral disease and food intake of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 33(2): 201-10. 

  19. Nam SM. A study on the practic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auxiliary supplies and oral health status of patients in "S" university dental clinic.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3): 373-81. 

  20. Gilbert L. Social factors and self-assessed oral health in South Afric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4; 22(1): 47-51. 

  21. Lee HS.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adults in Daegu.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46): 6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