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밭경작지 주변부의 식물 종조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ra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4 no.2, 2015년, pp.77 - 90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순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락중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성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구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조광진 (국립생태원) ,  한동욱 (국립생태원) ,  오영주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이욱재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양동우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박상규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나영은 (농촌진흥청 연구운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작지 내부와 구별되는 경작지 주변부는 작물 이외의 식물과 동물에게 생육, 월동 및 은신 등을 위한 중요한 장소이다. 특히, 밭경작지 내에 출현하는 대부분의 식물종은 이러한 밭경작지 주변부에서 주로 생육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밭경작지 주변부에 생육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2013년 5월과 9월에 8개 지역의 밭경작지 196 필지에 속하는 주변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3과 219속 311종 1아종 30변종 5품종을 포함하는 347분류군의 식물종이 확인되었고 이 중 48분류군이 목본이었으며 299분류군이 초본식물이었다. 과별로 국화과(17.6%)가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15.9%), 마디풀과(5.8%), 콩과(4.9%), 사초과(3.8%) 순이었다. 조사지점에 대한 상대빈도는 바랭이가 8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깨풀(86.2%), 쑥(82.1%), 닭의장풀(80.6%), 쇠비름(80.6%), 개망초(78.6%), 망초(78.6%) 등의 순이었다. 조사된 8개 지역은 종조성에 의해서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347분류군을 대상으로 한 교란지수는 55.0%로 산출되었고 지역별로는 강원지역이 72.5%로 가장 높았다. 생활형 조성은 $Th-R_5-D_4-e$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활형 특성은 건조한 토양수분조건, 빈번한 교란, 산림과 인접한 위치적 요소 등의 환경조건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경작지 주변부의 생태적 기능 및 종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field margins, which are uncultivated area of permanent vegetation located adjacent to field,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biodiversity in the agricultural ecosystem. This study focused on floristic characteristics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 Peninsula. METHODS AND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밭경작지 내에 출현하는 대부분의 식물종은 이러한 밭경작지 주변부에서 주로 생육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밭경작지 주변부에 생육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2013년 5월과 9월에 8개 지역의 밭경작지 196 필지에 속하는 주변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밭 경작지 주변부에 서식하는 식물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생태적 특성을 밝혀 향후 국내 경작지 생태계의 기능적 연구와 인위적인 관리로 인해 나타나는 식물상 변화 예측 및 농경지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작지 내부와 달리 경작지 주변부의 특징은? 경작지 내부와 구별되는 경작지 주변부는 작물 이외의 식물과 동물에게 생육, 월동 및 은신 등을 위한 중요한 장소이다. 특히, 밭경작지 내에 출현하는 대부분의 식물종은 이러한 밭경작지 주변부에서 주로 생육한다.
밭경작지 주변부가 농경지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경작지 내부와 구별되는 경작지 주변부는 작물 이외의 식물과 동물에게 생육, 월동 및 은신 등을 위한 중요한 장소이다. 특히, 밭경작지 내에 출현하는 대부분의 식물종은 이러한 밭경작지 주변부에서 주로 생육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밭경작지 주변부에 생육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잡초는 어떤 특징을 이용하여 경작지 주변부에 우점하는가? 인간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작지에는 상대적으로 생활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뛰어난 식물이 주로 생육한다. 일반적으로 잡초라 불리는 이러한 식물들은 포복형, 분지형의 생육형을 통한 빠른 번식과 탈립성이 강한 다량의 종자 생산 및 분산을 통해 경작지 주변부에 우점한다(Song, 1997). 잡초와 작물은 경쟁관계에 있으며 잡초의 발생과 작물의 수량과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 및 관리를 위한 조사연구가 주로 수행되어져왔다(Kim, 1970;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K. W., & Kim, J. W. (2005).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8(1), 31-36. 

  2. Altieri, M. A. (1999). The ecological role of biodiversity in agroecosystem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74(1), 19-31. 

  3. Banaszak, J. (1983). Ecology of bees (Apoidea) of agricultural landscape. Polish Ecological Studies, 9(4), 421-505. 

  4. Banaszak, J. (1992). Strategy for conservation of wild bee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40(1), 179-192. 

  5. Benabdelmoumene, F., Benabadji, N., Benchenafi, S., & Benmensour, D. (2014). Research of the eco-floristic data into the contribution of groups to halophyte, Hammam Boughrara Area West Algeria. European Scientific Journal, 10(29), 296-307. 

  6. Bennett, A. F., Henein, K., & Merriam, G. (1994). Corridor use and the elements of corridor quality: chipmunks and fencerows in a farmland mosaic. Biological Conservation, 68(2), 155-165. 

  7. Boatman, N. (1994). Field margins: integrating agriculture and conservation. BCPC Monograph 58.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UK. 

  8. Bunce, R. G. H., Howard, D. C., Barr, C. J., Cummins, R. P., & French, D. D. (1994). Botanical diversity in British hedgerows. Field Margins: Integrating Agriculture and Conservation/edited by N. Boatman, pp. 43-52. BCPC Monograph 58.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UK. 

  9. Cho, K. J., Kim, M. H., Kim, M. K., Na, Y. E., Oh, Y. J., & Choe, L. J. (2014).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by habitat types of dry field in Jeolla-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3(2), 86-102. 

  10. Cho, K. J., Oh, Y. J., Kang, K. K., Han, M. S., Na, Y. E., Kim, M., Choe, L. J., & Kim, M. H. (2013).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Forest Meteorology, 15(2), 85-101. 

  11. Choi, B. S., Song, D. Y., Roh, J. H., Ku, Y. C., & Lee, C. W. (2009). Distributional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differen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9(2), 139-149. 

  12. Chon, S. U., & Kim, D. K. (2005). Allelopathic potential of Xanthium occidentale extracts and residues.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5(3), 163-170. 

  13. Forman, R. T., & Baudry, J. (1984). Hedgerows and hedgerow networks in landscape ecology. Environmental Management, 8(6), 495-510. 

  14. Halley, J. M., Thomas, C. F. G., & Jepson, P. C. (1996). A model for the spatial dynamics of linyphiid spiders in farmland. Journal of Applied Ecology, 471-492. 

  15. Ishimine, Y. (1987). Studies on weed vegetation in sugarcane fields in the Ryukyu islands and ecology and physiology of injurious weed species. The Science Bulletin of the College of Agriculture, University of Ryukyu, 34, 95-185. 

  16. Kang, B. H. (1999). Weeds and exotic weeds occurred in rural and urban regions.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19(1), 34-69. 

  17. Kang, S. S., Paik, W. K., Lee, W. T., Jang, G. J., Yoo, K. O. (2006). Flora and vegetation of Mt. Bokgyes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208-226. 

  18. Kaule, G., & Krebs, S. (1989). Creating new habitats in intensively used farmland. Biological habitat reconstruction/edited by G.P. Buckley, pp. 161-170. Belhaven Press, London, UK. 

  19. Kim, J. J. (1970). Studies of weeds in up-land. Kyungpook University Theses Collection, 14, 149-160. 

  20. Kim, J. W., & Nam, H. K. (1998).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1(3), 203-215. 

  21. Kim, K. U., Woo, S. W., Chung, S. H., Lee, S. B., & Choi, D. U. (1987). Major weeds occurred in peanut fields and their competition. Research Bulletin of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 23-30. 

  22. Kim, S. C., Oh, Y. J., & Kwon, Y. W. (1992). Weed flora of agricultural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12(4), 317-334. 

  23. Kim, S. J., Ryu, J. K., You, O. J., Park, S. D., & Choi, B. S. (1998). Dominant weed speci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as) fiel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1), 44-50. 

  24. Kleijn, D., & Verbeek, M. (2000). Factors affec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arable field boundary veget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2), 256-266. 

  25. Lee, I. Y., Kim, C. S., Lee, J., Han, J. A., Kim, K. H., Kim, M. S., Song, H. K., & Kim, D. H. (2014b).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Weed & Turfgrass Science, 3(2), 102-109. 

  26. Lee, I. Y., Kim, C. S., Lee, J., Kim, J., Kim, K. H., Kim, M. S., Song, H. K., & Kim, D. H. (2014a).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Weed & Turfgrass Science, 3(2), 95-101. 

  27. Lee, I. Y., Park, J. E., Kim, C. S., Oh, S. M., Kang. C. K., Park, T. S., Cho, J. R., Moon, B. C., Kwon, O. S., Kim, K. H. Lim, S. T., Park, J. H., Song, D. Y., Seong, K. Y., Im, I. B., Kang, J. G., Kim, S., Ku, Y. C., Hwang, J. B., Song, S. B., Park, N. I., Ji, S. H., Kang, D. S., & Chung, K. I. (2007).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land of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7(1), 1-21. 

  28. Lee, T. 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p.928. Hyangmunsa, Seoul, Korea. 

  29. Lee, W. 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pp. 1-624. Academy Press., Seoul, Korea. 

  30.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p. 688, Academy Press., Seoul, Korea. 

  31. Marshall, E. J. P., & Moonen, A. C. (2002). Field margins in northern Europe: their functions and interactions with agriculture.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89(1), 5-21. 

  32. No, S. W., Gu, Y. C., Song, D. Y., Park, J. H., & Seong, G. Y. (2004).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4(1), 72-77. 

  33. Numata, M., 1969. Illustrated plant ecology, pp. 33-43, Ashakura Book Co. Tokyo, Japan, ISBN-10: 4254170181. 

  34. Oh, Y. J., Sohn, S. I., Kim, C. S., Kim, B. W., & Kang, B. H. (200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in paddy leve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 413-420. 

  35. Park, J. E., Lee, I. Y., Park, T. S., Im, S. T., Mun, B. C., Kim, C. S., Jo, J. L., O, S. M., Im, I. B. Hwang, J. B., & Gu, Y. C.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3(3), 277-284. 

  36. Park, S. J., Park, S. J., & Son, S. W. (2009). The flora of coastal sand dune area in Gyeongsangbuk-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392-410. 

  37.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p. 1-575, Ilchokak, Korea, ISBN: 9788933705629. 

  38. Potts, G. R. (1986). The partridge: pesticides, predation and conservation. Collins, London, UK, ISBN-10:0003832988. 

  3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p.623, Oxford Univ. Press, London, UK. 

  40. Shim, S. I., Sonn, Y. K., Lee, S. G., & Kang, B. H. (1991). Studies on the allelopathic effects of the several weeds.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11(3), 211-218. 

  41. Song, J. 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0(3), 191-200. 

  42. Takaesu, Y. (1991). Composition of weed communities in main crop fields in Okinawa prefecture. Weed Research, Japan, 36(4), 352-361. 

  43. Tew, T. E., Todd, I. A., & Macdonald, D. W. (1994). Field margins and small mammals. Field Margins: Integrating Agriculture and Conservation (ed. N. Boatman), pp. 85-94. BCPC Monograph 58.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UK. 

  44. Tim, U. S., & Jolly, R. (1994). Evaluating agricultural nonpoint-source pollution using integra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hydraulic/water quality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3(1), 25-35. 

  45. Van Emden, H. F. (1990). Plant diversity and natural enemy efficiency in agroecosystems. Critical issues in biological control/edited by Manfred Mackauer and Lester E. Ehler, Jens Roland, pp. 63-80. Intercept, Andover, UK. 

  46. Wiens, J. A. (1992). Ecological flows across landscape boundaries: a conceptual overview. In Landscape boundaries 217-235. Springer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