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밭경작지 귀화식물의 생활형과 정착 특성
Life Form and Natu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Upland Field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4 no.2, 2016년, pp.63 - 72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조광진 (국립생태원) ,  오영주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양동우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이욱재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박상규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최순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어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나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밭경작지는 건조한 환경조건과 지속적인 인간의 교란을 받는 곳으로서 국외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국내에 유입된 외래식물들이 정착하여 귀화식물이 될 수 있는 좋은 장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밭경작지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의 생활형 특성, 귀화도, 귀화시기 등을 분석하였다. 식물상은 전국을 대상으로 2013년 5~6월과 8~9월에 전국 각 도별 4지역을 선정하여 총 222개 필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03과 320속 448종 2아종 74변종 15품종을 포함하는 539분류군의 식물종이 확인되었고 이 중 귀화식물은 23과 64속 91종 8변종으로 총 99분류군이었다. 전국 밭경작지의 도시화지수는 30.65%이며, 귀화율은 18.37%를 나타냈다. 밭경작지 귀화식물 중 국화과가 3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벼과가 14분류군이었다. 휴면형으로 구분하면 귀화식물 99분류군 중 78분류군이 일년생식물이었다. 번식형 중 지하 기관형은 $R_5$식물이 86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R_3$식물이 11분류군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산포기관형은 $D_4$를 가진 것이 6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D1을 가진 것이 26분류군으로 많았다. 생육형은 직립형 (e)이 26분류군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최근에 귀화하였지만 귀화도가 높은 귀화식물을 중심으로 그들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식물들은 국내 유입 후 정착 및 전국적 확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특성은 풍수산포형 종자를 가진 것, 종자생산력이 높은 것, 종자의 수명이 긴 것, 종자의 발아율이 높은 것 및 휴면하지 않고 바로 발아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귀화식물들은 향후 국내에서 분포지 확산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ife form characteristics, naturalized degree and introduction period of naturalized plants on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The survey sites were selected in 222 upland fields over 9 provinces where are relatively dry soil conditions and are disturb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밭경작지는 건조한 환경조건과 지속적인 인간의 교란을 받는 곳으로서 국외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국내에 유입된 외래식물들이 정착하여 귀화식물이 될 수 있는 좋은 장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밭경작지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의 생활형 특성, 귀화도, 귀화시기 등을 분석하였다. 식물상은 전국을 대상으로 2013년 5~6월과 8~9월에 전국 각 도별 4지역을 선정하여 총 222개 필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래식물의 정착이 상대적으로 쉽고, 작물의 생산성과도 직접적 영향이 있는 전국의 밭경작지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의 생활형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에 정착 및 확산에 유리한 생활형 특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생물종 지식 정보시스템에 국내 귀화식물은 얼마나 보고되어 있는가? Park(1995)은 인간, 동물, 화물 등의 매개에 의하여 해외의 자생지로부터 국내에 유입되어 우리나라 국토에서 야생하게 된 식물과, 정책에 의한 의도적인 수입 재배종이 자연에 일출되어 야생화된 식물을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 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38과 168속 309종 14품종 323분류군이 귀화식물로 보고되어 있다(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www.nature.
귀화식물이란? Park(1995)은 인간, 동물, 화물 등의 매개에 의하여 해외의 자생지로부터 국내에 유입되어 우리나라 국토에서 야생하게 된 식물과, 정책에 의한 의도적인 수입 재배종이 자연에 일출되어 야생화된 식물을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 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38과 168속 309종 14품종 323분류군이 귀화식물로 보고되어 있다(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www.
귀화식물의 특징은? kr). 귀화식물은 농경지, 도로변, 인가 주변 등 인위적 교란을 받아 자연이 훼손된 광조건이 좋은 입지에 침입하여 정착하며, 대부분이 일년생 초본이다(Yim and Jeon 1980; Lim and Hwang 2006; Park et al. 2007; Yang 2007;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ousens RD and M Mortimer. 1995. Dynamics of weed pop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 Itoh K, Y Tokura and A Hongo. 2008. The daynamics of abundances of alien plants in Tokachi district of Hokkaido. J. Weed Sci. Tech. 53:69-76 (in Japanese). 

  3. Kang BH. 1999. Weeds and exotic weeds occurred in rural and urban regions. Korean J. Weed Sci. 19:34-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BH and SI Shim. 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207-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in Japanese). 

  6. Kim CS, YJ Chung, IY Lee, JR Lee, HK Song and YJ Oh. 2015.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crop field in Jeju-do. Weed Turf. Sci. 4:236-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S and CH Oh.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Kor. J. Env. Eco. 25:389-4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MH, SK Choi, MK Kim, LJ Choe, SC Hong, GB Jung, Kj Cho, D Han, YJ Oh, WJ Lee, D Yang, S Park and YE Na. 2015. Characteristics of flora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Environ. Agric. 34:77-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IY, YJ Oh, SH Hong, JK Choi, SJ Heo, CY Lee, KS Hwang, KW Park, SH Cho, OD Kwon, IB Im, SK Kim, DG Seong, YJ Chung, CS Kim, J Lee, HA Seo and HM Jang.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159-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T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11.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12.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3. Lee YH, YJ Oh, SH Hong, CS Na, YE Na, CS Kim and SI Sohn. 2015.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invasive alien plant Conyza bonariensi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J. Climate Change Res. 6:243-2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YM, SH Park and SS Jung. 2002b.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 J. Env. Eco. 16:271-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YM, SS Kim, DK Cho and SS Jung. 2002a. The flora in Chungnyeongsan and Seorisan. Kor. J. Env. Eco. 16:104-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im DO, HS Kim and MS Park. 2009.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3:506-5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im DO and IC Hwang. 2006.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18:288-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kanishi K, H Nakanishi and N Iwanaga. 2006. Naturalized plants in Nagasaki prefecture with reference to global warming. J. Environ. Studies, Nagasaki Univ. 8:39-5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1.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Ashakura Book Co. Tokyo. 

  22. Oh HK, DO Lim and YS Kim.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105-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Oh HK and MH Go. 2005.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of mountain ridge in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Chirisan Manbokdae and Shiribong-. J. Korean Inst. For. Recre. 9:3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25. Park SJ, GJ Hwang, SJ Park and SW Son. 2007. The study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Kor. J. Env. Eco. 21: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SJ, JH Kim, SM Kim, HD Park, BJ Woo and KY Bec. 2004.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Kor. J. Env. Eco. 18:18-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ark SJ, SJ Park and SW Son. 2009. The flora of coastal sand dune area in Gyeongsangbuk-do. Kor. J. Env. Eco. 23:392-4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imental D, L Lach, R Zuniga and D Morrison. 2000.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non-indigenous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Bioscience 50:53-64. 

  2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30. Ryang HS, DS Kim and SH Park. 2004. Weeds of Korea. Morphology.Physiology.Ecology.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ins. Seoul (in Korean). 

  31. Yang YH. 2007.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 J. Weed Sci. 27:112-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ou JH, YH Jin, HW Jang, DW Lee, HB Yun, GY Lee and CH Lee. 2003.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Kor. J. Env. Eco. 17:210-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