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암모니아 침출법
Ammoniacal Leaching for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Materials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4 no.3, 2015년, pp.44 - 50  

구희숙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정여진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강가희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송이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수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양동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강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손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권경중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생산량도 증가하여 효율적인 전지 재활용 기술이 요구된다. 폐리튬이온전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건식제련과 습식제련에 기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된 폐리튬이온전지의 양극활물질을 습식제련에 기반한 암모니아침출법을 이용하여 활물질 내의 유용금속인 Ni, Mn, Co의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물리적으로 처리된 활물질의 입자크기는 -65 mesh이며, 주된 원소는 14.0 wt% Ni, 13.0 wt% Mn, 5.7 wt% Co이다. 암모니아, 환원제 (아황산암모늄), pH 완충제 (탄산암모늄 혹은 황산암모늄)의 존재하에 각 금속의 침출거동을 확인하고, 또한 침출시간과 온도에 따른 침출률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환원제의 존재는 Ni과 Co의 침출률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암모니아침출법은 산침출법과 달리 Ni/Co와 Mn의 선택적인 침출이 가능하여 침출된 유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산침출 후 수반되는 침전과정 시 필요로 하는 추가 염기성 시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ycling technologies would be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increasing demand in lithium ion batteries (LIBs). In this study, the leaching behavior of Ni, Co and Mn is investigated with ammoniacal medium for spent cathode active materials, which are separated from a commercial LIB pack in hybrid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의 리튬이온전지 팩으로부터 분리된 양극활물질을 분쇄하여 Ni, Mn, Co의 침출거동을 암모니아매질에서 조사하였다. 각 금속의 침출거동은 환원제로서는 아황산암모늄과 pH 완충제로서는 탄산암모늄 혹은 황산암모늄 존재 하에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18) 특히, 리튬이온전지의 산침출에서 Co의 완전한 침출을 위해 과산화수소와 같은 환원제가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2,8,9) 반면에 Mn은 암모니아와 안정한 착이온을 형성하지 않는다. 열역학적으로 Mn은 암모니아용액에서 수산화물, 산화물 혹은 탄산염에 해당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전지의 용도는? 리튬이온전지(LIBs, lithium ion batteries)는 전기자동차의 전력원을 비롯하여,1) 핸드폰, 노트북, 비디오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2) 높은 출력밀도 및 에너지밀도, 긴 충방전 수명, 낮은 자기방전효율, 넓은 작동 온도 범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3) 2015년까지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6억 3천 5백만 대 정도 팔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생산은 급속도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폐리튬이온전지의 유가금속의 침출 조건은? 특히, Ni, Mn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때문에 Co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Co는 황산 혹은 염산에서 거의 침출이 되며, 환원제인 과산화수소가 존재할 경우 침출률은 더 증가한다.2,6-11) Ni과 Mn도 염산침출에서 쉽게 침출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은? 리튬이온전지(LIBs, lithium ion batteries)는 전기자동차의 전력원을 비롯하여,1) 핸드폰, 노트북, 비디오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2) 높은 출력밀도 및 에너지밀도, 긴 충방전 수명, 낮은 자기방전효율, 넓은 작동 온도 범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3) 2015년까지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6억 3천 5백만 대 정도 팔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생산은 급속도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tachei, V. et al., 2011: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Li-ion batteries: a review, Energy Environ. Sci., 4, pp. 3243-3262. 

  2. Al Hossaini Shuva, M. and Kurny, A.S.W., 2011: Hydrometallurgical recovery of value metals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ies, Am. J. Mater. Eng. Technol., 1(1), pp. 8-12. 

  3. Zhang, X. et al., 2013: An overview on the process and technologies for recycling cathodic active materi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J. Mater. Cycles. Waste. Manag., 15, pp. 420-430. 

  4. Chagnes, A. and Pospiech, B., 2013: A brief review on hydrometallurgical technologies for recycling spent lithium-ion batteries, J. Chem. Technol. Biotechnol., 88, pp. 1191-1199. 

  5. Zeng, X., Li, J. and Singh, N., 2014: Recycling of spent lithium-ion battery: a critical review, Crit. Rev. Environ. Sci. Technol., 44, pp. 1129-1165. 

  6. Lee, C.K. and Kim, T.H., 2000: Leaching of cathodic active materials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y,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9, pp. 37-43. 

  7. Son, S.H. et al., 2014: Leaching of valuable metals from NCM cathode active materials in spent lithium-ion battery by malic acid,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3, pp. 21-29. 

  8. Shin, S.M. et al., 2005: Development of a metal recovery process from Li-ion battery wastes, Hydrometallurgy, 79, pp. 172-181. 

  9. Ferreira, D.A. et al., 2009: Hydrometallurgical separation of aluminium, cobalt, copper and lithium from spent Li-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87, pp. 238-246. 

  10. Wang, R.C., Lin, Y.C. and Wu, S.H., 2009: A novel recovery process of metal values from the cathode active materials of the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Hydrometallurgy, 99, pp. 194-201. 

  11. Joulie, M., Laucourtnet, R. and Billy, E., 2014: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he recovery of high metals from spent lithium nickel cobalt aluminum oxide based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247, pp. 551-555. 

  12. Bhuntumkomol, K., Han, K.N. and Lawson, F., 1982: The leaching behavior of nickel oxides in acid and in Ammoniacal solutions, Hydrometallurgy, 8, pp. 147-160. 

  13. Das, R.P. et al., 1986: Leaching of manganese nodules in ammoniacal medium using glucose as reductant, Hydrometallurgy, 16, pp. 335-344. 

  14. Rokukawa, N., 1992: Extraction of nickel, cobalt and copper from ocean cobalt crusts with ammoniacal alkaline solution, Shigen-to-sozai, 108(3), pp. 187-191. 

  15. Niinae, M. et al., 1996: Preferential leaching of cobalt, nickel and copper from cobalt-rich ferromanganese crusts with ammoniacal solutions using ammonium thiosulfate and ammonium sulfite as reducing agents, Hydrometallurgy, 40, pp. 111-121. 

  16. Senanayake, G., 2010: Comparative leaching of spent zincmanganese- carbon batteries using sulfur dioxide in ammoniacal and sulfuric acid solutions, Hydrometallurgy, 105, pp. 36-41. 

  17. Yoo, K.K. and Kim, H.J., 2012: Development of Ammoniacal leaching processes; a review,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1, pp. 3-17. 

  18. Han, K.N., Hoover, M. and Fuerstenau, D.W., 1974: Ammonia-ammonium leaching of deep-sea manganese nodules, Int. J. Miner. Process., 1, pp. 215-230. 

  19. Katsiapi, A. et al., 2010: Cobalt recovery from mixed Co- Mn hydroxide precipitates by ammonia-ammonium carbonate leaching, Miner. Eng., 23, pp. 643-651. 

  20. Kumbasar, R.A. and Kasap, S., 2009: Selective separation of nickel from cobalt in ammoniacal solutions by emulsion type liquid membranes using 8-hydroxyquinoline (8-HQ) as mobile carrier, Hydrometallurgy, 95, pp. 121-126. 

  21. Vu, C., Han, K.N. and Lawson, F., 1980: Leaching behavior of cobaltous and cobalto-cobaltic oxides in ammonia and in acid solutions, Hydrometallurgy, 6, pp. 75-87. 

  22. Bingol, D., Canbazoglu, M. and Aydogan, S., 2005: Dissolution kinetics of malachite in ammonia/ammonium carbonate leaching, Hydrometallurgy, 76, pp. 55-62. 

  23. Miyake, M. and Maeda, M., 2006: Dissolution of nickel hydroxide in ammoniacal aqueous solutions, Metall. Mater. Trans. B, 37B, pp. 181-188. 

  24. Shin, S.M. et al., 2008: Selective leaching of zinc from spent zinc-carbon battery with ammoniacal ammonium carbonate, Mater. Trans., 49(9), pp. 2124-2128. 

  25. Shin, S.M. et al., 2007: Comparison acid and alkaline leaching for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zinccarbon battery, Geosyst. Eng., 10(2), pp. 2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