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도성(都城) 중층건물의 건축형식 전개(展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volution of Multi-storied Buildings in Hanyang, the Capital of Josu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3, 2015년, pp.17 - 29  

류성룡 (계명대학교 전통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multi-storied buildings in Hanyang, the capital city of Joseon Dynasty. The changes are divided into 3 phases in the viewpoint of architectural types and building types. The first phase i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to Korea and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은 어떻게 나뉘는가?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1)은 건물의 용도에 따라 사찰 건축과 관영 건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관영 건축은 다시 문루건축과 궁궐의 정전건축으로 나눌 수 있다. 또 가구 형식에 따라 분류한다면 온간물림과 반간물림으로 나눌 수 있고, 반간물림 형식은 상층 기둥 설치 방식에 따라 다시 귓보 형식, 귀잡이 형식, 귓고주 형식 그리고 기타 형식2)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중층건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확인된 특징적 사실의 예는? 이상의 조선시대 중층건축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서 시대, 형식, 유형에 따른 특징적 사실들이 확인된 바 있다. 예를 들면 17세기 사찰의 중층불전은 온간물림 형식과 함께 반간물림 형식에서는 귓보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고, 다포 중층문루에서는 반간물림 형식 중 귀잡이보 방식인 경우가 많으며, 반간물림 형식 중 귓고주를 사용한 사례는 조선시대 한양의 다포 문루건축과 궁궐의 정전건축에서만 볼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 중층건축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조선시대 중층건축의 흐름을 살펴보면 임진왜란 이전, 임진왜란 이후부터 18세기 상반기까지, 18세기 하반기 이후 등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임진왜란 이전의 중층 건물로는 숭례문을 비롯하여 평양 보통문과 대동문이 남아있고, 임진왜란 이후부터 18세기 중반까지는 사찰의 대규모 중층불전이 많이 중건되었으며, 18세기 후반 이후로는 관영 문루 건축과 궁궐 정전 건축이 다수 건축되는 등 시대에 따라 다른 양상이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im Je City, A Survey Report of Mi-Reuk Jeon, Geum-San Sa, 2000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Preservation Treatment Report of GeunJungMun, GyungBokGung, 2000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Preservation Treatment and Survey Report of Geunjungjun, 2003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Preservation Treatment and Survey Report of Junghwajun, 2001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urvey Report of Dae-Woong Jeon, Bup-Ju Sa, 2005 

  6. Jung-Gu Province, Seoul City, A Detailed Survey of Sung-Rye-Mun, 2006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Detailed Survey of Dae-Woong-Bo Jeon, Dae-Gwang-Bo Jeon Ma-Gok Sa, 2009.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Detailed Survey of Gak-Hwang Jeon, Hwa-Eum Sa, 2009. 

  9.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Preservation Treatment Report of Pal-Sang Jeon, Bup-Ju Sa, 1998 

  1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Survey Report of In-Jung-Jeon, Chang-Duk-Gung, 1998 

  11. Pu Ye County, A Survey Report of Geuk-Rak Jeon, Mu-Ryang Sa, 2000 

  12. Suwon City, A Preservation Treatment Report of Pal-Dal-Mun, Su-Won, 2013 

  13. Kim, Bong-Gun,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with Multi-roof, Doctorate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14. Kang Bongjin, A Report of Surveying in the Janganmun in Suwon Cast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5 No.3, 1971, p.46-54 

  15. Ryoo, Seong-Lyong, A Study on the Designing Da-Po bracket sets in early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8 No.7, 2012. 7, p.151-160 

  16. Ryoo, Seong-Lyong,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17th Century Multi-storied Buddhist Hal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0 No.6, 2014. 6, p.169-176 

  17. Yi, Eun-Soo, Hong, Byung-Hwa, Kim, Sung-Woo, A Timber Structure of Coner Part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Multi-storied Buildings of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5 No.12, 2009, p.299-308 

  18. Yi, Kyung-Me, Builders of the Paldalmun and their buildings technique, Suwon History and Culture Study, 2013, p.147-174 

  19. Hwa-Sung-Seong-Yuk-Yi-Gwe 

  20. Gung-Gwel-Ji 

  21. In-Jung-Jun-Yeong-Gun-Do-Gam-Yi-Gwe 

  22. Jung-Hwa-Jun-Yeong-Gun-Do-Gam-Yi-Gw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