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측4량가 건축의 구조와 특징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Design Concept of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8 no.6, 2019년, pp.7 - 18  

김버들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sign concept of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mainly in Sungkyunkwan(Confucian Shrines), Changgyeonggung palace and Changdeokgung pal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has the same height pillars, which was useful to con...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4량(仄四樑)이란 무엇인가? 이들 사례는 이러한 구조 역시 예외나 변칙이 아니라 ‘정형’과 ‘법식’으로 간주되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주의 높이가 같으면서 지붕의 물매와 단면적이 다른 4량 가구의 유형을 ‘측4량(仄四樑)’이라고 명명하고, 측4량 건축의 구조적 특징 및 이것이 반영하는 조선전기의 건축 인식을 살피고자 한다.
전형적인 지붕 가구의 인식은 무엇인가? 한편, 추녀의 유무와 관계없이, 지붕 가구에 대한 인식은 3량, 5량 등 도리의 수가 홀수로 구성되는 것을 전형으로 여긴다. 종도리가 양통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측4량이 예외나 변칙이 아니라 정형과 법식으로 간주되었음을 알 수 있는 근거는? 이러한 구조는 성균관, 궁궐과 궁방, 양반가 등 권위 있는 건축에서 확인되며, 17세기 건축이 다수 유지되었던 ‘동궐도(東闕圖)’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사례는 이러한 구조 역시 예외나 변칙이 아니라 ‘정형’과 ‘법식’으로 간주되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고전종합DB 

  2.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한국고전종합DB 

  3. 궁궐지(御製宮闕志), 한국학중앙연구원, K2-4363 

  4. 고려대학교 박물관, 동궐, 고려대학교.동아대학교 특별전 도록, 2013 

  5. 건축역사학회, 영조규범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6.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목구조 결구법, 2014, 국립문화재연구소 

  7. 권아송, 조선시대 주택에서 ㄱ자 꺾음부의 내부공간 변화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8 

  8. 김도경,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현암사, 2014 

  9. 김도경, 조선후기 관찬문서의 목조건축, 건축역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7, 357-368쪽 

  10. 김버들?이종서,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 건축역사연구, 27권, 2호, 2018, 39-50쪽 

  11. 김버들?이종서, 조선시기 궁궐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 61-72쪽 

  12. 김석현, 헛보의 구성과 의장을 통해 본 한국 다포계 건축의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32권, 2호, 2016, 145-156쪽 

  13. 김희철 남호헌, 수선사형지기에 나타난 고려시대 송광사 건물에 관한 연구, 호남문화연구, 42, 2008, 143-167쪽 

  14. 노명호 등 8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5. 문화재청, 문묘실측조사보고서, 2006 

  16. 문화재청, 집복헌.영춘헌 수리공사보고서, 2000 

  17. 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 동궐도, 1999 

  18. 서울학연구소, 궁궐지 I(서울학 번역총서, 1), 1994 

  19. 성균관대학교 교사편찬위원회,성균관대학교 육백년사(成均館大學校六百年史): 1398-1998, 1998 

  20. 양재영, 한국 목조건축 가구의 수평비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권, 9호, 2008, 197-208쪽 

  21. 양재영, 조선시대 다포건축의 출목과 도리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10호, 2003, 129-136쪽 

  22.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23. 윤기 저 이민홍 역, 조선조 성균관 교원과 태학생의 생활상_반중잡영 완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24. 전봉희 이강민, 3칸 ${\times}$ 3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5. 정연상, 맞춤과 이음, 도서출판 고려, 2010 

  26. 종로구청, 서울문묘일원 종합정비계획, 2009 

  27. 최연식, 고려 사원형지안의 복원과 선종사원 공간 구성 검토, 불교연구, 제38집, 2013, 155-191쪽 

  28. 태학지 번역사업회, 국역 태학지, 성균관, 1994 

  29. 황종국 등 6인, 힘의 흐름을 고려한 전통 목조가구의 구조 형식 분류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2권, 2호, 2006, 35-41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