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보건학적 관점에서 본 메르스 사태의 문제점 - 병원 실내공기질 관리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Health - Focusing on Control of Indoor Air Quality in Hospitals -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1 no.3, 2015년, pp.216 - 221  

허다안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과학과) ,  이정현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과학과) ,  허은혜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과학과) ,  문경환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환경융합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Patient Zero of MERS was diagnosed in May 20, 2015, cases of MERS continued to grow. The current situation, which people have been confirmed to be infected, suggested that contaminated indoor air could be the potential caus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ind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은 병원 환경의 표준제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병원내 실내공기질 관리가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의 메르스 사태를 통해 알 수 있는 국내 병원 실내공기질 관리의 문제점을 언급하고, 추후 개선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병원체의 에어로졸을 통한 전파 가능성과 병원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메르스-코로나 바이러스는 기관 내 삽관 등의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치료를 수행할 때에 제한적으로 바이러스가 부유할 수 있는 상황이 형성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에 따르면 병원 내 화장실과 청소도구 보관함 등 몇몇 주의해야 할 공간은 격리병동이 아니더라도 발생한 공기를 전량 외부로 내보낼 것을 권고하고 있다.24)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감염병 환자는 일반병동에서도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염병 환자가 발견되었을 때 신속하게 실내공기를 재사용하지 않는 분리된 공조시스템을 보유해야 한다. 이미 완공된 병원 건물들은 공조 시스템을 분리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소요될 것이므로, 추후 지어지는 병원 건물들을 중심으로 공조 설비 부분을 분리시키는 설계를 권고할 필요가 있다.
  • 또한 입자의 크기가 큰 비말이라 할지라도 증발을 통해 비말핵(droplet nuclei)으로 바뀔 수 있으며, 이는 먼 거리까지 감염을 전파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8) 물론 아무리 비말이 공기 중으로 퍼진다고 해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대부분의 병원체가 이번 메르스-코로나 바이러스(MERS-CoV)처럼 일반적인 기침이나 호흡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면10) 공기전파는 크게 염려할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이란 무엇인가? 에어로졸(aerosol)은 미세한 고체의 콜로이드(colloid) 나 액체 방울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 또는 고체 입자는 대체로 1 µm 정도의 직경을 가지지만 에어로졸의 크기는 0.
에어로졸의 전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001 µm에서 100 µm 로 다양하다.6) 에어로졸을 통해 병원체의 전파가 일어날 수 있는데, 에어로졸의 크기에 따라 비말전파 (droplet transmission)와 공기전파(aerosol transmission) 로 구분한다.7)
종합병원에서 채택하고 있는 강제 환기 방식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대다수 종합병원은 자연환기 보다는 강제 환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3) 강제 환기 방식이란 송풍기, 환기 팬 등에 의해 실내공기를 강제적으로 내보내고 외부공기를 끌어들이는 환기방법을 뜻한다. 대표적인 강제 환기 방식으로는 공기조화시스템(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공조시스템) 이 있으며, 이 설비는 주로 실내의 온습도와 기류를 조절하고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ormation. Available: http://www.mers.go.kr/mers/html/jsp/main.jsp [accessed 21 June 2015]. 

  2. Leggett HC, Cornwallis CK, West SA. Mechanisms of pathogenesis, infective dose and virulence in human parasites. PLos Pathog. 2012; 8(2): e1002512. 

  3. Pastuszka, J., Kyaw Tha Paw, U., Lis, D., Wlazlo, A., Ulfig, K. Bacterial and fungal aerosol in indoor environment in upper silesia, Poland. Atmospheric Environment. 2000; 34: 3833-3842. 

  4.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Bioaerosols assessment and control. ACGIH; 1999. 

  5. Riley, R. L. The ecology of indoor atmospheres airborne infection in hospital.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972; 25: 421-423. 

  6. Hinds W. Aerosol technology: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2nd ed. New York: Wiley; 1999. 

  7. J. Gralton, E. Tovey, M.L. McLaws, W.D. Rawlinson. The role of particle size in aerosolized pathogen transmission: a review. Journal of Infection. 2011; 62: 1-13. 

  8. Tang JW, Li Y, Eames I, Chan PK, Ridgway GL. Factors involved in the aerosol transmission of infection and control of ventilation in healthcare premise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6; 64(2): 100-114. 

  9. Utrup LJ, Frey AH. Fate of bioterrorism-relevant viruses and bacteria, including spores, aerosolized into an indoor air environment.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004; 229(4): 345-350. 

  10. Butler D. South Korean MERS outbreak is not a global threat. Nature news; 2015. Available: http://www.nature.com/news/south-korean-mers-outbreakis-not-a-global-threat-1.17709 [accessed 21 June 2015]. 

  11.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WHO; 2014. Available: http://www.who.int/csr/don/2014_04_11_mers/en/# [accessed 21 June 2015]. 

  12. Tang JW, Li Y, Eames I, Chan PK, Ridgway GL. Factors involved in the aerosol transmission of infection and control of ventilation in healthcare premises.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6; 64(2): 100-114. 

  13. Eun-Gyu Lee. A study on distribution of airborne bioaerosols among different areas in a hospital[dissertation].[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14. Sung Min, Kim, Yong Sik, Kim. A study on the HVAC system for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general hospital ward area. Architectural Research. 1996; 16(1): 201-205. 

  15. Ju hyeon, Shin. HVAC system of modern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Clean Technology. 2002; 15(3): 47-71. 

  16. Dong-Uk Park, Jeong-Kwan Yeom, Won Jae Lee, Kyeong-Min Lee, Assessment of the levelof airborn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in hospital lobb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3; 10(2): 541-555. 

  17. Hyeon Uk, Kim.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office building indoor air qu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5; 208: 22-25. 

  18. Noll H., Youngner J.S. Virus-lipid interactions. The mechanism of adsorption of lipophilic viruses to water insoluble polar lipids. Virology, 1959; 8: 319-343. 

  19.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Extension,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Selection and use of disinfectants. Available: http://www.ianrpubs.unl.edu/epublic/archive/g1410/build/g1410.pdf [accessed 21 June 2015].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Health-Care Settings. CDC; 2005. 

  21.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 Washington, DC: American Institution of Architects; 2006. 

  22.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HVAC design manual for hospitals and clinics. Atlanta (GA):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2003. 

  23. National Health Service. Design considerations: ventilation in healthcare premises. Health technical memorandum 2025. London: National Health Service Estates; 1994. 

  24. Industrial Air Solutions. AIA ventilation requirements hospitals and outpatient. Available: http://www.industrialairsolutions.com/contamination-control/hospital-air-purifiers-pdf/AIA-Guidelinespatient-care-construction.pdf [accessed 21 June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