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이 산업재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Occupational Accidents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6 no.1, 2016년, pp.90 - 98  

장공화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occupational acci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rom the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실시현황과 교육실시가 산업재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12년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결과 중 안전보건교육과 관련된 응답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2009년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자료와 비교하였다. 교육과정별, 규모별 교육실시율을 분석하였고, 교육실시와 사업장 재해자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동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2012년 실시된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별 산업안전보건교육실태 및 산업재해발생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2009년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산업재해예방활동 중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재해 원인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또한 2014년 기준 산업재해로 인한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은 약 3조 9천억 원이며, 직⋅간접손실을 포함한 추정 손실액은 약 20조 원에 달해 경제적 손실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MoEL, 2015). 산업재해 원인은 다양하게 분석될 수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물적, 환경적, 인적 요인이 나눌 수 있으며,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산업재해 예방활동은 이 원인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중 물적 요인 역시 인간이 관리하는 것으로, 결국 재해의 원인은 안전의식, 안전관리 등 인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Kang & Chang, 2004).
산업재해의 안전의식, 안전관리 등 인적 요인을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산업안전 보건교육은 어떤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되는가? 이 중 물적 요인 역시 인간이 관리하는 것으로, 결국 재해의 원인은 안전의식, 안전관리 등 인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Kang & Chang, 2004). 산업안전 보건교육은 인적 요인을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업주 및 근로자의 지식, 태도, 신념을 변화시켜 안전행동을 실천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산업재해발생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KOSHA, 2012a).
우리나라 산업재해율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53%로 나타났다. 산업재해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선진국 등과 비교 시 아직 높은 수준이며, 특히 사망재해는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또한 2014년 기준 산업재해로 인한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은 약 3조 9천억 원이며, 직⋅간접손실을 포함한 추정 손실액은 약 20조 원에 달해 경제적 손실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MoE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hr, Paula C. 2000. "Efficacy of office ergonomics educ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4): 243-255. 

  2. Bohr, P. C. 2002. "Office ergonomics education: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participatory methods." Work (Reading, Mass.), 19(2): 185-191. 

  3. Brisson, Chantal, Sylvie Montreuil, and Laura Punnett. 1999. "Effects of an ergonomic education program on workers with video display unit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55-263. 

  4. Duffy, Orla M. and Diane E. Hazlett. 2004. "The impact of preventive voice care programs for education teacher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ice, 18(1): 63-70. 

  5. Greene, Brenda L., David M. DeJoy, and Stephen Olejnik. 2005. "Effects of an active ergonomics education program on risk exposure, worker beliefs, and symptoms in computer users." Work: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 Rehabilitation,. 

  6. Kang JC, Chang SR. 2004. "Incentive model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SOS, 19(4): 130. 

  7. Ko JG. 2007. "Promoting effectiveness and the reinforcing strategies for employee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 Journal of Korea Sciety of Comparsion Labor Law, 12: 7-39. 

  8.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2006. The Reinforcing Strategies for Employee Regular Safety and health in Workplace. 

  9.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2012a.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2012b.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1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cited2015.11.19].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12. Lee BH, Jung SI. 2007. "A study on effective safety education plan to prevent industrial disaste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9(2): 19-31. 

  13. Lee JG, Ryu SW, and Seo SK. 2011. "A study on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improving the worker's safety awaren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26(6): 90-96.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a.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3.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09.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2.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3.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4. 

  1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a. "Enforcement decre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b.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cited 2015.11.19]. Available from: http://oshri.kosha.or.kr/bridge?menuId9081. 

  22. Rhee KY, Kim KS, Yoon YS. 2013.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ion compliance and occupational injuries - focusing on logistic and poisson regression analysis -."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5(2): 9-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