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류도 그리기를 통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동해 해류에 대한 지식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 of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East Sea's Currents through Drawing Schematic Current Map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3, 2015년, pp.258 - 279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지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최병주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이상호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김영택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해류 모식도 그리기를 통해 드러난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의 동해 해류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2명의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이 총 6시간의 해류도 관련 학습과 실습 과정을 거쳤으며, 사전과 사후 그리고 지연된 사후 동해 해류 모식도 그리기를 수행하였다. 또한, 작성된 해류 모식도를 수치화 과정을 거쳐 변환하여 이 해류 모식도에서 드러난 참여 교사들의 동해 해류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해 해류에 대한 참여 교사들의 사전 지식을 분석한 결과, 해류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 개념에 대해서는 잘못된 지식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3차에 걸쳐 작성된 참여 교사들의 동해 해류 모식도를 분석한 결과, 연수 후 동해 해류 양상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에 따른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수 직후보다는 지연된 사후 단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류도 실습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참여 교사들은 해류도와 해류 교육의 필요성,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교과서 해류도의 개선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습활동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내용 지식의 중요성 인식 및 교수 전략과의 연계, 중등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습활동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교과내용학 지식이 효과적인 과학 교수에 중대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urrents of the East Sea through drawing of a schematic map of oceanic currents. For this purpose, thirty two earth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ix-hour long training of learning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체론적 지식이란? SMK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실체론적(substantive) 구조와 구문론적(syntactic) 구조를 포함하는 지식이다(Schwab, 1978; Grossman, 1990). 실체론적 지식은 학문의 개념적 조직에 관한 원리와 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사실, 개념, 그리고 내용 영역의 원리와 관계를 포함하는 지식이며, 구문론적 지식은 현재 과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 지는 새로운 지식의 정립 과정, 패러다임, 규준, 합의에 관한 지식으로, 학문 본래의 가치, 탐구 원리, 지식이 교체되고 추가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Abd-El-Khalick and BouJaoude, 1997). SMK는 수업 계획과 실행 등 PCK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며(Barnett and Hodson, 2001; Lee, 2009; Roehrig and Nam, 2011), 효과적인 과학교수와 과학 교사 교육을 위해 SMK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Shulman, 1987; Gress-Newsome and Ledeman, 1995; Kwak, 2009).
교과내용학 지식이란? SMK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실체론적(substantive) 구조와 구문론적(syntactic) 구조를 포함하는 지식이다(Schwab, 1978; Grossman, 1990). 실체론적 지식은 학문의 개념적 조직에 관한 원리와 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사실, 개념, 그리고 내용 영역의 원리와 관계를 포함하는 지식이며, 구문론적 지식은 현재 과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 지는 새로운 지식의 정립 과정, 패러다임, 규준, 합의에 관한 지식으로, 학문 본래의 가치, 탐구 원리, 지식이 교체되고 추가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Abd-El-Khalick and BouJaoude, 1997).
교사 지식 기반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교사 지식 기반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교과내용학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 교과교육학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일반교육학 지식(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GPK), 교육 상황 지식(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CK)을들 수 있다(Carlsen, 1999; Grossman, 1990; Magnusson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bd-El-Khalick, F. and BouJaoude, S., 1997, An exploratory study of the knowledge base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7), 673-699. 

  2. Barnett, J. and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 426-453. 

  3. Carlsen, W.S., 1987, Why do you ask? The effect of science teacher subject-matter knowledge on teacher questioning and classroom discours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1-32. 

  4. Carlsen, W.S., 1999,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33-144. 

  5. Chang, K.-I., Teague, W.J., Lyu, S.J., Perkins, H.T., Lee, D.-K, Watts, D.R., Kim, Y.-B, Mitchell, D.A., Lee, C.M., and Kim, K., 2004,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ress in Oceanography, 61, 105-156. 

  6. Cho, Y.-K. and Kim, K., 2000, Branching mechanism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Korea Strait.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0, 2788-2797. 

  7. Cho, Y.-K. and Kim, K., 1998, Structure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and its seasonal variation in 1991. Continental Shelf Research, 18, 791-804. 

  8. Connelly, F.M., Clandinin, D.J., and He, M.F., 1997,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n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3(7), 665-674. 

  9.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1995,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301-325. 

  10. Grossman, P.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USA, 185 p. 

  11. Ichiye, T., 1984, Ocean hy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39, Amsterdam, Netherlands, 423 p. 

  12. Katoh, O., 1994, Structure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southwestern Japan Sea. Journal of Oceanography, 50, 317-338. 

  13. Katoh, O., Teshima, K., Kubota, K., and Tsukiyama, K., 1996, Downstream transition of the Tsushima Current west of Kyushu in summer. Journal of Oceanography, 52, 93-108. 

  14. Kawabe, M., 1982, Branching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Japan Sea, part I: Data analysis. Journal of the Oceanographical Society of Japan, 38, 95-109. 

  15. Kim, C.H. and Kim, K., 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8, 73-83. (in Korean) 

  16. Kim, Y.H., 2006,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6 p. 

  17. Kwak, Y.S.,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8. Kwak, Y.S., 2014, Teacher and qualitative research. Paju: Kyoyookbook Puplications Co. 

  19. Lee, D.-K. and Niiler, P.P., 2005, The energetic surface circulation patterns of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earch II, 52, 1547-1563. DOI: 10.1016/j.dsr2.2003.08.008 

  20. Lee, K.Y.,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343. (in Korean) 

  21. Lee, K.Y., 2013,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The case of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on atmospheric pressur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6), 1219-1236. (in Korean) 

  22. Magnusson, S., Krajcik, J., and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95-132.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in Korean) 

  24. Morimoto, A. and Yanagi, T., 2001, Variability of sea surface circulation in the Japan Sea. Journal of Oceanography, 57, 1-13. 

  25. Naganuma, K., 1977, The oceanographic fluctuations in the Japan Sea. Marine Science (Kaiyo Kagaku), 9, 137-141. (in Japanese) 

  26. Naganuma, K., 1985, Characteristics of oceanography in the western part of Japan Sea.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Fisheries Oceanography, 47, 60-63. (in Japanese)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400 p. 

  28. Park, K.A., Park, J.E., Choi, B.J., Byun, D.S., and Lee, E.I.,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234-265. (in Korean) 

  29. Park, K.A., Park, J.E., Seo, K.S., Choi, B.J., and Byun, D.S., 2011,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832-859. (in Korean) 

  30. Roehrig, G.H. and Nam, Y., 2011, A review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earth system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494-503. (in Korean) 

  31. Rollnick, M., Bennett, J., Rhemtula, M., Dharsey, N., and Ndlovu, T., 2008, The plac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 case study of South African teachers teaching the amount of substance and chemical equilibri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65-1387. 

  32. Schwab, J., 1978,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cipline, In Estbury, I. and Wilkof, N.J. (eds.),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229-272. 

  33. Shimomura, T. and Miyata, K., 1957, The oceanographical conditions of the Japan Sea and its water systems, laying stress on the summer of 1955. Bulletin of Japan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6, 23-97. (in Japanese) 

  34.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5. Sugimoto, T., 1990, A review of recent physical investigations on the straits around the Japanese Islands. In Pratt, L.J. (ed.), The Physical Oceanography of Sea Straits, Kluwer Academic, Amsterdam, Netherlands, 191-209. 

  36. Talley, L.D., Pickard, G.L., Emery, W.J., and Swift, J.H., 2011,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6th edition: An introduction. Elsevier, Boston, USA, 560 p. 

  37. Tanioka, K., 1966, Oceanographical condition in the Japan Sea IV. On the vertical section across Tosen Warm Current. Umi to Sora, 41, 50-57. (in Japanese) 

  38. Tanioka, K., 1968, Tanioka On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Tosen Warm Current). Oceanographical Magazine, 20, 31-38. 

  39. Xiaoyan, Z., 2007, Understanding PCK: Its background, components and models- A comprehensive review on PCK in the past two decades. CELEA Journal, 30(5), 73-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