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통합 해류도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Oceanic Current Maps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3, 2020년, pp.248 - 260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재연 (청담중학교) ,  박재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강분순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정광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해류도는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대한 해류의 역할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해류도는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이 교육용 해류모식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모든 해류도가 제안된 해류도를 기반으로 모두 통일되어 있으나, 해류도에서 일부 해류들을 생략하거나, 점선과 실선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통일된 해류명칭과 다른 잘못된 해류명칭을 사용한 교과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오개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을 통합하여 제작된 해류도가 다양한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정확히 작성되고 활용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eanic current maps introduced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can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about rapid climate change and the role of currents associated with the global energy balance problem. Previously developed oceanic current maps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통합적 과학 지식 기반으로 제작된 한반도 주변해 해류도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에 적절히 반영되었는지 조사하고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1)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2 교과서 5종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I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2) 통합 해류도의 반영 여부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평가하고, 3) 교과서 해류도의 오류를 조사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통합적 과학 지식 기반으로 제작된 한반도 주변해 해류도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에 적절히 반영되었는지 조사하고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1)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2 교과서 5종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I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2) 통합 해류도의 반영 여부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평가하고, 3) 교과서 해류도의 오류를 조사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은 전 지구 표면의 몇 %를 차지하는가? 전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해양의 순환은 대기 대순환과 더불어 지구의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 해양 순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해류는 기후와 해양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해류 관측이 지속적으 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해류의 중요성은 증대하고 있다(Pachauri and Reisinger, 2007).
2015년 완성한 해류모식도는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이 교육용 해류모식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오류를 포함한 해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일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해류도는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ll, D. L., and Feiman-Nemser, S., 1988,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 401423. 

  2. Choi, S.I. and Cho, H.H., 1987, An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the concepts of cell-division,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7, 1931. (in Korean) 

  3. Connelly, F. M., Clandinin, D. J., and He, M. F., 1997,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3, 665674. 

  4. Driver, R., Guesne, E., and Tiberghien, A.,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Philadelphia, USA, 208 p. 

  5. Kook, D.S., 2003, An Analysis of 10th grade science textbook as an origin of misconception on greenhouse effect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 592598. (in Korean) 

  6. Kwak, Y. S., 2014, Teacher and qualitative research. Paju: Kyoyookbook. 

  7. Lee, K.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used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811824. (in Korean) 

  8. Lim, D.I., Park, K.E., and Ahn, K.S., 2004,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on the magma formation in the subduction bounda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222231. 

  9.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10. Oh, W.K., 2003, Student's conceptions and constructivistic science education.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9, 118. (in Korean) 

  11. Pachauri, R. K., and Reisinger, A., 2008,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2. Park, K.A., Park, J.E., Seo, K.S., Choi, B.J., and Byun, D.S., 2011,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832859. (in Korean) 

  13. Park, K.A., Park, J.E., Choi, B.J., Byun, D.S., and Lee, E.I.,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234265. (in Korean) 

  14. Park, K.A, Park, J. E., Choi, B. J., Lee, S. H., Lee, E., Byun, D. S., and Kim, Y. T., 2014, An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 439-466. 

  15. Park, K.A., Park, J. E., Lee, K. Y., Choi, B. J., Lee, S. H., Kim, Y. T., and Lee, E. I., 2015, An Analysis of the Change of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East Sea's Currents through Drawing Schematic Current Map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 258-279. 

  16. Park, K.A., Park, J.J., Park, J.E., Choi, B.J., Lee, S.H., Byun, D.S., Lee, E.I., Kang, B.S., Shin, H.R., and Lee, S.R., 2018, Interdisciplinary Mathematics and Sciences in Schematic Ocean Current Maps in the Seas Around Korea. Handbook of the Mathematics of the Arts and Sciences, Springer. 

  17. Sears, M., and Merriman, M., 2012, Oceanography: The Past,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History of Oceanography, held at the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Woods Hole, Massachusetts, USA. 

  18. Senjyu, T., Shin H.R., Yoon J.-H., Nagano Z., An H.-S., Byun S.-K.. and Lee C.-K., 2005. Deep flow field in the Japan/East Sea as deduced from direct current measurements. Deep-Sea Res., 52: 1726-1741. 

  19. Song, J.W., and Na, J.Y.,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School Science Journal, 9, 7284. (in Korean) 

  20. Tobin, K.,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403-4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