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 미기상 해석을 위한 최적모델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Modeling System for Analyzing Mountain Micrometeorolog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7 no.2, 2015년, pp.165 - 172  

이석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최용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정재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원명수 (국립 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산림방재연구과) ,  임규호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와 연관된 기후 변화는 악기상 현상의 발생 빈도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산불, 산사태 등 산림 재해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밀한 산림 미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3월 봉화와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을 WRF와, 3D-var로 모의 하였다. WRF에서 나온 Output 자료를 이용하여 MUKLIMO 모형을 기반으로 산림 미기상 해석 및 모의를 위한 예측 시스템의 구축과 최적화를 이루었다. 이를 위해 3차원 변분 자료 동화 방법을 사용하여 기상청 AWS 관측 자료를 동화하였고, WRF의 예보에 MUKLIMO 모형을 결합하여 100m의 고해상도 바람장을 산출하였다.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NTL 실험에 비해 자료 동화를 수행한 KMA 혹은 KMA_KFRI실험의 모의 결과가 관측과 가까워짐을 확인하였다. MUKLIMO에서 산출된 바람장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산림 미기상 예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treme weather conditions become frequent and severe with global warming. To prevent and cope forest disaster like a forest fire, we need an accurate micrometeorological prediction system for mountainous regions. This study addressed the forest fires occurred at Bonghwa and Gangneung in M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변분 자료동화 방법을 이용하여, 3km 해상도 모의 영역(D3)에 대해 기상청 및 국립산림과학원 AWS 관측 자료를 동화하였다. 동화에 사용한 관측자료는 AWS를 사용 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기상청 467개소와 과 산림과학원의 30개소를 사용하였고 동화에 사용한 관측 요소는 u, v, 기온, 기압, 습도자료를 사용하였다.
  • (2005)은 MUKLIMO 모형을 이용하여 경북대학교 캠퍼스 내 상세 바람장을 모의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의 고해상도 바람장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MUKLIMO를 수행하였다.
  • (2009)은 중규모 모형인 MM5와 객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AWS 관측 자료를 동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하여, 기상청과 산림과학원에서 설치한 AWS(Automatic Weather System)를 이용하여 관측자료를 동화 하였다.
  • 1을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산림 미기상의 실시간 예측을 위한 시스템 최적화를 최종 목적으로 하고 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의 특성은 무엇입니까? 산불은 산사태와 산림 병해충등과 함께 대표적인 산림 재해 가운데 하나로, 광범위한 지역에 빠른 속도로 피해를 입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산불은 수목의 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 외에도 토양 유출과 이로 인한 산사태 피해, 생물의 다양성 감소, 관광객의 감소 등 다양한 측면의 손실을 야기한다.
한반도는 산불 발생시 대형 산불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산불은 수목의 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 외에도 토양 유출과 이로 인한 산사태 피해, 생물의 다양성 감소, 관광객의 감소 등 다양한 측면의 손실을 야기한다. 한반도는 산악 지역의 면적이 넓고 산림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산불이 한 번 발생하면 대형 산불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Lee et al., 2013).
산림지역의 기상요소를 예측하는 시스템 중 중규모 모형인 WRF 모형의 모의 결과는 어떠한 역할을 합니까? 중규모 모형인 WRF 모형의 모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자료 동화를 위한 배경장을 제공하며, 자료 동화 과정에서는 배경장, 관측, 그리고 각각의 오차 공분산을 이용하여 향상된 초기 조건인 분석장을 생성한다. 분석장은 다시 WRF 모형의 초기 조건으로 사용되어, 최종적인 WRF 모형의 모의 결과를 산출한다. 둘째, WRF 모형의 수행을 통해 1km 해상도의 바람, 온도, 습도, 강수량 등 산림 미기상 요소에 대한 고해상도 실시간 예측이 가능하다. 셋째, WRF 모형 1km 해상도 모의 결과는 MUKLIMO 모형의 입력 바람장으로 사용되어 약 100m 해상도의 3차원 바람장 산출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hn, K.-D., Y.-H. Lee, C.-H. Cho, and K.-D. Min, 2003: Numerical experiments of microscale wind field with MUKLIMO at the 2002 Worldcup stadium a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9(5), 587-6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oo, K.-O., Y. Chun, and S.-N. Oh, 2000: A numerical experiment of the wind field in Youido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6(3), 327-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H. J., H. W. Lee, K. H. Sung, and M. J. Kim, 2009: The effect of atmospheric flow field according to the radius influence and nudging coefficient of the objective analysis on complex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3), 271-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ee, H. W., S. H. Tak, and S. H. Lee, 2013: Numerical experiment on the variation of atmospheric circulation due to wild fir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2), 173-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Min, K. D., J. W. Yoon, K. D. Ahn, 2005: A study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simulations of wind field using MUKLIMO at the KNU campu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4(3), 311-3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Pinol, J., J. Terradas, and F. Lloret, 1998: Climate warming, wildfire hazard, and wildfire occurrence in coastal eatern Spain. Climate Change 38(3), 345-357. 

  7. Sievers, U., 1995: Generalization of the stream-function method to three dimensions Meteorol. Meteorologische Zeitschrift 4(1), 3-15. 

  8. Sievers, U., and W. G. Zdunkowski, 1986: A microscale urban climate model. Beitrage zur Physik der Atmosphare 59(1), 13-40. 

  9. 최정희, 이용희, 장동언, 조천호, 2002: AWS 자료를 포함한 지상자료동화가 단시간 예측에 미치는 영향. 대기 12(1), 377-3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