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신념과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 and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 it is Perceived by Their Moth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3, 2015년, pp.1 - 18  

최혜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  이동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s and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using the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511 mothers with children whose ages ranged from 3 to 5 y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머니의 네 가지 정서관련 양육신념(정서표현자제신념, 정서언어신념, 발달준비성신념, 정서유대신념)이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어머니 두 가지 정서표현(긍정적및 부정적)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조절을 돕기 위한 개입의 표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즉, 어머니가 유아가 발달준비가 되어 있다고 믿을 수록 부정적인 정서표현을 자제하게 되고 이것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가 중요한 이유는 이 결과가 변수들간의 단순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는 확인될 수 없었던 변수들간의 영향 과정까지 밝힘으로써 개입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매개변수를 제안했다는 데 있다. 예를 들어, 어머니의 발달준비성신념의 경우 단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는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 둘 다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모형검증에서는 어머니의 발달준비성신념과 유아의 정서 조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표현만이 유의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2007)이 번안한 Shields와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 체크목록(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을 Yeo(2009)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유아의 정서조절을 부모나 교사등 유아와 가까운 성인이 보고하는 도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해 어머니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척도는 총 24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5: 항상 그렇다)로 구성되어 있다.
  • 이러한 간극을 좁히기 위한 시도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을 선정하고, 특히 매개변인으로는 어머니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표현을 설정하여 이들의 매개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Denham(1998)의 ‘정서사회화 이론’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이 이론의 요체는 부모가 정서를 표현할 때, 유아는 부모의 정서표현을 관찰·모방하며, 정서적 표현에 대응하는 부모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정서표현을 조절하게 된다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이 아닌 ‘적응적 정서조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며 편의상 이하 본문에서는 ‘정서조절’과 ‘적응적 정서조절’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조절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특히 유아의 어머니는 주양육자로서 유아와 일상생활을 공유하기 때문에 유아의 정서조절에 특히 밀접하게 관여하게 되며, 따라서 유아의 정서조절 발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는실망스러운 상황에서 부정적인 정서를 적게 보 였다(Garner, 1996). 반면 어머니가 부정적인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녀도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고 낮은 정서조절 수준을 보인다는 결과 들도 있다(Cummings, Vogal, Cummings, & El-Sheikh, 1989; Garner, 1996). 요컨대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조절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적응적 정서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Shields와 Cicchetti(2001)는 정서조절을 공격적이거나 분노 유발 상황에서 기분의 변화가 심하고 기분 변화에 따라 정서의 강도나 부정 정서를 조절하지 못하는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과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의 강도를 잘 조절하여 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상황에 맞게 효율적인 대처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적응적 정서조절'로 구분하였다. 적응적 정서조절은 유아의 사회 적응 및 성공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촉진하고 외현화․내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건강한 발달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Eisenberg, 1996; Kim, 2007; Sheilds & Cicchetti, 2001; Thompson & Meyer, 2007), 유아를 돌보는 실무자들이 유아의 적응적인 측면을 고양․발달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이 아닌 ‘적응적 정서조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며 편의상 이하 본문에서는 ‘정서조절’과 ‘적응적 정서조절’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정서조절이란? 정서조절이란 감정과 느낌을 통제하고 조절한 결과물이면서 동시에 정서를 사회적으로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해당 상황에서 적응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Thopmson, 1994). Shields와 Cicchetti(2001)는 정서조절을 공격적이거나 분노 유발 상황에서 기분의 변화가 심하고 기분 변화에 따라 정서의 강도나 부정 정서를 조절하지 못하는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과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의 강도를 잘 조절하여 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상황에 맞게 효율적인 대처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적응적 정서조절'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 R-R.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mothers' emotionality and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 An, S. H. (2008).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behaviors to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3(3), 411-423. 

  4. Beak, M. Y. (2002).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 regulation to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Bion, W. R. (1985). Container and contained. Group Relations Reader, 2(8), 127-133. 

  6. Cervantes, C. A., & Seo, M. (2005). Korean mother's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An examination of parenting in a multicultural context. Symposium 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Atlanta, GA. 

  7. Choi, H. Y., Min, K. H., & Lee, D-G. (2008). The role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link of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symptom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9(3), 1063-1080. 

  8. Choi. Y. H., & Cho, B. H. (2013).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323-345. 

  9. Cole, P. M. (1986). Children's spontaneous control of facial ex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309-1321. 

  10. Cummings, E. M., Vogel, D., Cummings, J. S., & El-Sheikh, M. (1989). Children's responses to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of anger between adults. Child Development, 60(6), 1392-1404. 

  11. Denham, S. A. (1993). Maternal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toddler'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4), 715-728. 

  12. Denham, S. A. (1998). 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New York: Guilford Press. 

  13. Dunsmore, J. C., & Karn, M. A. (2001). Mothers' beliefs about feelings and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1), 117-138. 

  14. Durnsmore, J. C., & Halberstadt, A. G. (1997). Emotion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schema development. In K. C. Barrett, New directions in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Washington, DC. 

  15. Eisenberg, N. (1996). Meta-emotion and socialization of emotion in the family-A topic whose time has come: comment on Gottman et a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69-276 

  16.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Psychological Theory, 9(4), 241-273. 

  17. Garner, P. W. (1996). The relations of emotional role taking, affective/moral attributions, and emotional display rule knowledge to lowincome school-ag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19-36. 

  18. Gottman, J. M., & Mettetal, G. (1986). Speculations about social and affective development: Friendship and acquaintanceship through adolesc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 

  20. Greenfield, P. M., & Suzuki, L. K. (1998). Culture and human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parenting, education, pediatrics, and mental health.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16), 1059-1109. 

  21. Halberstadt, A. G. (1986). Family socializ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and skil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827-836. 

  22. Hyson, M. C., & Lee, K. M. (1996).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Content, context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7(1), 59-78. 

  23. Jeong, Y-K., & Cho, E. Grace (2011). Generational differences in korean parent's emotion-related beliefs and parenting practices: Now and 30 years ago. Paper presented at the 2011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ontreal, Quebec. 

  24. Jeong, Y-K., & Park H-J. (2012). Korean parent's belief about children's emotion and emotion related parenting.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107-128. 

  25. Kim, J. Y. (2007).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marital conflict a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on problem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Kim, Y.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the child's temperament,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variable and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27. Kring, A. M., Smith, D. A., & Neale, J. M.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34-949. 

  28. Lee, J-E. (2013). The effects of maternal beliefs about emotions and reactions to children's nagative emotions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H. S., & Kim, S. Y.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beliefs on emotional development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3(4), 237-256. 

  30. Noh, J-Y., & Jeong, Y-K. (2010).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2), 57-71. 

  31. Park, E-J. (2010). The effect of parent empathy on younge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younger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32. Rubin, K. H., & Mills, R. S. (1990). Maternal beliefs about adaptive and maladaptive social behaviors in normal, aggressive, and withdrawn preschoole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4), 419-435. 

  33. Shields, A., & Cicchetti, D. (2001). Parental maltreat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risk factors for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0(3), 349-363. 

  34. Shin, J., & Jeong, Y-K. (2013). Mother's emotion expression and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by emotion-related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3), 71-95. 

  3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36. Son, S-H., Yu-Y-O., & Choi, S-Y. (2014).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a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young children's optimism: A mediating effect of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3), 347-363. 

  37.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5-52. 

  38. Thompson, R. A., & Meyer, S. (2007). Socialization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family. New York: Guilford Press. 

  39.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40. Yeo, E-J. (2009).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1. Yeo, E-J., & Lee, K-O. (2009).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based socialization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5), 275-295. 

  42. Yoo, E. H., & Lim. M. O.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97-10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