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도시기반시설과 고령자 통행의 상관관계 분석: 행정동 단위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Urban Infrastructure and Travel by the Elderly: Based on the Public Transit Trip Attraction Model for Dong원문보기
우리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고령자를 고려한 교통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고령자 통행에 관한 상당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고령자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바탕으로, 고령자 통행의 시간적 특성은 시간대별 모형으로, 공간적 특성은 도시기반시설 자료를 독립변수에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으며, 특히 09시-17시 사이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고령자를 고려한 교통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고령자 통행에 관한 상당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고령자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바탕으로, 고령자 통행의 시간적 특성은 시간대별 모형으로, 공간적 특성은 도시기반시설 자료를 독립변수에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으며, 특히 09시-17시 사이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As Korea is predicted to be a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ransport policies that internalize the elderly have also drawn attentions. Even though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travel by the elderly with various motives, it is, however,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hat deal with the uniq...
As Korea is predicted to be a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ransport policies that internalize the elderly have also drawn attentions. Even though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travel by the elderly with various motives, it is, however,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hat deal with the uniqu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senior trips. For example, the models by time period have represented the temporal property while a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urban infrastructure have addressed the spatial fea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a trip attraction model for transit. The result shows that transit facilities, commercial areas, and hospitals are the dominant factors to explain the travel by the elderly, particularly during 09:00-17:00.
As Korea is predicted to be a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ransport policies that internalize the elderly have also drawn attentions. Even though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travel by the elderly with various motives, it is, however,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hat deal with the uniqu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senior trips. For example, the models by time period have represented the temporal property while a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urban infrastructure have addressed the spatial fea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a trip attraction model for transit. The result shows that transit facilities, commercial areas, and hospitals are the dominant factors to explain the travel by the elderly, particularly during 09:00-17:00.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전수 자료에 해당하는 대중교통 카드 자료와 토지이용 특성을 대표하는 도시기반시설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자 통행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요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을 도시기반시설과 연관지어 분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학에서 도시기반시설은 통행유인 요인으로 이해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교통학에서 도시기반시설은 통행유인 요인으로 이해되어 왔다. 본고 또한 통행유입모형을 구축하여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령자의 건강 및 경제적인 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고령자들의 통행증가와 함께 통행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 통행의 독특한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고, 기존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던 사회 경제적 요인 외에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수준을 포함하여 통행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통행량은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 교통카드자료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승ㆍ하차인원 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구축하였다.
제안 방법
첫째,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통행행태를 비교, 분석한다. Figure 1, Figure 2는 서울시의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거주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둘째, 대중교통을 대상으로 고령자 통행행태를 분석한다. 최근 수행된 가구통행실태조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교통수단은 대중교통이 전체의 약 30%로 도보를 제외하고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령자 통행의 시간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시간대별 모형을 구축한다. 교통카드자료의 승차인원을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통행행태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토지이용 특성과 관련된 도시기반시설 변수를 독립변수로 고려한다. 도시기반시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교통시설, 공간시설, 유통·공급시설, 공공·문화체육시설, 방재시설, 보건위생시설, 환경기초시설로 구분되며, 각각 다음의 시설(해당시설 그 자체의 기능발휘와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부대시설 및 편익시설 포함)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통행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교통시설, 공간시설, 공공ㆍ문화체육시설, 보건위생시설 등을 독립변수로 고려한다. 이러한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수준을 검토한 결과, Figure 4와 같이 지하철역은 강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등 몇 개의 행정동을 제외하고는 모든 행정동에 있다.
여기서 정류장코드는 행정동 코드와 매칭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모든 정류장에 대해 시간대별로 승하차 인원을 집계하였고, 각 정류장 코드를 행정동 코드와 매칭하여 시간대별로 행정동 단위 집계자료를 구축하였다. 한편,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등 집계자료 사용에 따른 생태적 오류(ecological fallacy)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논의는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후속 연구로 남긴다.
종속변수는 교통카드자료를 통해 수집된 행정동별, 이용자계층별, 시간대별 수송실적자료(하차인원)가 사용되었다. 통행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각종 사회경제지표와 고령자 통행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도시기반시설 변수를 고려하였다.
종속변수는 교통카드자료를 통해 수집된 행정동별, 이용자계층별, 시간대별 수송실적자료(하차인원)가 사용되었다. 통행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각종 사회경제지표와 고령자 통행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도시기반시설 변수를 고려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는 식(1)과 같이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는 식(1)과 같이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은 통행유출량, 통행유입량 분석에 널리 적용되는 방법으로 하나의 종속변수와 2개 이상의 독립변수로 구성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단순회귀분석을 확대시킨 것으로 종속변수의총 분산을 보다 많이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독립변수를 투입하는 통계기법이다.
이 방법은 전방선정법과 후방제거법을 결합하여 변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법이다. 즉, 이미 진입된 변수들과 제거되었던 변수들을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진선택법, 후진제거법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구단위로만 집계되어 행정동별 자료로 추출할 수 없는 지역구는 구단위 전체 자료에서 행정동의 인구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서울시에 총 30곳에만 존재하는 노인복지관은 더미변수로 처리하였고,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을 모두 합한 수는 별도로 노인복지시설로 분류하였다.
구단위로만 집계되어 행정동별 자료로 추출할 수 없는 지역구는 구단위 전체 자료에서 행정동의 인구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서울시에 총 30곳에만 존재하는 노인복지관은 더미변수로 처리하였고,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을 모두 합한 수는 별도로 노인복지시설로 분류하였다. 보건위생시설의 경우는 종합병원, 의원, 민간병원 등으로 구성 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 통행의 독특한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고, 기존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던 사회 경제적 요인 외에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수준을 포함하여 통행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통행량은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 교통카드자료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승ㆍ하차인원 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구축하였다. 또한 도시기반시설 자료 역시 통행량 자료와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정동 단위로 집계하였다.
고령자의 통행량은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 교통카드자료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승ㆍ하차인원 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구축하였다. 또한 도시기반시설 자료 역시 통행량 자료와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정동 단위로 집계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 으며, 특히 9시-17시 사이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13년 5월 22일(수요일) 수도권 교통카드자료로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통행량 정보를 구축하였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수도권 전체 대중교통 이용자의 약 99%가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는 교통카드로 무임승차가 가능하여 전수 자료라 판단하여도 크게 무리가 없다.
앞 절에서 논의하였듯이, 분석 대상 자료는 이용자 계층별(고령자, 비고령자), 통행시간대별(6-9시, 9-17시, 17-22시)로 분류된 행정동 단위 집계자료이다. 일반적으로 집계자료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분석에 많이 활용 되고 비집계자료는 미시적이고, 단기적인 분석에 주로 사용된다.
사회경제지표 변수로는 사업체수, 고용자수, 자동차 등록대수를, 도시기반시설 변수로는 교통시설(버스정류장, 지하철역), 공간시설(용도지역별 면적), 공공문화체육시설(노인복지시설), 보건위생시설 등을 포함하였다. 용도지역(녹지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공원)별 자료는 관련 GIS DB를 행정동 단위로 추출하였고, 비용도지역 자료들은 서울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데이터처리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추정된 회귀계수를 상대적인 척도로 변환 즉, 표준화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입력 자료를 표준화(평균=0, 표준편차=1)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추정된 회귀계수는 측정단위와 무관하고, 회귀계수가 클수록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론/모형
모형설정을 위한 변수 선정방법에는 전진선택법 (forward selection), 후진제거법(backward selection), 단계적 선정법(stepwise selection)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 선정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전방선정법과 후방제거법을 결합하여 변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법이다.
성능/효과
이는 고령자라도 오전시간대에는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지 않거나, 노인복지시설이 많은 지역으로 통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시간대에서 지하철역수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고령자의 통행유입요인도 시간대별로 채택된 변수에 차이를 보였다. 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수), 상업지역면적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시설은 고령자 통행과 그 원인이 같고, 상업지역면적은 출퇴근 등 경제활동인구로서의 비고령자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병원수는 출근시간대 외에 모두 채택되었다. 반면에 노인복지시설은 예상대로 음(-)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비고령자의 경우는 고령자에 비해서 사회경제활동과 관련된 변수들이 통행유입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고령자의 경우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적인 크기는 작았다.
단, 고령자의 경우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적인 크기는 작았다. 또한, 비고령자의 경우 모든 시간대에서 노인여가복지설은 음(-)의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인 크기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통행이 많은 9-17시 시간대의 경우에는 교통시설물, 병원, 상업면적에 대한 영향이 다른 시간대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령자의 통행이 많은 9-17시 시간대의 경우에는 교통시설물, 병원, 상업면적에 대한 영향이 다른 시간대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시설물(지하철역, 버스정류장)은 이용계층과 시간대에 상관없이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자의경우 비고령자에 비해 지하철역에 대한 영향이 더 큰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주차시설과 나머지 용도지역 (공업, 주거, 녹지, 공원, 시가화면적)들은 모든 모형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시설물(지하철역, 버스정류장)은 이용계층과 시간대에 상관없이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자의경우 비고령자에 비해 지하철역에 대한 영향이 더 큰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주차시설과 나머지 용도지역 (공업, 주거, 녹지, 공원, 시가화면적)들은 모든 모형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정류장)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다.
또한, 주차시설과 나머지 용도지역 (공업, 주거, 녹지, 공원, 시가화면적)들은 모든 모형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정류장)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다. 비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도 고령자와 유사하나, 이는 도시기반시설이 도심 및 강남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또한 도시기반시설 자료 역시 통행량 자료와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정동 단위로 집계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 으며, 특히 9시-17시 사이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고령자의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도 고령자와 유사하나, 이는 도시기반시설이 도심 및 강남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우선 고령자 통행에서 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정류장수), 병원시설은 모든 시간대에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시설은 대중교통 통행발생에 필수적인 요소로 정(+)의 효과는 직관에 부합한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모든 정류장에 대해 시간대별로 승하차 인원을 집계하였고, 각 정류장 코드를 행정동 코드와 매칭하여 시간대별로 행정동 단위 집계자료를 구축하였다. 한편,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등 집계자료 사용에 따른 생태적 오류(ecological fallacy)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논의는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후속 연구로 남긴다.
하지만 고령자의 거주현황을 분석한 결과 은평구, 노원구, 관악구, 강서구 등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통행의 목적지도 다양하다. 따라서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여 고령자의 거주지역 분포현황과 주요 통행목적지를 분석하고,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수준이 취약한 지역을 진단하여, 향후 교통 및 도시 기반시설 계획에서 고령인구의 통행을 반영한 계획 및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고령화의 전망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고령화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추계에 따르면 2000년 고령자(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8%를 넘어섰고, 2050년에는 약 52%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고령인구의 특성과 고령화가 노동, 주택, 소비 등 사회 전반에 가져올 변화와 이에 대응한 정책에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세계 각국이 고령화 사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출생률 저하와 평균 수명 신장으로 세계 각국에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통행유입모형의 종속변수는 무엇인가?
통행유입모형의 종속변수는 교통카드자료로부터 산정된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하차인원이다. 이를 승차인원와 비교할 수 있도록 Table 2에 관련 통계를 정리하였다.
참고문헌 (11)
Cho N. G., Yun D. S. (2002), Mode Choice Factors of the Elderl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3, 129-144.
Choo S. H., Lee H. S., Shin H. J. (2013), Analyzing Changes in Travel Behavior of the Elderly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6, 31-45.
Choo S. H., Song J. I., Kwon B. S. (2011), Exploring Key Factors Influencing Travel of the Elderly :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2), 235-250.
Hahn J. S., Oh S. H., Park J. I., Kim J. K. (2012), A Study on the Factors Concerning Non-Work Trip of the Elderly People: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Transp., 30(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1-70.
Jung E. J., Jeong B. H. (2014), A Study on Travel Behavior and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f the Elderly by Residential Location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7(2), 111-132.
Kim W. C. (2013), A Study on the Heterogeneity of Leisure Travel Time Between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 Focusing o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2(5), 89-97.
Lee H. S., Choo S. H., Kim J. Y. (2014),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rip Chain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3(2), 68-79.
Seo S. E., Chung J. H., Kim S. G. (2006), Analysis of the Elderly Travel Characteristics and Travel Behavior with Daily Activity Schedules (the Case of Seoul, Korea), J. Korean Soc. Transp., 24(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89-108.
Yun D. S., Ahn Y. H. (2003), Analysis of the Elderly's Travel Characteristics and Travel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7), 91-10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