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차로에서의 도로·교통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추정
Estimating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acilities in Intersesct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2, 2017년, pp.129 - 142  

윤여일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박길수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  문정식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로상에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도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결함을 제거하는 대표적 교통안전개선사업이다. 그러나 개선사업으로 인해 설치된 각 시설물들에 대한 효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로 교통안전 관련 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최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공사가 완료된 4,171개 지점을 대상으로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5가지 시설물에 대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교통사고에 대해서는 교통섬 4.45%, 표지병 32.17%, 과속단속카메라 24.13% 사고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반면 무단횡단금지시설 0.61%, 미끄럼방지포장은 1.67%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지병, 무단횡단금지시설, 미끄럼방지포장과 같이 국토교통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 특정유형의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시설물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병은 악천후 시 교통사고에 대해서 52.96%, 무단횡단금지시설은 차대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해서 62.77%, 미끄럼방지포장은 추돌사고에 대해서 26.60%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ident Black Spot Improvement Project is the representative road safety intervention to eliminate environmental risk factors on the roadway by installing road safety facilities. Although it is one of the main road safety projects in Korea,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analyzing the traffic ac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분석 대상 시설물은 향후 지속적으로 활용 될 가능성이 높은 시설물을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과거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에 적용이 많이 된 시설물을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세부 시설물별로 보면 가장 적용이 많이 된 것은 미끄럼방지 포장으로 나타났으며 신호등 위치조정, 교통안전표지 신설, 횡단보도 위치조정, 안전표지 증설, 차로재조정, 교통섬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 기존 국내 · 외에서 발표된 교통사고 감소효과에 대한 논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사고잦은 곳 개선사업에서 설치시설물로 빈도가 높은 미끄럼방지포장, 교통섬, 표지병, 과속단속카메라에 대해서 사고감소 효과분석 방법론과 감소효과, 분석자료는 Table 1과 같다.
  • 기존의 교통사고감소효과분석 방법론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교그룹 방법을 통해 개별시설물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Lee D.
  •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통사고 건수를 활용하는 사전 · 사후분석을 활용하여 시설물별 순수사고 감소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사전 · 사후 분석방법은 크게 단순 사전 · 사후 분석, 그룹비교 사전 · 사후 분석, 경험적 베이즈 사전 · 사후 분석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설 설정

  • (2000)의 연구에서 다양한 시설물이 복합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중복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개선대안과 사고유형을 매칭하여 해당 사고에 대해서만 효과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관계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모든 시설물들 설치효과는 독립적이며, 중복효과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이는 순수 한 개의 시설물 효과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여기서 상기 2개 교차로가 가지고 있는 도로교통조건 역시 매우 유사하다고 가정한다면, □□교차로의 전체교통사고 감소효과는 ☆☆교차로의 비해 개선설계 4번 내역인 ‘D’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부가적으로 더 나타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개선설계D는 개선설계 A,B,C와 독립성이 유지되어, 함께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는 없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에 설치된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을 위한 자료 설계가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사고의 원인을 3가지로 나누면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의 원인을 크게 도로 환경적, 인적, 차량적 요인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요인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도로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로상에 적절한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국내 교통안전사업으로는 대표적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이 있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도로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의 원인을 크게 도로 환경적, 인적, 차량적 요인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요인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도로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로상에 적절한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국내 교통안전사업으로는 대표적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이 있다.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설치가 된 시설물 5개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개별 시설물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고잦은곳개선사업의 개선시설물 자료와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였다. ‘04-’13년까지 10년간 시행된 사고잦은곳개선사업에서 가장 많이 설치가 이루어진 시설물은 교통섬, 표지병, 과속단속카메라, 무단횡단금지시설, 미끄럼방지포장 5개 시설물에 대해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그룹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비교지점 선정을 위하여 개선지점의 교통특성조건과 유사한 지점을 선별하였으며, 교통특성조건은 사지교차로, 교차로 내부 통과길이 30-40m, 차로수3개, 죄회전 전용차로 운영, 직진우회전 겸용차로 운영, 도류화시설 없음, 제한속도 70km/h이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har G., Mollett C. Persaud B., Lyon C., Smiley A., Smahel T., Hugh M.G. (2004), Safety Evaluation of Permanent Raised Pavement Markers. 

  2. Choi J.S., Kim S.Y., Kim M.K., Sung H.J. (2011), Analysis of the Crash Reduction Effects of the Red Light Camera Systems and Determination of the User Benefi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0(1),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15. 

  3. Das S., Sun X., Rasel SK, Wang F. (2013), Investigating The Safety Imapct of Raised Pavement Markers on Freeways in Louisia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Innovation, 5(2), Fall/Winter 2013. 

  4. Davis G. A. (2000), Accident Reduction Factors and Causal Inference in Traffic Safety Studies: A Review,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2, Elsevier Ltd., 95-109. 

  5. Elvik R. (2002), The Importance of Confounding in Observational Before-and-after Studies of Road Safety Measur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631-635. 

  6. FHWA (2002),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and Right-Turn Lanes, FHWA-RD-02-089, U.S. DOT, 64-97. 

  7. Gorell R., Sexton B. (2004), Performance of Safety Cameras in London, PPR027, TRL Limited. 

  8.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Estimating the Effect of Highway and Traffic Engineering Measures on Road Safety, Elsevier Science Ltd., U.K., 2-3. 

  9. Hirst W. M., Mountain L.J., Maher M.J. (2004), Source of Error in Road Safety Scheme Evaluation: A Quantified Comparison of Current Metho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Elsvier Science Ltd., 705-715. 

  10. Lee D.M., Kim D.H., Song K.S. (2011),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9(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0 

  11. Lee. S.B., Park K.Y. (2000), A Study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for Road Safety Feature Improv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139-147. 

  12. Road Traffic Authority (2015), Evaluation of the National Black Spot Program 

  13. Samsung Traffic Safety Research Institute (2004),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14. Shen J., Gan A. (2003), Developement of Crash Reduction Factors: Method, Problem and Research Nee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50-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