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역량개발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System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3807 - 3818  

문윤경 (동국대학교 미래인재개발원) ,  이경재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대학생의 역량관리와 역량개발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관련 문헌조사와 기존 시스템 분석으로 역량개발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역량진단 및 진로계획, 역량개발, 역량평가분석, 포트폴리오, 커뮤니티, 취업진단, 커뮤니티로 도출하고 시스템 설계의 방향 설정하였다. 시스템은 Windows 서버에서 Microsoft Windows 운영체계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ORACLE ver.10, 프로그래밍 언어는 JSP, JAVA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시스템 개발 후에 시스템의 오류와 개선사항을 검토하여 시스템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최종 개발된 역량개발시스템의 내용적 기능적 활용도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역량개발시스템은 역량활동 촉진기제, 진로개척 능력 함양, 성찰기능으로 지식의 내면화와 주도적 역량개발, 이력관리의 편이성, 학생-교수-동문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온라인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생의 역량개발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현실에서 역량개발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대학생의 진로교육과 역량교육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n-line system for improving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y development. After drawing elements necessary for the competency development such as assessment and planning, competency development, analysis of competency assessment, portfolio, analysi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 역량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기반으로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역량개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시스템 설계·개발·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역량진단, 진로목표와 계획수립, 경험적 지식을 확산하기 위한 자기성찰, 통합적인 성취자료 관리, 취업진단을 토대로 현실적 목표 설정과 실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학생의 역량개발과 진료교육의 발판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역량개발시스템의 개발은 대학생의 학습역량과 경력관리, 역량개발에 대한 동기부여를 지원하며 대학교육의 성과 발전에 토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역량개발을 위하여 역량진단 및 역량관리의 전개과정을 제시하고 온라인상에서의 시스템 구현을 토대로 대학생 진로교육과 역량교육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는 추후 역량개발시스템에서는 학습과 경력 역량을 통합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저장 기능 이외에 역량개발을 위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기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29]. 둘째, 성찰기능이 제한적이다. 경희대, 대구대, 신라대의 포트폴리오는 성찰기능이 없으며, 성균관대는 효과적인 성찰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의 개념은 무엇이며 어디에 활용되고 있는가? 역량은 기업중심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개념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일반적인 능력의 개념으로 확장되어 직업교육, 학교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다[1]. 역량이란 용어는 White[3]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는데 역량을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으며, 이후 역량연구는 크게 기업과 직업교육-학교 교육의 맥락으로 이루어져왔다.
대학생의 역량관리와 역량개발을 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들은 무엇이 있는가? 이를 위해 역량관련 문헌조사와 기존 시스템 분석으로 역량개발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역량진단 및 진로계획, 역량개발, 역량평가분석, 포트폴리오, 커뮤니티, 취업진단, 커뮤니티로 도출하고 시스템 설계의 방향 설정하였다. 시스템은 Windows 서버에서 Microsoft Windows 운영체계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ORACLE ver.10, 프로그래밍 언어는 JSP, JAVA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시스템 개발 후에 시스템의 오류와 개선사항을 검토하여 시스템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최종 개발된 역량개발시스템의 내용적 기능적 활용도를 검증하였다.
역량개발에 필요한 구성요소로 무엇을 설정하였는가?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대학생의 역량관리와 역량개발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관련 문헌조사와 기존 시스템 분석으로 역량개발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역량진단 및 진로계획, 역량개발, 역량평가분석, 포트폴리오, 커뮤니티, 취업진단, 커뮤니티로 도출하고 시스템 설계의 방향 설정하였다. 시스템은 Windows 서버에서 Microsoft Windows 운영체계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ORACLE ve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H. So, "An investigation on new approaches to curriculum design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3), pp. 39-59, 2006. 

  2. K. H. Lee, S. H. An, "A study on the educational tasks for revitalizing the compentency-based education", The Korea Educaitonal Review, 20(1), pp. 141-173, 2014. 

  3. White, R.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pp. 279-333, 66(5), 1959. DOI: http://dx.doi.org/10.1037/h0040934 

  4. Candy, P. C., Learning and earning ; Graduate skills for an uncertain future.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Lifelong learning Conference. Yeppoon, 2000. 

  5. Barrie, S. C., "A research-based approach to generic graduate attributes policy.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3(3), pp. 261-275, 2004. 

  6. M. S. Jin, U. M. Sohn, H. J. Chu,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pp. 461-486, 2011. 

  7. Thornton, G. C., Rupp, D. E., Assessment center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Lawrence Erlbaum, 2006. 

  8. H. M. Lee, J. I. Kim. Core competence, Core man of ability.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2003. 

  9. J. S. Seo, "A study of develop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hecklist for undergraduat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 Thesis, 2010. 

  10. D. Y. Park,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re competency style test f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8(2), pp. 225-245, 2006. 

  11. Y. S. Noh, S. S. Lee,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a case study of d women's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3), pp. 273-305, 2013. 

  12. Dubois,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 change. Amberst, 1993. 

  13. J. L. Yun, M, S, Kim, S, K, Yun, M, J, Park,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of competence as human abil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3), pp. 233-260, 2007. 

  14. D. A. Kolb., Experiential. Prentice Hall, 1984. 

  15. D. Rychen, L. Salganik.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16. Mitchell, L. K., Krumboltz, J. D., Krumboltz's Learning theory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pp.230-280, Jossey-Bass, 1996. 

  17. S. H. Park, S. H. Bae, "A case study about the learning competency for students through learning portfolio",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8(2), pp.1-21, 2008. 

  18. I. A. Kang, S. H. Ryu, Y. K. kang, "A research on e-portfolio as a learning tool: a case study of KyungHee University", The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1(2), pp. 495-506, 2010.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2.495 

  19. E. H. Choi,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learnig portfolio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kills and career development", KeiMyung University. Thesis, 2014. 

  20. E. H. Choi, M. S. Choi,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portfolio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kills and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30(3), pp. 493-523, 2014. 

  21. J. Y. Lee,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e- portfolio analysi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0. 

  22. KangWon University website, "https://kangwon.kelc.or.kr". (accessed Apr.., 28, 2015) 

  23. KyungHee University website, "http://klas.khu.ac.kr". (accessed Apr.., 28, 2015) 

  24. SungKyunKwan University website, "http://eport.skku.edu". (accessed Apr., 29, 2015) 

  25. DaeGu University website, "http://wtigers.daegu.ac.kr:8080/haks_port/x64_application.htm"(accessed Apr., 29, 2015) 

  26. SilLa University website, "http://scdp.silla.ac.kr". (accessed Apr., 29, 2015) 

  27. Y. M. Son.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career portfolio 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first or second year",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0(1), pp. 229-252. 2014. 

  28. A. K. Choi, "A study on establishing and managing an e-portfolio system for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13, pp. 169-192, 2006. 

  29. H. J. Lee, J. S. Joung, Y. H. Jang, C. Park, D. O. Seong, Jae. S. Yoo, M. H. Kim, K. H. Yoo, "Trends and issues in e-portfolio", The Korea Contents Society, 7(3), pp. 36-43. 2009. 

  30. M. R. Um, "The study of learner-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o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learning in e-portfolio", Korea University, Ph D. Thesis, 2010. 

  31. C. Y. Jyung, S. I. Na, W. S. Seo, B. K. Song, J. S. Lee, "A study on investigation of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17(2), pp. 15-38, 1988. 

  32. I. N. Ju, D. K. Kim, J. T. Jung, H. H. Kim, S, A, Choi,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application in corpration", The Journal of Vacational Research, pp. 309-334, 29(3), 2010. 

  33. SungKyunKwan Center for Innovative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y assessment, symposium date of competence-based higher education, 2012. 

  34. T, E, Sim, H, N, Lee, Y, H, Lee, Y, K, Mo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development syst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Scholarship date of The Korea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in fall, pp. 155-175,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