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헬스 표준용어 및 용어 표준화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u-Health standard terminology and guidelines for terminology standardiz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4056 - 4066  

이수경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헬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유헬스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를 돕고,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용어 표준화 절차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 관한 보고서, 용어집 및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용어추출, 용어정제, 용어선정 및 용어관리 절차를 통해 최종 187개의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유헬스 용어 표준화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유헬스 표준용어의 정의, 분류, 구성요소, 절차에 따른 방법 및 원칙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유헬스 표준용어 및 용어 표준화 가이드라인은 개별 용어 도입 및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정보교환을 용이하도록 도움으로써 유헬스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understanding of terminology related to u-Health and activating u-Health industry, it is required to develop u-Health standard terminology fo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Health standard terminology and provides guidelines for terminology standardization in order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Health 용어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기존의 보건의료 용어가 u-Health 용어를 모두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Health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u-Health 표준용어를 개발하기 위한 표준화 절차 가이드라인을 최초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u-Health에 관한 보고서 및 TTA표준, 관련 용어집을 중심으로 u-Health 용어 표준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u-Health 용어 표준화 절차와 방법에 대한 상세 내용을 포함하였다. u-Health 용어 표준화 절차는 자료 수집, 용어 추출, 용어 정제, 용어 선정, 용어 관리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며, 제시되는 각각의 단계별 과정 중에서 ‘*’기호로 표시한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며, 그 외의 항목은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 용어 표준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헬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유헬스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를 돕고,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용어 표준화 절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 용어 정제 과정은 u-Health 표준용어 선정을 위한 후보 목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용어 추출 작업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정제 원칙에 따라 정제한다.
  • 용어 관리 과정은 u-Health 표준용어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활동에 대한 원칙을 제시한다. 이 과정은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환경 변화를 신속하게 수용하여 u-Health 표준용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Health 관련 주요 개념들의 추이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지난 20년간 u-Health 관련 주요 개념들의 추이를 살펴보면 정보기술의 도입, 제반 인프라 구축, 소비자의 참여 대두, 서비스 제공 및 기반 강화, 적용 대상 및 기술의 확장으로 구분되어진다[5]. u-Health 용어란 보건의료와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해 의료소비자가 언제 어디서나 예방, 상태파악, 예후, 건강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말한다[1, 6].
u-Health 표준용어 선정을 위한 용어 정제 단계의 상세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 추출된 용어 중 의미와 표현이 일치하는 용어의 중복을 제거한다(*). ● 약어의 경우 전체어(Full Term)를 확인한다(*). ● 영어로 표현된 용어의 경우 대소문자 수준의 차이만 나는 것은 동일어로 처리할 수 있다. ● 띄어쓰기 등 표현의 차이만 있고 의미가 같을 때는 동일 용어로 처리할 수 있다. ● 단수 및 복수의 표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수형과 복수형의 두 용어를 동일하게 간주할 수 있다. ● 용어 형태는 국문을 원칙으로 하되, 영문과 약어가 있는 경우 함께 제시한다(*). ● 용어 정의가 있는 경우를 원칙으로 하되, 영문인 경우 번역하여 제시할 수 있다. ● 용어의 출처는 원 출처를 원칙으로 하되, 재인용 출처의 경우는 별도 표시할 수 있다. ● 일반적인 성명이나 지명 등은 제외한다(*). ● u-Health 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내용의 용어는 제외한다(*). ● 추출된 용어를 각각 개별적으로 확인하면서 표준 용어 후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용어의 빈도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참고하여 후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후보 대상 목록과 후보 제외 목록을 별도로 정리할 수 있다. ● 후보 대상 목록을 점검 대조표(Checklist) 형식으로 작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u-Healthcare R&D Master plan,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2. J. Y. Le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u-Health Trial Proje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policy, vol. 20, no. 21, pp. 25-44, 2008. 

  3. S.-W. Kang, and S.-H. Lee, "Economic Effect and Success Strategy of u-Health" Samsung economics research institute Issue Paper, 2007. 

  4. S.-W. Kang, S.-H. Lee, and Y. S. Ko, "Advent of the Era of u-Health" Samsung economics research institute ICEO Information, 2007. 

  5. Y.-J. Son, S. Jeong, B.-G. Kang, S.-H. Kim, and S.-K. Lee, "Visualization of e-Health Research Topics and Current Trend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elemedicine and e-Health, vol. 21, no. 5, pp. 436-442, 2015. DOI: http://dx.doi.org/10.1089/tmj.2014.0172 

  6. TTA,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TTAK.KO-10.0463,"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tandard, 2010. 

  7. J.-H. Choi, S.-D. Choi, L.-K. Kim, Y.-W. Park, J.-H. Jeong, H.-J. An, H.-M. Jung, and P. Kim, "Application and Process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Dictionary for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8, pp. 247-259,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8.247 

  8. S. Kim, and S. Limm, "A Exploratory Study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for Mobile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6, no. 1, pp. 49-74, 2015. 

  9. H. Hwang, J.-H. Kim, and B.-H. Moon, "Standardization of IEC Terminologies Based on a Matrix Classification System " Standardization of IEC Terminologies Based on a Matrix Classification System vol. 64, no. 4, pp. 515-522, 2015. DOI: http://dx.doi.org/10.5370/kiee.2015.64.4.515 

  10. H. Lee, Y. Song, H. Woo, and M. Lee, "Preliminary Research for Standardization of Clinical Terminology System for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2, no. 4, pp. 121-133, 2014. DOI: http://dx.doi.org/10.14519/jksot.2014.22.4.10 

  11. S.-K. Lee, S. Jeong, H.-G. Kim, and Y.-H. Yom,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5, pp. 623-632,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23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ata dictionary for IT Health.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mit/dictionary (accessed April, 4, 2015) 

  13. 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 Telemedicine/Telehealth Terminology. Available from: http://www.americantelemed.org/ (accessed April, 4, 2015) 

  14. S. Jeong, and H.-G. Kim, "Intellectual structure of biomedical informatics reflected in scholarly events," Scientometrics, vol. 85, no. 2, pp. 541-551,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1192-010-0166-z 

  15. S. Lee, S.-J. Song, S. Koh, S. K. Lee, and H.-g. Kim, "National Medical Terminology Server in Korea," Security-Enriched Urban Computing and Smart Grid, pp. 541-544: Springer, 2010. DOI: http://dx.doi.org/10.1007/978-3-642-16444-6_67 

  16. K.-Y. Jee, Healthcare in ubiquitous era: Jinhan M&B, 2005. 

  17.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ield Studies on the Pilot Project of u-Health,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18. TTA, ICT Standardization Roadmap 2010,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