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근거중심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Nursing Home's Infection Control in Korea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5 no.2, 2018년, pp.135 - 147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성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지영 (듀크대학교 간호대학) ,  이민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homes in Korea (ENIK). Methods: Three steps were planned for the development which were developing a draft and testing the content validity. First, the draft was based on evidence and deve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을 기본으로, 호주 등의 국외에서 발간된 시설 감염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문헌(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GDH], 2013; Flanagan, Cassone, Montoya, & Mody, 2016; Montoya, Cassone, & Mody, 2016)을 참고하여 요소와 항목을 비교 및 대조하여 개발할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 및 방향을 구성하고 주요 권고안을 추출하였다. 또한 국내 시설의 특성 및 환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기관 매뉴얼들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설에 적용가능한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최신의 근거를 보완하고, 국내 시설의 인력구조, 감염 관리현황을 반영하여 적용성과 활용성을 향상시킨 한국형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첫째, 실제 가이드라인이 적용될 국내 요양 시설의 질환발생양상과 역할, 특성 등 구조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면담을 실시하여 국내 시설에서 발생하는 감염 질환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간호사들은 시설에서 발생하는 주요 감염질환으로 요로감염, 호흡기 감염, 피부감염을 언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와 포커스 집단면담으로 확인한 국내 시설의 특성, 인력구성, 감염관리 현황을 반영하여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근거중심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제한된 자원과 감염관리역량을 고려하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실무에 더 원활히 적용 및 연계될 수 있도록 실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감염관리전문지식이 없는 직원도 가이드라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인요양시설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근거중심 감염관리 지침(Evidence-based guidelines for Nursing home's Infection control in Korea, ENIK)을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가이드라인 개발 시 실제 사용할 사람이나 서비스를 받을 사람의 참여가 이루어지면 인식, 경험, 요구도 등을 반영할 수 있다(SIGN, 2015). 시설에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 면담을 시행하여 국내 요양시설의 감염 관리 현황과 특성,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그들의 경험과 요구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용성을 높이고자 국내 시설의 감염관리과정과 업무, 감염발생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ENIK 초안을 개발하였다.
  • 포커스 집단 면담 결과, 국내 시설에는 감염관리를 전담하는 인력이 부재하며 거주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빈번하게 간호하는 요양보호사가 감염관리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이 점이 감염관리활동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의 상황을 반영하면서 장애요인을 해소하고자 ENIK 개발 시 감염관리 간호 실무 알고리즘을 함께 개발하였다. 감염관리과정을 한 장의 알고리즘으로 개발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해도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감염관리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효과적인 감염관리를 위해서 감염관리 전담 인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재정적, 제도적 한계를 고려하여 현실적이며 효율 적인 감염관리 활동을 위해 감염관리순회간호사라는 역할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 가이드라인과 구별되는 점이자 ENIK 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커스 집단 면담 결과 감염관리활동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포커스 집단 면담 결과, 국내 시설에는 감염관리를 전담하는 인력이 부재하며 거주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빈번하게 간호하는 요양보호사가 감염관리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이 점이 감염관리활동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의 상황을 반영하면서 장애요인을 해소하고자 ENIK 개발 시 감염관리 간호 실무 알고리즘을 함께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가이드라인 개발 과정은? 가이드라인 개발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의 가이드라인 개발 과정에 근거하여(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2015)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적절하게 수정하여 총 6단계로 진행하였다. 가이드라인 개발 범위와 적용 대상자 결정, 근거확인 및 평가, 적용성 및 수용성 강화, 가이드라인 초안 개발, 초안 평가, 최종 가이드라인 확정으로 이루어졌다. 1~3단계를 통해 4단계의 초안을 개발하고, 5단계 전문가들에 의한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6단계 최종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였다.
장기요양 보험 제도를 도입한 이유는? 0% 를 차지하여 고령사회로 진입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급증하는 노인인구의 건강상태에 따라 필요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의 부양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2008년 장기요양 보험 제도를 도입하였다.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확대로 국내에서 노인요양시설(이하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은 2008년 66,715 명에서 2016년 150,025명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3, April).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residential and community aged care. Canberra: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 Bang, H. L., & Park, Y. H. (2013).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residents.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 31-42. https://doi.org/10.5953/JMJH.2013.20.1.31 

  3. Castle, N., Wagner, L., Ferguson, J., & Handler, S. (2014). Hand hygiene deficiency citation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3(1), 24-50. https://doi.org/10.1177/0733464812449903 

  4. Choi, S. Y. (2009).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Korean nursing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Flanagan, E., Cassone, M., Montoya, A., & Mody, L. (2016). Infection control in alternative health care settings: An update.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30(3), 785-804. https://doi.org/10.1016/j.idc.2016.05.001 

  6. Harrison, M. B., Legare, F., Graham, I. D., & Fervers, B. (2010). Adapt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local context and assessing barriers to their us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2(2), E78-E84. https://doi.org/10.1503/cmaj.081232 

  7. Herzig, C. T., Stone, P. W., Castle, N., Pogorzelska-Maziarz, M., Larson, E. L., & Dick, A. W. (2016).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in US nursing hom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7(1), 85-88. https://doi.org/10.1016/j.jamda.2015.10.017 

  8. High, K. P., Juthani-Mehta, M., & Quagliarello, V. J. (2010). Infectious diseases in the nursing home sett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linical investigation.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1(8), 931-936. https://doi.org/10.1086/656411 

  9. Hwang, I., Kim, H., Son, Y., Jeong, H., Kim, M., Lee, S., et al. (2017). Rate of antimicrobial resistant urinary pathogens and associated risk factor in older adults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6), 864-869. https://doi.org/10.21215/kjfp.2017.7.6.864 

  10. Hyun, H. J., Chang, A. K., Yu, S. J., & Park, Y. H. (2012). Comparison of comprehens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1), 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40 

  11. Kim, Y. A., Lee, J. Y., Kim, H. S., & Hwan, J. H. (2011). A comparison of nursing problems identified through RAI-FC and by nurses caring for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1), 58-68. 

  12. Kim, Y. J., & Park, J. S. (2017). Survey on infection control statu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ICP(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 in long 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466-475. 

  13. Lee, T. W., & Chung, J. (2010). Structural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2), 162-171.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62 

  14. Loeb, M., Brazil, K., Lohfeld, L., McGeer, A., Simor, A., Stevenson, K., et al. (2005). Effect of a multifaceted intervention on number of antimicrobial prescriptions for suspec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residents of nursing homes: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331(7518), 669. https://doi.org/10.1136/bmj.38602.586343.55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June). 2017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ejong: Author. 

  16.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September 4). At the end of August 2017, the number of residents 51,175,000. Retrieved January 15, 2018, from http://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59453 

  17. Montoya, A., Cassone, M., & Mody, L. (2016). Infections in nursing home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program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32(3), 585-607. https://doi.org/10.1016/j.cger.2016.02.004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April). 2015 Evalu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onju: Author. 

  19. Nicolle, L. E. (2014). Infection prevention issues in long-term care. Current Opinion in Infectious Diseases, 27(4), 363-369. https://doi.org/10.1097/qco.0000000000000071 

  20. Park, E. J., Lim, Y. J., Cho, B. H., Sin, I. J., & Kim, S. O. (2011). A Survey on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workers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79-90. 

  21. Park, E. J., Seo, J. H., Jung, Y., Yun, S. M., & Lee, N. G. (2017). Quality care strategy for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Focusing on patient (resident) safet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2. Schweon, S. J., Edmonds, S. L., Kirk, J., Rowland, D. Y., & Acosta, C. (2013).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hand hygiene program for reduction of infection rate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1), 39-44. https://doi.org/10.1016/j.ajic.2012.02.010 

  23.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5, November).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Edinburgh: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4. Shin, H. J. (2016, October 19). Long-term care facilities, defenseless in the backward disease 'scabies'. Korea Times, p. 12. Retrieved January 15, 2018 from http://www.hankookilbo.com/v/da66f46d26e04b7a8db2f2737514601e 

  25. Smith, P. W., Bennett, G., Bradley, S., Drinka, P., Lautenbach, E., Marx, J., et al. (2008). SHEA/APIC Guidelin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7), 504-535. https://doi.org/10.1016/j.ajic.2008.06.001 

  26. Stone, N. D., Ashraf, M. S., Calder, J., Crnich, C. J., Crossley, K., Drinka, P. J., et al. (2012). Surveillance definitions of infec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evisiting the McGeer criteria.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3(10), 965-977. https://doi.org/10.1086/667743 

  27. Straus, S. E., Richardson, S., Glasziou, P., & Haynes, B. (2005).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it. Edinburgh, UK: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8. Stuart, R. L., Kotsanas, D., Webb, B., Vandergraaf, S., Gillespie, E. E., Hogg, G. G., et al. (2011). Prevalence of antimicrobial-resistant organism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5(9), 530-533. https://doi.org/10.5694/mja11.10724 

  29. Suetens, C. (2012).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European long-term care facilities: How big is the challenge? Eurosurveillance, 17(35), 20259. https://doi.org/10.2807/ese.17.35.20259-en 

  30. Yu, C. W., Kuo, H. M., Chun, H. M., Hung, L. T., & Lau, Y. J. (2015). The use of a nursing home in central bundle care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urinary tract infection. Journal of Microbiology, Immunology and Infection, 48(2), S96. https://doi.org/10.1016/j.jmii.2015.02.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