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허리/엉덩이둘레, 허리/허벅지둘레 및 치료지시이행과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bA1c, WHR, WTR and compliance in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2 no.1, 2015년, pp.14 - 21  

유용권 (YK 운동센터) ,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HbA1c (Glycosylated Hemoglobin), WHR (Waist hip ratio), WTR (Waist thigh ratio) and compliance in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ged 65 years or over. Method: We conducted a survey and measured HbA1c, WHR, WTR in a tot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따라서, 이러한 지표들에 대해 본 연구자는 당뇨병 관리 및 인지율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는 노인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조절 및 조기사망률의 예측인자인 당화혈색소 (Glycosylated Hemoglobin, 이하 HbA1c), WHR, WTR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서 약물복용, 식이 처방의 이행일수가 많을수록 HbA1c가 낮게 나타나 치료지시 이행과 HbA1c의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 Kim (2003)의 연구에서처럼 당뇨병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HbA1c와 혈당조절을 위해 중요한 치료지시이행과의 관련성도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 Park 등(2009)의 연구에서는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 치료지시이행을 더 잘 하였고, 가족지지가 더 많았다. 또한, 가족지지가 많을 경우 치료지시이행 정도가 높다고 하여 가족지지의 중요성도 제시하였다.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는 다른 연령층보다 혈당조절의 성공률이 낮다고 제시한 An (2012)의 결과처럼 노인 스스로 혈당조절을 하는 것보다 가족을 포함한 주변의 지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이나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절반 정도가 배우자가 없어 가족지지 또한 받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 따라서, 이러한 지표들에 대해 본 연구자는 당뇨병 관리 및 인지율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는 노인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조절 및 조기사망률의 예측인자인 당화혈색소 (Glycosylated Hemoglobin, 이하 HbA1c), WHR, WTR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서 약물복용, 식이 처방의 이행일수가 많을수록 HbA1c가 낮게 나타나 치료지시 이행과 HbA1c의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 Kim (2003)의 연구에서처럼 당뇨병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HbA1c와 혈당조절을 위해 중요한 치료지시이행과의 관련성도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내에서 노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및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있어 이러한 지표들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광역시 S구 고혈압, 당뇨센터에 당뇨병 관리를 위해 내원하는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과 거동이 가능한 자, 경구용 혈당강하제만으로 치료하는 자로 하였다. 또한 건양대학교 임상시험 윤리위원회 (IRB)의 심의(No.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관련 특성과 HbA1c, WHR, WTR 및 치료지시이행과의 관련성을 확인 하였다. HbA1c 정상군은 54명(30.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HbA1c, WHR, WTR 및 치료지시이행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관련 특성에 따른 HbA1c, WHR, WTR 및 치료지시이행의 차이와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의 HbA1c, WHR, WTR 및 치료지시이행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서 약물복용, 식이 처방의 이행일수가 많을수록 HbA1c가 낮게 나타나 치료지시 이행과 HbA1c의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 Kim (2003)의 연구에서처럼 당뇨병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HbA1c와 혈당조절을 위해 중요한 치료지시이행과의 관련성도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내에서 노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및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있어 이러한 지표들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2형 당뇨병의 가장 큰 예측인자는 무엇인가 따라서 당뇨병의 원인을 살펴보고, 당뇨병 환자에서는 이러한 인자들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제 2형 당뇨병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로 알려진 인슐린 저항성은 선천적,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그 중 복부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 볼 정도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Fasshauer & Paschke, 2003). 이처럼 제 2형 당뇨병과 비만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비만이 증가할수록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은 증가하여 비만이 제 2형 당뇨병에서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왔다 (Cassano, Rosner, Vokonas, & Weiss, 1992; Shaten, Smith, Kuller, & Leaton, 1993).
당뇨병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노인들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중 당뇨병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사망원인 중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생활양식과 식습관의 변화, 비만, 수명연장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당뇨병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 남자 24.
연구의 결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비만도 및 복부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연관됨을 보여주는 근거는 무엇인가? 본 연구결과 당뇨병 환자들의 체질량지수는 평균 23.80㎏/㎡로 아시아-태평양 기준으로 과체중에 해당되었으며(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HbA1c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대상자가 70.0%, WHR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대상자 역시 75.6%로 나타났다. 이는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증가할수록 공복인슐린 및 C-peptide 농도가 증가하므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만도 및 복부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연관된다는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Ch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ler, A. I., Stratton, I. M., Neil, H. A., Yudkin, J. S., Matthews, D. R., Cull, C. A., Wright, A. D., Tumer, R. C., Hoiman, R. R., & director the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2000). Associ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UKPDS 36):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1, 412-419. 

  2. An, S.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regulation of glucose 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Cassano, P. A., Rosner, B., Vokonas, P. S., & Weiss, S. T. (1992). Obesity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relation to the incidence of non-ind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men in the normative ag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6(12), 1474-1486. 

  4. Chan, Y. M., & Molassiotis, A.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knowledge and compliance among chinese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Hong Ko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0(2), 431-438. 

  5. Chuang, Y. C., Hsu, K. H., Hwang, C. J., Hu, P .M., Lin, T. M., & Chiou, W, K. (2006). Waist-to-thigh ratio can also be a better indicator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than traditional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in Taiwan population. Annals of Epidemiology, 16(5), 321-331. 

  6. Chung, B. C., Park, S. H., Lee, J. Y., Lee, S. W., Chung, S. C., Kim, J. G., Ha, S. W., & Kim, B. W. (2003).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ices and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2(2), 93-107. 

  7. Fasshauer, M., & Paschke, R. (2003). Regulation of adipocyt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Diabetologia, 46, 1594-1603.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9. Ferrannini, E., Barrett, E. J., Bevilacqua, S., & DeFronzo, R. A. (1983). Effects of fatty acids on glucose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ma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72(5), 1737-1747. 

  10. Heitmann, B. L., & Frederiksen, P. (2009). Thigh circumference and risk of heart disease and premature death: prospective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39, 1-8 

  11. Hwang, A. R., Yoo, J. S., Lee, H. C., Hwang, S. G., & Kim, C. J. (2000).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etabolism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 65-75. 

  12. Jung, K. J. (2012).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gh circumference and prevalence of diabe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H. S. (2003). A study of blood glucose testing, medication, diet, and exercise adherenc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2), 181-186. 

  14. Kim, H. S., & Song, M. S. (2003). Triglycerides and C-peptide are increased in BMI over than $23kg/m^2$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5(1), 5-12. 

  15. Kim, S. Y.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waist to thigh r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Lu, B., Zhou, J., Waring, M. E., Parker, D. R., & Eaton, C. B. (2010). Abdominal obesity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n men and women: A comparison of waist-to-thigh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as measures of abdominal obesity. Atherosclerosis, 208(1), 253-257.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December 24, 2013, from http://knhanes.cdc.go.kr 

  18. Park, K. S., Moon, J. S., & Park, S. N. (2009). Self-car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345-352. 

  19. Shaten, B. J., Smith, G. D., Kuller, L. H., & Leaton, J. D. (1993).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ype II diabetes among men enrolled in the usual care group of multiple risk factors intervention trial. Diabetes Care, 16(1), 1331-1339. 

  20. Snijder, M. B., Visser, M., Dekker, J. M., Goodpaster, B. H., Harris, T. B., Kritchevsky, S. B., De Rekeneire, N., Kanaya, A. M., Newman, A. B., Tylavsky, F. A., & Seidell, J. C. (2005). Low subcutaneous thigh fat is a risk factor for unfavourable glucose and lipid levels, independently of high abdominal fat. The Health ABC Study. Diabetologia, 48(2), 301-308. 

  21. Song, M. S. (2002). The degree of glycemic control and chronic complications development by compliance of health care regimen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2. Song, M. S., Yoo, Y. S., & Kim, H. S. (2002). A study on the glucose level control and chronic complication rate in diabetic compliance groups with health regimen.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2), 334-341. 

  23. Statistics Korea. (2014). 2014 Statistics on the aged. Retrieved September 29,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aSeq330349 

  24. Sung, K. W. (2011). Relationship of daily activity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e, 41(2), 182-190.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 Australia Pty Lts.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