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모증 환자의 한의학적 임상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linical features and classifications of alopecia patients in Korean medicinal clinic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2 no.3 = no.40, 2009년, pp.153 - 166  

이태후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방재료가공학과 향장생리학교실) ,  문정배 (정지행 한의원) ,  정지행 (정지행 한의원) ,  임강현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  김희택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laned to evaluate clinical status of the alopecia patients who had visited Korean medicine clinic. And the result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a standard in Korean medical diagnostic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alopecia. Methods : Clinical records of 183 patient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 등은 한의원에 내원한 탈모증 환자의 임상 양상을 양방 병원에 내원하는 탈모증 환자의 임상 양상과 비교하고 동시에 탈모증 환자의 임상 양상을 변증이 아닌 다른 의료 직군과 소통이 가능하고, 환자에게 설명하기가 용이한 방법을 적용하여 한의학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향후 탈모증의 한의학적 진단 및 분류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반흔성 탈모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탈모증은 크게 반흔성과 비반흔성으로 구분하며, 반흔성 탈모증은 모낭이 파괴되고 섬유조직으로 회복되어 영구적 탈모 상태가 되는 것으로 외상,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편평태선, 종양, 감염 등이 원인이 된다. 비반흔성은 조직이 섬유화되지 않고 모낭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휴지기성 탈모증, 원형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등이 있다18).
탈모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탈모증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서 이들이 소실되는 질환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두부에 발생한다. 탈모증은 크게 반흔성과 비반흔성으로 구분하며, 반흔성 탈모증은 모낭이 파괴되고 섬유조직으로 회복되어 영구적 탈모 상태가 되는 것으로 외상,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편평태선, 종양, 감염 등이 원인이 된다. 비반흔성은 조직이 섬유화되지 않고 모낭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휴지기성 탈모증, 원형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등이 있다18).
탈모증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은 무엇인가? 한의학은 분리주의적 병인론에 기인한 서양의학의 질병관과는 달리 인체의 평형을 중시하는 총체주의적 합일적 관점에서 질병을 바라보는 독특한 질병관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매우 흥미로운 분야 중에 하나이다3). 탈모증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은 전신 증후를 바탕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이는 탈모증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써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기존의 서양의학에서 수행해 온 탈모증에 대한 치료적 접근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정유선, 탁우정, 노병인.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임상적 고찰(제4보). 대한피부과학회지. 2002;40(7):785-90. 

  2. Rho SS, Park SJ, Hwang SL, Lee MH, Kim CD, Lee IH, Chang SY, Rang MJ.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Asiasari radix extract and its molecular regulation. J Dermatol Sci. 2005 May;38(2):89-97. 

  3. Bhaumik S, Jyothi MD, Khar A. Differential modul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curicumin in host macrophages and NK cell. FEBS Lett. 2000;483:78-82. 

  4. Ro BI. Alopecia areata in Korea (1982-1994). J Dermatol 1995 Nov;22(11):858-64. 

  5. 이준상, 임철완. 탈모증 환자 1505명의 임상적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0;38(10):1348-57. 

  6. 강효준, 강승훈, 이상석, 조시형, 박성욱.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임상적 고찰 최근 10년간의 국내 보고들과 비교하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4;42(11):1431-9. 

  7. 박우정, 정유선, 노병인. 원형 탈모증의 임상적 고찰(1996-2000)(제6보). 대한피부과학회지. 2002;40(7):791-800. 

  8. 이영종. 탈모에 관한 한의학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5;16(1):141-58. 

  9. 임사비나, 최규동, 김수경. 탈모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1999;4(1):699-710. 

  10. 김소영, 김중호, 채병윤. 탈모에 응용되는 신응 양진단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1991;4(1):43-58. 

  11. 박원석, 성대석, 김대권, 조원희, 이혜광, 이창훈, 박성규, 심영철. 5종의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헤어 에센스 제품(HHRHG0202-80)이 in vitro 및 in vivo에서 육모 및 탈모 방지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4;25(1):152-60. 

  12. 윤정훈, 김경헌, 장수진, 신민섭. 약침을 이용한 원형탈모증 치험 1예.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14(1):105-10. 

  13. 전원준, 정수현, 한성호,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두통을 동반한 원형탈모증 치험 1례. 한의정보학회지. 2001;7(1):1-7. 

  14. Norwood OT. Male pattern baldness; classification and incidence. South Med J. 1975;68:1359-65. 

  15. Hamilton JB. Patterned loss of hair in man; Types and incidence. Ann N Y Acad Sci. 1951;53:708-28. 

  16. Ludwig 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common baldness) occurring in the female sex. Br J Dermatol. 1977;97:247-54. 

  17. Olsen E, Hordinsky M, McDonald-Hull S, Price V, Roberts J, Shapiro J, Stenn K. Alopecia areata investigational assessment guidelines. J Am Acad Dermatol. 1999 Feb;40(2 Pt 1):242-6. 

  18. Elise A.Olsen, Disorders of hair growth.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Madrid. 2003. 

  19. 장해영, 최관호, 김성현, 권기록, 김병우. 탈모에 대한 문헌적 고찰. 2002;5(2):9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