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성수조 내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 고밀도 중간양성 사육방식별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Reared Methods in order to High Density Intermediate Culture in Land-based Tank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1 no.2, 2015년, pp.83 - 92  

이시우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병학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박민우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태익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손맹현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방전복 육상 수조 내 고밀도 중간양성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부착면적 확대를 위해 다단식 shelter 설치와 수조 내 중층 이상의 가두리를 설치하여 성장을 비교하고 아울러 전복류 육상 양성방법인 'shallow race way' 국내 도입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Shelter 실험구는 PE (polyethylene) 재질의 shelter ($63{\times}98cm$) 1층형 (the single layer shelter, SLS), 2층형 (the double layer shelter, DLS), 3층형 (the triple layer shleter, TLS) 과 육상 가두리 양성방식 (the single layer shelter and net cage culture, SLSNC), 그리고 'shallow race way' 방식을 polyvinyl chloride (PVC)로 제작하여 고랑수로양성 (culture of the ditch raceway tank, CDRT)과 편평한 수로양성 (culture of the floor raceway tank, CFRT) 방식을 설정하였으며, 실험구는 모두 2반복으로 실시되었다. 각 실험구별 SLS 기준 60%밀도로 수용한 실험 전복 (최초 수용 시 평균각장 $25.19{\pm}0.50mm$, 중량 $1.93{\pm}0.14g$), 성장에서 각장의 절대성장율 (absolute growth rate, ARG), 일간성장율 (daily growth rate, DGR) 및 순간성장율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중량의 증중률 (weight gain, WG), 일간증중률 (daily weight gain, DWG) 에서 SLSNC 제외한 모든 실험구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생존율에서는 CDRT와 CFRT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따라서 shelter를 이용하여 부착면적을 확대한 고밀도 전복치패 육상 중간육성 사육 시 단층과 다단층에서 성장과 생존율에서 차이가 없으며, 호주 등에서 사용되는 shelter 없는 'shallow race way'의 얇은 수심사육은 국내 북방전복 육상 중간양성 방식으로 도입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mediated rearing method by expanding the attached floor space in order to highly density cultur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rate of the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investigated in land-based tanks. The intermediated culture methods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북방전복 육상 수조 내에서 부착면적 확대를 위해 shelter를 다단식으로 설치하여 성장을 비교하고 아울러 수조 내 중층 이상의 수면적 활용을 위해 가두리를 설치하고, 호주 등에서 활용되는 전복류 육상 양성방법의 국내 이용가능성을 타진하여 북방전복 치패의 육상 수조 내 효율적인 고밀도 중간 양성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북방전복 육상 수조 내 고밀도 중간양성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부착면적 확대를 위해 다단식 shelter 설치와 수조 내 중층 이상의 가두리를 설치하여 성장을 비교하고 아울러 전복류 육상 양성방법인 ‘shallow race way’ 국내 도입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특히 이 시설은 ‘자동식 수차 방식’를 이용해 한꺼번에 파도처럼 물을 내리면서 오염물과 폐사개체를 제거하여 수질 조절에 도와주는 방식이다 (Hone and Higham, 1997; Loipersberger, 199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호주 등에서 활용되는 시스템을 응용하여 국내 북방전복 고밀도 중간양성을 위해 새로운 양성방법으로 도입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기존 국내 수로형 양성 수조를 개조하여 고랑형과 일반 판형으로, shelter 대신 빛을 완전히 차단하고 고밀도로 북방전복 치패를 수용하여 사육하였다. 그 결과 전복들은 빛이 없고, 은신처가 없어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수조 내 넓게 분포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모두 벽 쪽으로 집중적으로 부착되고 성장도 shelter 설치구간과 비교해 급격히 떨어지며 사육기간 동안 종종 대량 폐사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복류 양식 시 밀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복족류는 크기별로 밀도에 의존적인 성장을 나타내며 (Creese and Underwood, 1982; Fletcher and Creese, 1985; Fletcher, 1988; Marshall and Keough, 1994), 복 족류인 전복류는 바닥에 부착하여 서식하고 있어 사육 시 부착면적을 기준으로 밀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Kim et al., 1998).
국내 전복류 양식이 시작된 계기는? 1970년대 인공종묘생산기술 개발로 시작된 국내 전복류 양식은 1980년대부터 종묘생산기술이 보급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한, 1998), 2014년도에는 국내 전복류 생산량이 8,980톤, 생산금액은 2,970억원에 이르고 있다 (KOSIS, 2015).
육상수조에서의 북방전복 양성 방식의 단점은? , 2013), 이때 일부는 육상수조에서 임시적으로 사육 후 해상가두리에서 다시 입식하여 출하 시까지 사육하게 된다. 육상수조에서의 북방전복 양성은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은 있으나 집중관리가 가능하고 외부 환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최근 해상가두리내 생산량 급감을 대체할 수 있는 양식방법으로 재조명 받고있다 (Kim et al., 2013;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apinpin, E.C., Toledo J.D., Encena V.C. and Doi M. (1999) Density dependent growth of the tropical abalone, Haliotis asinina in cage culture, Aquaculture, 171: 227-235. 

  2. Creese, R.G. and Underwood A.J. (1982). Analysis of infer- and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st limpets with different methods of feeding. Ocologia (Berl.), 53: 337-346. 

  3. Douros, W.J. (1987) Stacking behavior of on intertidal abalone: an adaptive response or a consequence of space limitation?. J. Exp. Mar. Biol. Ecol. 108: 1-14. 

  4.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tests. Biometrices, 11: 1-42. 

  5. Fletcher, E.J. (1988) Intra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adults and juveniles of the subtidal limpet, Patella mufria. Oecologia (Berl.), 75: 227-272. 

  6. Fletcher, E.J. and Creese, R.G. (1985) Competitive interactions between co-occurring herbivores gastropods. Marine Biology, 86: 183-191 

  7. Gaty, G. and Wilson J.H. (1986) Effects of body size, starvation, temperature, and oxygen tension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hatchery-reared ormers Haliotis tuberculata. L. Aquaculture, 56: 229-237. 

  8. Harris, J.O., Maguire G.B., Edwards S.J. and Hindrum S.M. (1999a) Effect of ammonia on the growth rate and oxygen consumption of juvenile greenlip abalone, Haliotis laevigata. Aquaculture, 160: 259-262. 

  9. Harris, J.O., Maguire G.B., Edwards S.J. and Hindrum S.M. (1999b) Effect of pH on growth rate, oxygen consumption rate and histopathology of gill and kidney tissue fro juvenile greenlip abaloen, Haliotis laevigata Donvan and blacklip abalone Haliotis rubra Leach.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18: 611-619. 

  10. Hindrum, S., Edwards S., Burke C., Johns D. and Maguire G. (1999) Explor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stocking density and refuge provision for greenlip abalone (Haliotis laevigata). In: Proceeding of the 6th Annual Abalone Aquaculture workshop, May 1999 (ed. by P.W. Hone), pp. 47-58.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Canberra, Australia. 

  11. Hone P. and Higham J. (1997) Research results: abalone do great in long skinny raceway! Developments in Abalone Aquaculture Newsletter, 1:p. 4. 

  12. Huchette, S.M.H., Koh C.S. and Day. R.W. (2003a) Growth of juvenile blacklip abalone (Haliotis rubra) in aquaculture tanks: effects of density and ammonia. Aquaculture, 219: 457-470. 

  13. Huchette, S.M.H., Koh C.S. and Day R.W. (2003b) The effects of density on the behaviour and growth of juvenile blacklip abalone (Haliotis rubra). Aquaculture International, 11: 411-428. 

  14. Hutchinson W.G. and Vandepeer M. (2005) Water quality: effects and management on abalone farms. In: Abalone Aquaculture subprogram: Preventing Summer Mortality of Abalone in Aquaculture Systems by Understanding Interactions Between Nutrition and Water Temperature. Appendix 5 of South Australi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SARDI) Research Report Series: No. 173. 2006 (ed. by M. Vandepeer), pp. 85-139. SARDI Aquatic Sciences, West Beach, SA, Australia. 

  15. Jarayaband. P., Kruiroongroj W. and Chaisanit C. (2010)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Performance of Thai Abalone, Haliotis asinina, Linnaeus 1758, Reared Under a Semiclosed Recirculating Land-Based System.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9 (3): 593-597. 

  16. Jeong, S.C. Jee Y.J. and Son P.W. (1994) Indoor Tank Cultur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 Effects of Tank shape and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of young abalone. Journal of Aquaculture, 7 (1): 9-20. (in Korean) 

  17. Kim, B.H., Lee S.M., Koh C.S., Kim J.W. and Myeong J.I. (1998) Optimum Stocking Density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Fish. Soc., 31(6): 869-874. (in Korean) 

  18. Kim, B.H., Park M.W., Kim T.I., Son M.H. and Lee S.W. (2013) A Study on the Optimum Stocking Density of the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Net Cage Culture or Indoor Tank Cultur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3): 189-195. (in Korean) 

  19. Kim, B.H., Park M.W., Kim T.I., Son M.H. and Lee S.W. (2014)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t Different Intermediate Culture Type in Net Cage of Indoor Tank. Korea Journal of Malacology. 30(3): 235-242. (in Korean) 

  20. Kim, S.Y., Park C.J., Nam. W.S., Kim J. M., Lee J.H., Noh J. K., Kim H.C., Park J.W. and Hwang I.J. (2013) Comparison of formulated feed and two seaweed-based diets on growth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ournal Malacology, 23(3): 233-238. 

  21.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http://kosis.kr 

  22. Lloyd M.J. and Bates A.E. (2008) Influence of density-dependent food consumption, foraging and stacking behaviour on the growth rate of the Northern Abalone, Haliotis kamtschatkana. Aquaculture, 277: 24-29. 

  23. Loipersberger M. (1997) SAABDEV tank report. In: Proceeding of the 4th Annual Abalone Aquaculture Workshop, July 1997 (ed. by Hone P.W and Fleming A), pp. 10-12.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Canberra, Australia. 

  24. Marshall, P.A. and Keough, M.J. (1994) Asymmetry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he limpet Cellana tramoserica (Sowerby). J. EXP. Mar. Biol. Ecol., 177: 121-138. 

  25. Mercer, J.P., Mai K.-S. and Donlon J. (1993) Comparative studies on the nutrition of two species of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Linnaeus and Haliotis discus hannai Ino: I. Effects of algal diets on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Invertebrate Reproduction Development, 23: 75-88. 

  26. Mgaya, Y.D. and Mercer J.P. (1995) The effects of size grading and stocking density on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Linnaeus. Aquaculture, 136: 197-312. 

  27. Moore M. and Hone P. (1996) Results of varying stock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per unit tank area. In: Proceeding of the 1st and 2nd Abalone Aquaculture workshop, July 1994 (ed. by P.W. Hone and A. Fleming), pp. 78-81. Fisherei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28. Park, M.E., Rho S. and Song C.B.(1995) Density Effect on the Growth of Juvenile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in the Closed Recirculating Water System. Bull. Mar. Res. Inst. Chenju. Nat. Univ., 19: 93-102. (in Korean) 

  29. Parsons, G.C. and Dadswell M.J. (1992)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production and survival of the giant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held in intermediate suspension culture in Passamaquoddy Bay, New Brunswick. Aquaculture, 103: 291-309. 

  30. Sakai, S. (1962) Ecological studies o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I. Experimental studies on the food habit.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28: 766-779. (in Japanese) 

  31. Son, M.H., Cho K.C., Kim K.K. and Jeon I.G. (2003) Optimum stocking density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recirculating culture system. Journal of Aquaculture, 16(4): 257-261. 

  32. Wassnig M., Day R.W., Roberts R.D. and Krsinich A. (2009) Effects of density and food ration on the growth rate, mortality and biomass return of abalone in slab tanks. Aquaculture Research, 40: 1501-1509. 

  33. Wu. F., Liu X., Zhang G. and Wang C.(2009) Effects of the initial size, stocking density and sorting on the growth of juvenil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Aquaculture Research, 40: 1103-1110. 

  34. 한석중, (1998) 전복양식. pp. 9-14. 구덕출판사. 부산.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