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고효율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 마련 연구(II) - 정밀모니터링 및 기술진단 결과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Efficient Bio-gasification Facility of Food Wastes (II) Results of the Periodical Monitoring and the Technical Inspec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3 no.2, 2015년, pp.11 - 18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강준구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이수영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김기헌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배지수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실제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의 메탄생성률 이론치와 실측치를 [Table 8]에 비교⋅정리하였다.
  •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7개소를 대상(현장 실측 데이터 활용)으로 건조가스 및 표준상태(0 ℃, 1기압)로 메탄생성률 실측치를 산출하였다[Table 7]. VS 기준 메탄생성률은 평균 0.
  • 인(TP, PO4-P)은 혐기성소화조에서 큰 영향 요인은 아니지만, 뒤에 이어지는 폐수처리공정과 관련하여 간과해서는 안 될 항목이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음폐수 인(TP, PO4-P) 분석결과는 [Fig.

대상 데이터

  •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10개소를 대상으로 소화조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당시조사대상 시설 10개소 중 3개소(B, C, G)의 소화조 운전효율이 기준치(검사기준)에 미달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FAs란? VFAs은 유기물 분해시 발생되는 화합물로 혐기성반응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즉, 혐기성소화조 내부의 VFAs 농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혐기성반응은 불안정한 상태로 볼 수 있다.
혐기성소화조 내부의 VFAs 농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혐기성반응은 어떠한가? VFAs은 유기물 분해시 발생되는 화합물로 혐기성반응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즉, 혐기성소화조 내부의 VFAs 농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혐기성반응은 불안정한 상태로 볼 수 있다. 음폐수의 VFAs 분석결과, 평균 유입 5,998mg/L, 유출 1,239 mg/L로 나타났다.
혐기성소화조 내부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질소(TN, NH3-N)는 혐기성소화조 내부에서 고농도로 검출될 경우 소화과정의 주요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NH3-N)는 수소 및 메탄 발생농도, 휘발성고형물 제거율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환경부, 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의 경제성 분석 연구, (2008). 

  2. 환경부, 2012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13). 

  3. 환경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발생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종합대책[2008-2012], (2007). 

  4. Weiland, P., "Biogas production: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s, Applied Microbiological Biotechnology"85. pp. 849-860 (2010). 

  5. 환경부, 폐기물공정시험방법, (2014). 

  6. 환경부, 식품공정시험방법, (2012). 

  7.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2014). 

  8.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 ed. Washington, USA, (1998). 

  9. Buswell, A. M. and H. F. Mueller, H. F., "Mechanism of methane fermentatio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44(3), pp. 550-552 (1952). 

  10. Tchobanoglous, G., Theisen, H., and Vigil, S.,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McGraw-Hill, (1993). 

  11. 이동진, 독일의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지침서 번역본, 국립환경과학원 (2014). 

  12. 이동진, 일본의 메탄가스화 시설장비 매뉴얼-음식물류폐기물을 중심으로 번역본, 국립환경과학원 (2014). 

  13. 이동진, 미국의 혐기성 슬러지 소화 운영 매뉴얼번역본, 국립환경과학원 (2014). 

  14. Angelidaki, I and Sanders, W., "Assessment of the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macropollutants",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Biotechnology, 3, pp. 117-129 (2004). 

  15. 환경부, 폐기물처리시설 세부 검사방법에 관한 규정, (2011). 

  16. WPCF, Operation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anual of Practice No 11, 2nd ed., (1990). 

  17. Oechsner, Hans, Europaische patentanmeldung patentblatt, Anmeldenummer, 49, (2008). 

  18. Sahm, H, Biologie der methanbildung, chemie-ingenieur technik, 53, Nr. 11. (1981). 

  19. Her, Jiunn-Jye. and Huang, Ju-Sheng., "Influences of carbon source and C/N ratio on nitrate/nitrite denitrification and carbon breakthrough", Bioresource Technology, 54(1), pp. 45-51 (1995). 

  20. Natuscka, M. and Lee, T. W., "The different carbon sources on respiratory denitrification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Journal of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82(3), pp. 277-285 (1996). 

  21. Srinandan, C. S., Glen, D., Srivastava, N., Nayak, B., "Anuradha S. Nerurkar, Carbon sources influence the nitrate removal activity, community structure and biofilm architecture", Bioresource Technology, 117, pp. 292-29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