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고효율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기술지침 마련 연구(III) - 설계 및 운전 지침(안)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Efficient Bio-gasification Facility of Food Wastes (III) - Final Items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3 no.3, 2015년, pp.11 - 22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강준구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이수영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김기헌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배지수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식물류폐기물은 4,000 mg/L 이하까지 큰 장애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4,000 mg/L 이상에서는 혐기소화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칼리도와 휘발성지방산 측정 수분석 방법을 부록 Ⅴ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대한 운영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세부 검사방법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정밀모니터링, 기술진단 등을 실시하고 현장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여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설계 및 운영 기술지침(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수처리설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폐수처리설비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소화 및 탈수 후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는 곳이다. 일반적인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성상은 C/N비 1.7∼3.9로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적정 폐수처리 운영인자(C/N비, 체류시간, 온도, pH 등)를 고려하여 발생폐수 특성에 맞는 적정 공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혐기성소화 설비의 정의는 무엇인가? 혐기성소화 설비는 높은 온도(35 ℃ 혹은 55 ℃) 조건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시설이다.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온도, 부하량 변화, pH, 체류시간, 암모니아, 휘발성지방산, 독성물질, 교반, 가스발생량 등의 소화조 운전 주의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점은? 혐기성소화 설비는 높은 온도(35 ℃ 혹은 55 ℃) 조건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시설이다.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온도, 부하량 변화, pH, 체류시간, 암모니아, 휘발성지방산, 독성물질, 교반, 가스발생량 등의 소화조 운전 주의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온도측정 장치, 침전물 제거, 소화조 유입배관, 상부 스컴 제거장치 등의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환경부, 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의 경제성 분석 연구] Ministry of Environment, Economic analysis of waste-to-energy project, Ministry of Environment, South Korea. (2008). 

  2. [환경부, 2012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outh Korea (2013). 

  3. [환경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발생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종합대책] Ministry of Environment, Comprehensive plan of energization and land disposal of food waste leachate, Ministry of Environment, South Korea. (2007). 

  4. Weiland, P., "Biogas production: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s", Applied Microbiological Biotechnology, 85. pp. 849-860. (2010). 

  5. [환경부, 폐기물공정시험방법]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Waste Testing Method, Ministry of Environment, South Korea. (2014). 

  6. [환경부, 식품공정시험방법]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ficial Food Testing Method. General testing method 1.1.5.1.1. Ether extraction method, South Korea, (2012). 

  7.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with repect to water pollution process. South Korea. (2014). 

  8.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 ed., Washington, USA. (1998). 

  9. Buswell, A. M. and H. F. Mueller, H. F., "Mechanism of methane fermentatio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44(3), pp. 550-552. (1952). 

  10. Tchobanoglous, G., Theisen, H., and Vigil, S.,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McGraw-Hill. (1993). 

  11. FNR(Fachagentur Nachwachsende Rohstoffe), Handout of biogas production and utilization. (2013). 

  12. Ministry of Environment, Manual of Facility on Methane-Gasification of Organic Wastes, Japan. (2008). 

  13. Zickefoose, c., Hayes, R. B. J., Operation manual anaerobic sludge digestion, EPA 430/9-76-001. (1976). 

  14. Angelidaki, I and Sanders, W., "Assessment of the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macropollutants",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Biotechnology, 3, pp. 117-129. (2004). 

  15. [환경부, 폐기물처리시설 세부 검사방법에 관한 규정] Ministry of Environment, Rules on Detailed Inspection Method of Waste Treatment Facility, South Korea. (2011). 

  16. WPCF, Operation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anual of Practice No 11, 2nd ed. (1990), 

  17. Oechsner, Hans, Europaische patentanmeldung patentblatt, Anmeldenummer, 49. (2008). 

  18. Sahm, H, Biologie der methanbildung, chemie-ingenieur technik, 53(11). (1981) 

  19. Her, J.. and Huang, J., "Influences of carbon source and C/N ratio on nitrate/nitrite denitrification and carbon breakthrough", Bioresource Technology, 54(1), pp. 45-51. (1995). 

  20. Natuscka, M. and Lee, T. W., "The different carbon sources on respiratory denitrification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J.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82(3), pp. 277-285. (1996). 

  21. Srinandan, C. S., Glen, D., Srivastava, N., Nayak, B., "Anuradha S. Nerurkar, Carbon sources influence the nitrate removal activity, community structure and biofilm architecture", Bioresource Technology, 117, pp. 292-29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