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유도방사선치료시 확인 영상의 흡수선량평가
Imaging dose evaluations on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27 no.1, 2015년, pp.1 - 11  

황선붕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기환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일환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웅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임형서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한수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강진묵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진호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방사선 치료 전 종양의 정확한 위치확인을 위한 치료 전 확인영상인 2D(AP,LAT), 3D(CBCT)의 흡수선량을 평가해보았다. 대상 및 방법 : Varian 사에서 제작한 OBI(Version1.5) System, CTDI 측정 phantom및 이온chamber, 교정된 유리선량계(GD-352M)를 이용하여 두부, 흉부, 복부의 부위별 촬영조건에 따라 Rando phantom 에 $0^{\circ}$, $90^{\circ}$, $180^{\circ}$, $270^{\circ}$, 중심부에 각각 3개씩의 유리선량계를 부착하여 Field size $26.6{\times}20$, $15{\times}15$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CBCT width를 16cm, 10cm로 나누어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결 과 : 2차원영상 AP 촬영은 입사방향인 $0^{\circ}$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Field size 를 $26.6{\times}20$, $15{\times}15$로 변화 시켰을 때 흡수선량은 두부에서 각각 $1.44{\pm}0.26mGy$, $1.17{\pm}0.02mGy$, 흉부는 $3.08{\pm}0.86mGy$, $0.57{\pm}0.02mGy$, 복부는 $8.19{\pm}0.54mGy$ $4.19{\pm}0.08mGy$로 Field size 축소에 따라 평균 5~12%감소하였다. Lat 촬영 시에는 각각 5~8%감소하였다. 3차원영상 CBCT 에서는 width를 16 cm, 10 cm로 변화시킴에 따라 CBDI 측정값은 두부 $4.39{\pm}0.11mGy$, $3.99{\pm}0.13mGy$, 흉부(LDCT) $34.88{\pm}0.93(10.48{\pm}0.09)mGy$, $31.01{\pm}0.3(9.30{\pm}0.09)mGy$ 복부 $35.99{\pm}1.86mGy$, $32.27{\pm}1.35mGy$로 약 8~11%감소하였다. 결 론 : 2D는 조사면 크기를 줄여 5~12%, 3D는 width를 줄여줌으로써 8~11% 환자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영상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사선사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다수의 CBCT 촬영시 치료처방선량에 영상선량의 포함여부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Evaluating absorbed dose related to 2D and 3D imaging confirmation devices Materials and Methods : According to the radiographic projection conditions, absorbed doses are measured that 3 glass dosimeters attached to the centers of 0', 90', 180' and 270' in the head, thorax and abdomen 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mmAl)은 약 48 KeV 이다. 본 실험에서는 에너지 의존성이 적은 이온전리함을 통해 에너지 감도를 보정하였다. 2014년 4월 25일 교정지침서(TCI-RC01)에 따라 한국표준과학원(KRISS)으로부터 측정의 소급성이 확보된 기준기를 이용하여 교정된 전리함(Radical Corporation Model 9015/10X5-6)을 CTDI(CT Dose Index) 팬텀(Supertech, USA)에 삽입하여 방사선감도에 대한 보정 인자를 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진단 검사 및 치료계획실 내에서의 피폭 선량은 제외하고 치료실 내에서의 치료 셋업을 위한 2차원 및 3차원 확인영상의 흡수선량을 평가하였으며,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있어 영상에 의한 피폭선량의 저감화 및 환자 개인별 영상선량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자 하였다.
  • 2014년 4월 25일 교정지침서(TCI-RC01)에 따라 한국표준과학원(KRISS)으로부터 측정의 소급성이 확보된 기준기를 이용하여 교정된 전리함(Radical Corporation Model 9015/10X5-6)을 CTDI(CT Dose Index) 팬텀(Supertech, USA)에 삽입하여 방사선감도에 대한 보정 인자를 구하였다. 부위별 촬영조건 유효에너지에 대한 유리 선량계의 교정을 위해 동일 에너지 당 5 회 반복 측정하여 유효에너지 흡수선량 교정인자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방어에 이론적으로 적용하는 모델은? 영상의학과 같이 저선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에 의한 부작용이 확률적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방사선방어에서 이론적으로 LNT(Linear - Non - Threshold)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3) 따라서 어떠한 효과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문턱선량이 없고 방사선을 사용하는데 있어 안전한 선량이 없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선량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선종양학 분야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이 점점 증가하는 이유는? 방사선종양학 분야에서는 치료를 위해 투여되는 치료선량과 비교하여 영상획득에 수반되는 피폭선량은 무시할 수준이라고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유도방사선치료와 같은 3차원영상치료기법이 도입되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상조직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치료선량 전달을 위해 2, 3차원 영상 및 호흡 동조 4차원 영상의 촬영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영상유도방사선치료에 이용되는 영상촬영의 1회 피폭 영상선량만 평가하거나 누적선량이 작다고 무시하면 안되는 이유는? 영상유도방사선치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촬영 기법들이 이용되는데, 치료 환자 셋업(set-up)을 위한 단순 X선 촬영에서부터 투시영상, 포털영상, 치료 빔을 이용한 CBCT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촬영은 환자에 대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은 누적된다. 따라서 한 번에 피폭되는 영상선량만 평가하거나 또는 여러 영상촬영으로 인한 누적선량이 치료선량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다고 단순히 가정하는 것은 환자에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 행위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ird EGA : Second cancer risk, concomitant exposures, and IRMER2000. Br J Radiol 77:983-985(2004) 

  2. ICRP-60,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Recommendations on Radiation Protection, ICRP Publication 60 (Pergamon Press, Oxford, 1991) 

  3. International basic safety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ionizing radiation and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 IAEA safety series No.115, Vienna, pp.279-280, 1996 

  4. Y.M. Moon, "A Study on Effective Dose Measurement fo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using Glass Dosimeter"(2013) 

  5. Murphy et al. : The management of imaging dose during image-guided radiotherapy: Report of the AAPM Task Group 75 (2007) 

  6. Hyer DE : Imaging doses in radiation therapy from kilovoltage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2011) 

  7. Song W, Kamath S, Ozawa S, et al : A dose comparison study between XVI and OBI CBCT systems. Med Phys 35(2):480-486 (2008) 

  8. Ding G, Munro P, Pawlowski J, et al : Reducing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from kV-CBCT imaging. Radiother Oncol 97:585-592 (2010) 

  9. Asa Palm et al : Absorbed dose and dose rate using the Varian OBI 1.3 and 1.4 CBCT system (2009) 

  10. Hyer DE, Serago CF, Kim S, Li JG, Hintenlang DE : An organ and dffective dose study of XVI and OBI Cone-beam CT systems. J appl Clin Med Phys 11:181-197 (2010) 

  11. Hyer DE, Hintenlang DE : Estimation of organ doses from kilovoltage cone-beam CT imaging used during radiotherapy patient position verification. Med Phys 37:4620-4626 (2010) 

  12. Morin O, Gillis A, Descovich M, et al. Patient dose considerations for routine megavoltage cone-beam CT imaging. Med Phys 28:220-231 (2001) 

  13. McCollough C, Leng S, Yu L, Cody D, Boone J, Gray M : CT dose index and patient dose : they are not the same thing. Radiology 259(2):311-316 (2011) 

  14. Asa Palm, Elisabeth Nilsson, Lars Herrnsdorf : Absorbed dose and dose rate using the Varian OBI 1.3 and 1.4 CBCT system (2010) 

  15. C. H. McCollough and B. A. Schueler,"Calculation of effective dose" Med. Phys. 27, 828-837 (2000) 

  16. Dalrymple GV, Goulden ME, Kollmorgen GM, Vogel H : Medical Radiation Bi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235 (1973) 

  17. Nishizawa K, Maruyama T, Takayama M, Okada M, Hachiya J, Furuya Y : Determinations of organ doses and dffective dose equivalents from computed tomographic examination, Br J Radiol, 64, 20-28,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