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과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n dental practitioners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3 no.3, 2015년, pp.189 - 197  

전한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진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에 종사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로 구성되었다(n=126). 설문지는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교육 관련 문항, 치과 보철 치료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에 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에 대한 설명 후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인지도와 실천도는 1에서 5 사이 값을 갖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고, 직종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 시행하였으며, 인지도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7%는 치과 보철 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 교육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보철치료와 관련된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의 평균값은 각각 $2.72{\pm}0.80$, $1.58{\pm}0.88$으로 나타났다. 감염 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62{\pm}0.9$, 받지 못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31{\pm}0.49$로 나타났다. 현재 근무하는 곳에 감염 관리 지침서가 있는 응답자의 인지도는 $3.01{\pm}0.91$, 없는 응답자의 경우 $2.56{\pm}0.70$로 나타났다. 결론: 1. 대학 교육과정 중 감염 관리 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무지에 감염 관리 지침서를 갖고 있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했으며,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실천도는 인지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egree of awareness and actual practice of dental practitioner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during prosthodont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dentists, dental hygienists, dental technicians working at dental u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 진료실뿐만 아니라 치과기공실까지 포함된 감염관리에 대한 권고사항을 치과종사자들이 얼마나 인지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 관리의 주체가 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및 보철물을 제작하는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보철 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 기준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인지도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실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44.
  • 그러나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 중의 치과기공물은 왁스와 같이 열에 취약한 재료가 많고 멸균을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소독에도 소홀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보철 치료와 관련하여 감염 관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치과기공물에 대한 소독을 얼마나 인지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를 평가해 보고자, 대전지역에 소재한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기록상 및 교합제 감염 방지를 위해 권장하는 방법은? 열에 약한 왁스를 사용하여 소독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되며, 타액 및 혈액과의 접촉이 많은 인상체나 완성된 보철물에 비해 중간단계의 치과기공물인 기록상 및 교합제에 대한 감염 관리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치과의사협회는 기록상 및 교합제에 대하여 아이오도포 또는 염소 혼합물을 분사하여 닦는 방법으로 소독한 뒤 구강 내 장착 전에 물로 세척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으나, 이를 제대로 지키고 있는 곳은 없었다. 13
진료 기재를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눈다면? 진료 기재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눠진다. 점막을 관통하거나 혈관계 또는 무균 조직에 사용되는 기구는 ‘고위험기구’로 분류하며 멸균과정이 필수적이다. 점막에 접촉하는 기구는‘준위험기구’로 분류하며 멸균 또는 높은 수준의 소독이 필요하다. ‘비위험기구’는 손상이 없는 피부에 접촉하는 물품을 말하며 낮은 수준의 소독이 요구된다. 치과 보철물 제작에 필요한 치과기공물은 구강 점막에 접촉하는 ‘준위험기구’로 분류되어 높은 수준의 소독이 요구된다.
각종 병원성 미생물들을 포함한 분진 발생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일은? 치과 진료실에는 고속의 회전 기구와 주수에 의해 환자의 타액이나 혈액이 섞인 분비물이 많이 발생한다. 각종 병원성 미생물들을 포함한 분진 발생에 의해서 감기, 폐렴, 결핵,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병원성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병원의 감염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감염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atistics Korea. 2014 Statistics on the aged. Available at: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pubcodeKO&typeF". Accessed October 2, 2014. 

  2. Meskin L, Berg R. Impact of older adults on private dental practices, 1988-1998. J Am Dent Assoc 2000;131:1188-95. 

  3. Shaw FE Jr, Barrett CL, Hamm R, Peare RB, Coleman PJ, Hadler SC, Fields HA, Maynard JE. Lethal outbreak of hepatitis B in a dental practice. JAMA 1986;255:3260-4. 

  4. Robinson P, Challacombe S. Transmission of HIV in a dental practice the facts. Br Dent J 1993;175:383-4. 

  5. Oh SK. Recommended infection-control practices for dentistry. J Korea Dent Assoc 1993;301:409-16. 

  6. Agostinho AM, Miyoshi PR, Gnoatto N, Paranhos Hde F, Figueiredo LC, Salvador SL. Cross-contamination in the dental laboratory through the polishing procedure of complete dentures. Braz Dent J 2004;15:138-43. 

  7. Wakefield CW. Laboratory contamination of dental prostheses. J Prosthet Dent 1980;44:143-6. 

  8. ADA Council on Dental Therapeutics; Council on Prosthetic Services and Dental Laboratory Relation.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office and the commercial dental laboratory. J Am Dent Assoc 1985;110:969-72. 

  9. Kohn WG, Harte JA, Malvitz DM, Collins AS, Cleveland JL, Eklund KJ;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 care settings 2003. J Am Dent Assoc 2004;135:33-47. 

  10. King TB, Muzzin KB. A national survey of dental hygienists' infection control attitudes and practices. J Dent Hyg 2005;79:8. 

  11. Allen IE, Seaman CA. Likert scales and data analyses. Quality Progress 2007;40:64-5. 

  12. Korean Dental Association. Infection control procedure in dental office. Available at : "http://www.kda.or.kr/KDAShare/kdamba_ebook/ecatalog.html" Dir Accessed October 2, 2014. 

  13. ADA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and ADA Council on Dental Practice.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the dental office and the dental laboratory. J Am Dent Assoc 1996;127:672-80 

  14. Leung RL, Schonfeld SE. Gypsum casts as a potential source of microbial cross-contamination. J Prosthet Dent 1983;49:210-1. 

  15. Kotsiomiti E, Tzialla A, Hatjivasiliou K. Accuracy and stability of impression materials subjected to chemical disinfection - a literature review. J Oral Rehabil 2008;35:291-9. 

  16. Glass RT, Bullard JW, Hadley CS, Mix EW, Conrad RS. Partial spectrum of microorganisms found in dentures and possible disease implications. J Am Osteopath Assoc 2001;101:92-4. 

  17. Salvia AC, Matilde Fdos S, Rosa FC, Kimpara ET, Jorge AO, Balducci I, Koga-Ito CY. Disinfection protocol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between dental offices and prosthetic laboratories. J Infect Public Health 2013;6:377-82. 

  18. Li L, Finnegan MB, Ozkan S, Kim Y, Lillehoj PB, Ho CM, Lux R, Mito R, Loewy Z, Shi W. In vitro study of biofilm formation and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treatment on various dental material surfaces. Mol Oral Microbiol 2010;25:384-90. 

  19. Pavarina AC, Pizzolitto AC, Machado AL, Vergani CE, Giampaolo ET. An infection control protocol: effectiveness of immersion solutions to reduce the microbial growth on dental prostheses. J Oral Rehabil 2003;30:5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