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 소자 기술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42 no.7 = no.374, 2015년, pp.76 - 87  

이병훈 (광주과학기술원) ,  황현준 (광주과학기술원) ,  장경은 (광주과학기술원) ,  김윤지 (광주과학기술원) ,  김소영 (광주과학기술원) ,  유원범 (광주과학기술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논문에서 요약한 바와 같이, 그래핀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한 barristor나 파생소자, 또는 수광소자의 채널소재로 그래핀을 이용한다면, 초저온 공정이 가능한 고성능 로직소자 및 광기반 소자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소자제작방법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매우 다양한 전자소자 응용이 가능해질 것이며, 그래핀의 전자소자용 소재의 응용가능성을 매우 다양하고 긍정적으로 보아야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그래핀의 여러가지 단점을 극복하고, 고성능 전자소자용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지를 정리했다.
  • 이 절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연구되고 있는 그래핀소자에 대해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핀이 갖는 특이한 밴드구조는 무엇인가? 그래핀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의 대상이 된 이유는 2차원 구조체라는 이유도 크지만 그래핀이 갖는 특이한 밴드구조 때문이다[1].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단위 셀에 2개의 탄소 원자가 존재한다. 탄소는 4개의 최외각 전자를 가지고 있어 다이아몬드의 경우 sp3혼성 결합을 이루고 있으나 그래핀의 경우 탄소간에 강한 결합인 σ 결합이 sp2 혼성궤도를 이루고 남은 하나의 전자가 불완전한 π결합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하여 그래핀의 밴드구조는 벌집구조의 육각형 꼭지점에 위치한 탄소를 기준으로 전자가 가득 찬 valence 밴드와 전자가 없는 conduction 밴드가 꼭지점에서 만나게 되고 Fermi 준위에서 Dirac cone이라고 부르는 형태를 띄게 된다(<그림 4>). 이러한 밴드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그래핀의 전도특성에 관여하는 자유 전하들은 Dirac cone 부근에서 질량이 없는 광자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며 매우 높은 전하이동도를 갖게 된다.
수십 nm이하의 미세 패터닝을 통해 밴드갭을 여는 방식의 문제점은? 5eV까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약 104정도의 전류비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수십nm 이하의 미세 패터닝을 통해 밴드갭을 여는 방식은 복잡한 공정과정중에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이 열화되면, 밴드갭이 발생하면서 전하이동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핀이란? ” 흔히 그래핀(graphene)을 소개할 때 나오는 이야기다. 그래핀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연필심에 쓰이는 흑연의 구성 물질로 흑연을 뜻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에 탄소 이중 결합을 가진 분자를 의미하는 접미사 -ene을 결합하여 만든 용어이다. 그래핀은 벌집구조의 탄소원자 한 층으로 된 0.34nm 두께의 2차원 평면 막을 뜻한다. 이러한 그래핀을 이용하여<그림 1>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나의 그래핀을 층층이 쌓으면 3차원의 흑연이 만들어지고 길게 말거나 둥글게 말 경우 1차원의 탄소나노튜브(CNT)나 0차원의 풀러린(C60) 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S. Novoselov et al., Science, 306(5696), p.666 (2004) 

  2. K.S. Kim et al., Nature, 457(7230), p.706 (2010) 

  3. X. Li et al., Science, 324(5932), p.1312 (2009) 

  4. S. Unarunotai et al., ACS Nano, 4(10), p.5591 (2010) 

  5. M. Reiche, Phys. Status Solidi A, 203(4), p.747 (2006) 

  6. J.S. Moon et al., IEEE Elec. Dev. Lett., 30(6), p.650 (2009) 

  7. H.J. Hwang et al., Appl. Phys. Lett., 99, p.082111 (2011) 

  8. D.C. Marcano et al., ACS Nano, 4(8), p.4806 (2010) 

  9. R.R.Nair et al., Science, 320, p.1308 (2008) 

  10. K.I. Volotin et al., Solid State Commun., 146, p.351 (2008) 

  11. S.V. Morozov et al., Phys. Rev. Lett. 100, p.016602 (2008) 

  12. A.A. Balandin et al., Nano Lett. 8, p.902 (2008) 

  13. C. Lee et al., Science, 321, p.385(2008) 

  14. S. Bae et al., Nat. Nanotechnol., 5, p.574 (2010) 

  15. C. Liu et al., Nano Lett., 10(12), p.4863 (2010) 

  16. A. Pirkle et al., Appl. Phys. Lett., 99(12), p.122108 (2011) 

  17. Z. Cheng et al., Nano Lett., 11(2), p.767 (2011) 

  18. X. Wang et al., J. Am. Chem. Soc., 130(26), p.8152 (2008) 

  19. B. Lee et al., Appl. Phys. Lett., 90(20), p.203102 (2008) 

  20. J.R. Williams et al., Science, 317(5838), p.638 (2007) 

  21. S. Kim et al., Appl. Phys. Lett. 94(6), p.062107 (2009) 

  22. D.B. Farmer et al., Nano Lett., 9(12), p.4474 (2009) 

  23. Y. Zhang et al., J. Phys. Appl. Phys., 47(5), p.055106 (2014) 

  24. W. Gannett et al., Appl. Phys. Lett., 98(24), p.242105 (2011) 

  25. C.G. Kang et al., Nanotechnol., 22, p.295201 (2011) 

  26. H. Yang et al., Science, 336(6085), p.1140 (2012) 

  27. H. Tian et al., Scientific Reports, 4, p.8981 (2014) 

  28. T. Georgiou et al., Nature Nanotechnol., 8, p.100 (2013) 

  29. 황현준 외, 한국재료학회, p.114 (2015) 

  30. J. Heo et al., Nano Lett., 13, p.5967 (2013) 

  31. F. Lin et al., Appl. Phys. Lett. 105, p.073103 (2014) 

  32. A.K. Geim et al., Nature, 499, p.419 (2013) 

  33. L.F. Register et al., ECS Transaction, 45(4), p.3 (2012) 

  34. X. Hong et al., Appl. Phys. Lett., 97, p.033114 (2010) 

  35. H.J. Hwang et al., Microelectronics Engineering, 109, p.87 (2013) 

  36. H.J. Hwang et al., Nanotechnol., 24, p.175202 (2013) 

  37. J.O. Hwang et al., J. Mat. Chem., 21, p.3432 (2010) 

  38. E.J. Paek et al., Solid State Devices and Materials (SSDM), p.1331 (2011) 

  39. J.H. Yang et al., Microelectronics Engineering, 147, p.79 (2015) 

  40. C.G. Kang et al., Nanotechnol., 24, p.114707 (2013) 

  41. C.G. Kang et al., Optics Express, 21(20), p.23391 (2013) 

  42. A.C. Ferrari et al., Nanoscale, 7(11), p.459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