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료의 입경 및 투입량 차이에 따른 바이오오일의 특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0.5~2.0 mm 크기의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시료 300~900 g을 $465^{\circ}C$에서 1.6초 동안 급속열 분해하여 바이오오일을 제조하였다. 입경 및 투입량 차이에 따른 열분해 생성물의 수율변화에는 눈에 띠는 경향은 없었지만, 바이오오일 수율이 가장 많아 약 60.3~62.1%를 차지하였고, 미응축가스, 바이오차 순이었다. 바이오오일을 냉각관으로 응축하여 얻은 1차 바이오오일과 전기집진장치로 얻은 2차 바이오오일로 구분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1차 바이오오일의 수율이 2차 바이오오일 수율의 약 2배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열량은 2차 바이오오일이 1차 바이오오일 보다 약 2배 이상 높았으며, 최대 5,602 kcal/kg을 나타내었다. 1차 바이오오일의 수분함량이 20%이상으로 2차 바이오오일의 수분함량 10% 이하였다. 또한 2차 바이오오일의 원소분석 결과, 1차 바이오오일보다 탄소함량이 높고, 산소함량이 낮았기 때문에 수분함량과 원소조성 특성도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오일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또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점도가 증가하며, 2차 바이오오일의 점도 증가 정도가 1차 바이오오일보다 컸는데, 저장기간 중에 바이오오일 성분 간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바이오오일의 고분자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sample size and sample input changes as characteristics of bio-oil oak(Quercus variabilis), the oak 0.5~2.0 mm of the oak weighing 300~900g was processed into bio-oil via fast pyrolysis for 1.64 seconds.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oil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굴참나무 목분 시료의 입경 및 투입량에 따른 급속열분해 생산물 수율 변화와 제조된 바이오오일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시료의 입경 및 투입량 차이에 따른 열분해 생성물 수율과 제조된 바이오오일의 발열량, 수분, 원소 조성 및 점도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수송용 바이오연료 생산에 기여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하나인 굴참나무 목분을 급속 열분해하여 생성되는 바이오오일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저장조건에 따른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줄이고 이상 기후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자연이 지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연료를 찾기 시작하였으며, 생물자원으로부터 이러한 연료를 얻으려고 하였다. 즉 바이오에너지라고 말할 수 있는데, 사람이 식량으로 사용하지 않고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목재는 이러한 목적에 매우 알맞은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급속 열분해 제조 공정을 통해 연료로 전환하였을 때 장점은 무엇인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환기술 중, 최근 주목 받는 기술이 급속열분해 공정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생산기술이다. 또한 급속 열분해(fast pyrolysis) 제조 공정에서 나오는 연료는 다른 바이오매스와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저장 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액체이므로 취급이 간편하여 난방용 및 발전용 연료로서 이용가치가 높다[6-8].
대표적인 목질계 바이오 에너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즉 바이오에너지라고 말할 수 있는데, 사람이 식량으로 사용하지 않고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목재는 이러한 목적에 매우 알맞은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목질계 바이오 에너지에는 목재펠릿, 칩, 브리켓 등의 고체연료와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오일로 대표할 수 있으며 실용화를 위하여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5].
바이오오일이 휘발유나 경유를 대체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최근 미국에서는 바이오오일을 고품질로 개질하여 최종적으로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나 경유 대체 연료로 사용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9]. 반면에 높은 수분함량, 고산소량, 낮은 발열량, 산성도 및 불안전성 때문에 품질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1]. 급속 열분해의 주요 산물인 바이오오일은 냉각관을 이용하여 회수하는 1차 바이오오일과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2차 바이오오일로 구분할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Xiu, A. Shahbazi, Bio-oil production and upgrading research: a review, Sustainable Energy Reviews 16 4406-4414 (2012). 

  2. M. Al-Sabawi, J. Chen, Hydroprocessing of biomass-derived oils and their blends with petroleum feedstocks: a review, Energy & Fuels 26 5373-5399 (2012). 

  3. P.M. Mortensen, J.D. Grunwaldt, P.A. Jensen, K.G. Knudsen, A.D. Jensen, A review of catalytic upgrading of bio-oil to engine fuels, Applied Catalysis A 407 1-19 (2011). 

  4. W.N.R.W. Isahak, M.W.M. Hisham, M.A. Yarmo, T. Yun Hin, A review on bio-oil production from biomass by using pyrolysis method,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6 5910-5923 (2012). 

  5. L. Ma, T. Wang, Q. Liu, X. Zhang, W. Ma, Q. Zhang, A review of thermal-chemical convers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in China, Biotechnology Advances 30 859-873 (2012). 

  6. M. Ikura, M. Stanciulescu and E. Hogan, Emulsification of pyrolysis derived bio-oil in diesel fuel, Biomass Bioenergy, 24, 221 (2003). 

  7. D. Chiaramonti, M. Bonini, E. Fratini, G. Tondi and K. Gartner, Development of emulsions from biomass pyrolysis liquid and diesel and their use in engines-Part1: Emulsion production, Biomass Bioenergy, 25, 85 (2003). 

  8. J. F. Hernandez, S. N. Guash and J. C. Morla, Effect of pyrolysis production on diesel-fuel oil blends, Technological Quimica, 3, 18 (2006). 

  9. U.S Department of Energy, Biomass Program Overview (2011). 

  10. Bridgewater, A. V., Thermal Science, 8(2), 21-50 (2004). 

  11. K. H. Kim, T. S. Kim, S. M. Lee, D. H. Choi, H. Y. Yeo, I. G. Choi, J. W. Cho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features of biooils and biochars produced from various woody biomasses by fast pyrolysis, Renewable Energy 50 188-195 (2013). 

  12. W. N. R. W. Isanhak, M. W. M. Hisham, M. A. Yarmo and T. Y. Yun Hin, A review on bio-oil production from biomass by using pyrolysis method, Renewable and Sutainable Energy Review, 16, 5910 (2012). 

  13. A. V. Bridgwater and G. V. C. Peacocke, Fast pyrolysis processes for biomass,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4, 1 (2000). 

  14. J. Lehot, A. Oasmaa, Y. Solantausta, M. Kyto and D. Chiaramonti, Fuel Oil Quality and Combustion of Fast Pyrolysis Bio-oils, VTT Technology 87, Espoo (2013). 

  15. M. Ringer, V. Putsche and J. Scahill, Large-scale Pyrolysis Oil Production: A Technology Assessment and Economic Analysis, NREL Technical Report NREL/TP-510-37779 (2006). 

  16. Demirbas. A, Calculation of higher heating values of biomass fuels. Fuel 76(5): 431-434 (1997). 

  17. Czernik, S. and A. Bridgwater, Overview of applications of biomass fast pyrolysis oil. Energy & Fuels, 18(2): 590-598 (2004). 

  18. Mohan, D., C. U. Pittman., Jr., and P. H. Steele, Pyrolysis of wood/biomass for bio-oil: A critical review. Energy & Fuels 20(3): 848-889 (2006). 

  19. Fahmi, R., A.V. Bridgwater, I. Donnison, N. Yates, J. M. Jones, The effect of lignin and inorganic species in biomass on pyrolysis oil yields, quality and stability. Fuel 87 : 1230-1240 (2008). 

  20. Bayerbach, R., D.Meier, Characteriztion of water-insoluble fraction from fast pyrolysis liquids(pyrolytic lignin). Part IV:Structure elucidation of oligomeric molecules. J.Anal.Appl.Pyrol. 85: 98-10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