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연한 착용형 손 로봇 기술 동향
Trend of Soft Wearable Robotic Hand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1 no.6, 2015년, pp.531 - 537  

인현기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정우석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강병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이해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구인욱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조규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및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d function is one of the essential functions required to perform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wearable robots that assist or recover hand functions have been consistently developed. Previously, wearable robots commonly employed conventional robotic technology such as linkage which consis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 번째 요소로는 고정단(anchor) 설계이다. 고정단은 단단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손에 고정이 잘 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단은 하우징(housing)을 통해 구동부로 연결이 되어 하나의 단단한 구조와 같이 작용하며, 구동기의 와이어는 하우징과 고정단을 통해 목표 관절까지 연결이 된다.
  •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고 있거나 상용화된 손 부위의 로봇을 살펴 보았다. 기존에 주로 개발되던 강체 기반 착용형 로봇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유연한 착용형 로봇의 특징 및 한계를 살펴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고 있거나 상용화된 손 부위의 로봇을 살펴 보았다. 기존에 주로 개발되던 강체 기반 착용형 로봇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유연한 착용형 로봇의 특징 및 한계를 살펴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링키지 구조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의 강체 기반 착용형 로봇(rigid wearable robot)의 특징 및 장단점을 소개하고, 강체 기반 착용형 로봇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유연한 착용형 로봇(soft wearable robot)을 본 연구실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와 더불어 소개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비 장애인들에게 착용형 로봇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착용형 로봇은 로봇이 신체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로봇이 사람의 신체 일부분에 부착되어 직접 신체를 움직이거나 힘을 전달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마비 장애인들은 손의 기능이 불편하더라도 팔의 기능을 일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말단 작용기인 손의 위치 및 자세를 자신의 팔을 이용해서 직관적으로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신체를 사용한다는 만족감과 더불어 신체를 이용하면서 재활 치료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손 기능 보조 기기에는 무엇이 있는가? 손 기능 보조 기기로서 우선 로봇암(robot arm)과 말단 작용기(end effector)로 이루어진 JACO 2 [2]와 My spoon [3]과 같은 플랫폼형 로봇을 들 수 있다. 플랫폼형 로봇은 말단 작용기의 위치, 방향 및 말단 작용기의 고유한 자유도를 모두 제어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자유도를 한꺼번에 직관적으로 제어 하기 어려워 움직임을 제한하여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로봇 플랫폼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플랫폼형 로봇은 말단 작용기의 위치, 방향 및 말단 작용기의 고유한 자유도를 모두 제어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자유도를 한꺼번에 직관적으로 제어 하기 어려워 움직임을 제한하여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로봇 플랫폼은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을 유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재활훈련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 Kim, Y. C. Byun, C. K. Son, Y. H. Lee, M. K. Lee, and et al, "2011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Report, 2011. 

  2. KINOVA Robotics, "JACO2," 2015. [Online]. Available: http://kinovarobotics.com/. 

  3. SECOM, "My Spoon," 2015. [Online]. Available: http://www.secom.co.jp/english/myspoon/. 

  4. D. J. Reinkensmeyer, J. L. Emken, and S. C. Cramer, "Robotics, motor learning, and neurologic recovery,"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vol. 6, no. 1, pp. 497-525, Aug. 2004. 

  5. B. H. Dobkin,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The Lancet Neurology, vol. 3, no. 9, pp. 528-536, Sep. 2004. 

  6. L. A. Harvey and R. D. Herbert, "Muscle stretching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ontracture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vol. 40, no. 1, pp. 1-9, Feb. 2002. 

  7. M. M. Adams and A. L. Hicks, "Spasticity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vol. 43, no. 10, pp. 577-586, Apr. 2005. 

  8. A. Chiri, N. Vitiello, F. Giovacchini, S. Roccella, F. Vecchi, and M. C. Carrozza, "Mechatronic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dex finger module of a hand exoskeleton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17, no. 5, pp. 884-894, Oct. 2012. 

  9. A. Wege and G. Hommel, "Development and control of a hand exoskeleton for rehabilitation of hand injuries," Proc. of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2005, Alberta, Canada, pp. 3046-3051, Aug, 2005,. 

  10. P. Stergiopoulos, P. Fuchs, and C. Laurgeau, "Design of a 2-finger hand exoskeleton for VR grasping simulation," Proc. of Eurohaptics, Dublin, Ireland, pp. 80-93, 2003. 

  11. H. In, B. B. Kang, M. Sin, and K.-J. Cho, "Exo-Glove: Soft wearable robot for the hand with soft tendon routing system," IEEE Robotics Automation Magazine, vol. 22, no. 1, pp. 97-105. 

  12. D. Sasaki, T. Noritsugu, M. Takaiwa, and H. Yamamoto, "Glove-type power assist device," PCT/JP2012/055694, 20-Sep-2012. 

  13. D. Sasaki, T. Noritsugu, M. Takaiwa, and H. Yamamoto, "Wearable power assist device for hand grasping using pneumatic artificial rubber muscle," Proc. of 13th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2004, pp. 655-660, Sep. 2004. 

  14. I. Koo, B. B. Kang, and K.-J. Cho, "Development of hand exoskeleton using pneumatic artificial muscle combined with link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30, no. 11, pp. 1217-1224, Nov. 2013. 

  15. P. Polygerinos, Z. Wang, K. C. Galloway, R. J. Wood, and C. J. Walsh, "Soft robotic glove for combined assistance and at-home rehabilitation,"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in press. 

  16. T. Kline, D. Kamper, and B. Schmit, "Control system for pneumatically controlled glove to assist in grasp activities," Proc. of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habilitation Robotics 2005. Chicago, USA, pp. 78-81, Jun. 2005. 

  17. S. Lee, K. A. Landers, and H.-S. Park, "Development of a biomimetic hand exotendon device (BiomHED) for restoration of functional hand movement post-stroke,"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 22, no. 4, pp. 886-898, Jul. 2014. 

  18. M. Nilsson, J. Ingvast, J. Wikander, and H. von Holst, "The soft extra muscle system for improving the grasping capability in neurological rehabilitation," Proc. of 2012 IEEE EMBS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Sciences, pp. 412-417, Dec. 2012. 

  19. M. A. Diftler, C. A. Ihrke, L. B. Bridgwater, D. R. Davis, D. M. Linn, E. A. Laske, K. G. Ensley, and J. H. Lee, "RoboGlove - A robonaut derived multipurpose assistive device,"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14, HongKong, China, May 2014. 

  20. Idrogenet srl. (2014)., Gloreha(R). [Online]. Available: http://www.gloreha.com/. 

  21. H. M. Kim and G. S. Kim, "Design of rectangular-type fourfinger rehabilitation robot for stroke patient,"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19, no. 5, pp. 473-480, May 2013. 

  22. H. D. Lee and C. S. Han, "Technical trend of the lower limb exoskeleton system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0, no. 3, pp. 364-372, Ma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