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상의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가 영상실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matching between video color-temperature and scent on reality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HCI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10 no.1, 2015년, pp.29 - 41  

이국희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형철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안충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기명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김신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3D 디스플레이, 진동, 서라운드 음향 등 다양한 감각자극을 활용한 영상실감 기술이 상용화되었으나, 후각을 사용한 영상의 실감향상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다. 후각은 인간의 정서와 강하게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한다면 높은 수준의 실감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에 냄새를 암시하는 뚜렷한 대상(커피, 꽃 등)이 존재하지 않을 때, 영상의 색온도와 관련이 높은 향의 제시가 영상의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48가지 향을 수집하여 1,500K (따뜻한) ~ 15,000K (차가운)의 색온도 척도를 통해 향과 색온도의 매칭을 실시하여, 따뜻한 혹은 차가운 색온도와 뚜렷한 매칭을 보인 향 8개 (따뜻한 향 4개, 차가운 향 4개)를 선정하였다 (실험 1). 이를 토대로 이미지와 영상에 따뜻한 (3,000K), 중립적인 (6,500K) 혹은 차가운 (14,000K) 색온도를 적용한 후, 따뜻한 혹은 차가운 향을 제시하여 향과 색온도의 일치도 (일치, 불일치, 중립)에 따라 실감이 얼마나 향상되는지 참가자들에게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실험 2-3). 그 결과 향과 색온도가 일치할 때 참가자들은 불일치하거나 중립적일 때 보다 이미지와 영상의 실감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에 후각 정보를 가진 구체적 대상이 없을 때에도 색온도 감성과 일치하는 향을 제공함으로써 영상실감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실용적 가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chnologies for video reality (e.g., 3D displays, vibration, surround sound, etc.) utilize various sensory input and many of them are now commercializ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use of olfaction for video reality, there has not been much progress in both practical and academic respects. Bec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체적인 후각정보를 가진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들에서 후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실감과 감성적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영상의 색온도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향을 제시할 때 영상실감이 향상 혹은 저하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4, 5]. 사실 색-향의 관련성은 기존 연구에서 여러 차례 밝혀진 현상이지만 이러한 현상이 영상실감의 향상으로 이어지는지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질문이다.
  • 이어지는 네 가지 실험은 이미지와 영상의 색 온도와 향의 일치도가 실감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실험 1은 48가지 다양한 향과 색온도의 매칭을 확인하여 색온도와 명확하게 매칭되는 향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2AB는 이미지에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을 입힌 후, 실험 1에서 선정한 향의 색온도와 일치 또는 불일치하게 할 때 일치조건에서 실감이 증대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구체적인 후각정보를 가진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들에서 후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실감과 감성적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영상의 색온도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향을 제시할 때 영상실감이 향상 혹은 저하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4, 5].
  • 본 연구는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도 (일치 vs. 불일치 vs. 중립)가 영상과 이미지의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48가지 다양한 향에 어울리는 색온도를 매칭한 후 따뜻한 혹은 차가운 색온도 감성을 뚜렷하게 전달하는 총 8가지 향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정보를 영상실감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함의를 가진다. 먼저 영상에 후각정보를 가진 구체적인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를 통해 영상실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먼저 실험 1은 48가지 다양한 향과 색온도의 매칭을 확인하여 색온도와 명확하게 매칭되는 향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2AB는 이미지에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을 입힌 후, 실험 1에서 선정한 향의 색온도와 일치 또는 불일치하게 할 때 일치조건에서 실감이 증대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끝으로 실험 3에서는 이미지가 아닌 실제 영상에 따뜻한, 차가운, 혹은 중립적인 색을 입힌 후, 실험 2B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각 영상의 색온도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향이 영상실감 향상에 기여하는지 검증하였다.
  • 실험2A는 실험1결과를 토대로 이미지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에 따른 실감증대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 2에서 원으로 표시된 8가지 향들과 새로 수집한 4가지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 앞선 연구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색온도와 인간의 감성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면, 어떤 영상의 색온도 감성을 향상시키는 향은 그 영상에 대한 실감과 몰입감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어지는 네 가지 실험은 이미지와 영상의 색 온도와 향의 일치도가 실감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실험 1은 48가지 다양한 향과 색온도의 매칭을 확인하여 색온도와 명확하게 매칭되는 향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에서 관객이 경험하는 영상실감에 미디어산업 종사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은 관객들은 고화질 영상, 입체 음향, 실감미디어기술 등을 통해 가상현실을 실재처럼 지각하곤 한다. 관객이 경험하는 영상실감은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감성적 몰입감과 재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1], 영상콘텐츠의 흥행을 통한 부가가치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산업 종사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다[2. 3].
영상실감 기술에 후각을 활용한다면 높은 수준의 실감향상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3D 디스플레이, 진동, 서라운드 음향 등 다양한 감각자극을 활용한 영상실감 기술이 상용화되었으나, 후각을 사용한 영상의 실감향상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다. 후각은 인간의 정서와 강하게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한다면 높은 수준의 실감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에 냄새를 암시하는 뚜렷한 대상(커피, 꽃 등)이 존재하지 않을 때, 영상의 색온도와 관련이 높은 향의 제시가 영상의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최근 시도되고 있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과 몰입감 향상과 관련된 기술의 현황은 어떠한가? 더 나은 실감미디어에 대한 관객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들 중,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분야는 인간의 정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과 몰입감 향상이다[4]. 예를 들어, 원하는 시점에 발향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과 앞서 발향한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 등에는 일부 진전이 있었다[4]. 그러나 후각정보에 대한 시청자의 선호도, 정서적 변화, 기대하는 향의 농도, 지속시간 등의 심리학적 기초연구 부족으로 후각정보의 제시를 실제로 적용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Reiss, S. and Wiltz, J. Why people watch reality TV. Media Psychology. Vol. 6. No. 4. Taylor & Francis. pp. 363-378. 2004. 

  2. Hamasaki, K., Nishiguchi, T., Okumura, R., Nakayama, Y. and Ando, A. A 22.2 multichannel sound system for ultrahigh-definition TV (UHDTV). SMPTE Motion Imaging Journal. Vol. 117. No. 3.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pp. 40-49. 2008. 

  3. Park, S. K., Jo, Y. J., Kim, D. W. and Park, G. M. A Study on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and Construction of Direct Reception Environment by DVB-T2.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 18. No. 4.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pp. 572-588. 2013. 

  4. Lee, G., Choi, J., Ahn, C., Li, H. O. and Kim, S.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 16. No. 2.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pp. 207-220. 2013a. 

  5. Lee, G., Li, H. O., Ahn, C., Choi, J. and Kim, S. User Percep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and Video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ol. 8. No. 2. HCI Society of Korea. pp. 9-19. 2013b. 

  6. McCamy, C. S.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s an explicit function of chromaticity coordinates. Color Research & Application. Vol. 17. No. 2. John Wiley & Sons. pp. 142-144. 1992. 

  7. Wyszecki, G. and Stiles, W. S. Color Science. Vol. 8. New York: Wiley. 1982. 

  8. Adams, F. M. and Osgood, C. E.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affective meanings of color.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4. No. 2. SAGE Publications. pp. 135-156. 1973. 

  9. Hupka, R. B., Zaleski, Z., Otto, J., Reidl, L. and Tarabrina, N. V. The Colors of Anger, Envy, Fear, and Jealousy A Cross-Cultur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28. No. 2. SAGE Publications. pp. 156-171. 1997. 

  10. Wang, T., Shu, S. and Mo, L. Blue or red? The effects of colour on the emotions of Chinese people.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17. No. 2. John Wiley & Sons. pp. 152-158. 2014. 

  11. Gao, X. P., J. H. Xin, T. Sato, A. Hansuebsai, M. Scalzo, K. Kajiwara, S. S. Guan, J. Valldeperas, M. J. Lis and Billger, M. Analysis of cross-cultural color emotion.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Vol. 32. No. 3. John Wiley & Sons. pp. 223-229. 2007. 

  12. Lee, J., Kim, W. and Kim, S. Sensibility Evaluation of LED Lighting and Fluorescent Lamp based on Color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Vol. 25. No.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 263-270. 2009. 

  13. Lee, G., Li, H. O., Bang, D., Ahn, C., Ki, M. and Kim, S. The effect of match between odor and color on video reality and sense of immersion.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19. No. 6.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ing. pp. 877-89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