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각정보의 감성측정을 이용한 영상실감향상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Measurement of Emotion for Olfactory Inform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3, 2015년, pp.3 - 16  

이국희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김신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렌지 과즙이 생생하게 표현된 영상과 함께 제시된 오렌지 향은 영상실감을 향상시킬까? 혹은 남녀 간의 데이트 장면에 로맨틱한 향을 제시한다면 영상실감이 향상될까? 전자는 영상에 구체적인 대상 혹은 장소가 존재할 때 향을 활용하여 영상실감을 향상시키는 경우라면, 후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 향을 활용하여 실감향상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양한 영상과 향에 대한 수용도와 감성에 대한 심리적 측정을 진행해 온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고, 이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과 한계, 연구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후각정보 수용도, 향 유사성 지각,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과 영상실감, 향 감성에 부합하는 색상, 색온도, 그리고 감성 형용사를 측정한 방법과 결과에 초점을 맞춰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가 영상실감을 위해 향을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자 혹은 공학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l orange scent enhanc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with a video which vividly illustrates orange juice? Or, will romantic scent improv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along with a date scene? Whereas the former is related to reality improvement when concrete objects or places are prese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에서 제기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연구해온 Lee et al. (Jung et al., 2015; Lee et al., 2013a; 2013b; 2014a; 2014b; 2015a; 2015b)을 연구주제와 측정방법의 유사성에 따라 재구성함으로써 이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 한계, 그리고 전망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후각정보의 수용도와 감성에 대한 심리적 측정을 활용한 영상실감향상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 연구들이 가진 한계와 시사점, 전망을 논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Jung et al., 2015; Lee et al., 2013a; 2013b; 2014a; 2014b; 2015a; 2015b).
  • 실험 3은 참가자가 우연히 향을 경험했을 경우에도 실감향상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4가지 향(음식류: 레몬, 커피; 비음식류: 먹물, 치과)의 향 박스를 제작하였고, 참가자가 40~60초 정로 편집한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참가자 뒤에서 향 박스를 연 후, 부채로 바람을 일으켜 향을 제시하였다.
  • , 2008). 이어지는 연구는 후각정보에 대한 기억이 후각정보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와 이것을 영상실감향상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질과 음질 위주로 발전해온 영상실감기술의 한계는? , 2013). 먼저 고화질-고음질 중심의 효과는 시청자에게 영상의 분위기나 정서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 (Lee et al., 2014b; 2015a). 또 시청각적 효과가 후각정보를 연상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음식의 향 같은 후각정보를 영상과 함께 직접 제공함으로써 향상될 실감과 몰입감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 (Lee et al., 2013a).
향기 나는 TV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 2013a; 2013b). 실제로 일부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향기 나는 TV 개발은 그 동안 시청각적 효과가 제공하지 못했던 감각정보와 감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통합적 감성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Park, 2011).
화질과 음질 위주로 발전해온 영상실감기술은 무엇에 기여했는가? 화질과 음질 위주로 발전해온 영상실감기술은 시청자의 실감과 몰입감, 영상콘텐츠에 대한 재미향상에 기여한 것이 사실이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다 (Hamasaki et al., 2008;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ndura, A., & Jourden, F. J. (1991). Self-regulatory mechanisms governing the impact of social comparison on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6), 941-951. 

  2. Biswas, D., Labrecque, L. I., Lehmann, D. R., & Markos, E. (2014). Making choices while smelling, tasting, and listening: the role of sensory (Dis) similarity when sequentially sampling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78(1), 112-126. 

  3. Carrasco, M., & Ridout, J. B. (1993). Olfactory perception and olfactory imagery: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9(2), 287-301. 

  4. Chang, C. T., & Lee, Y. K. (2010). Effects of message framing, vividness congruency and statistical framing on responses to charity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9(2), 195-220. 

  5. Chen, D., & Dalton, P. (2005). The effect of emotion and personality on olfactory perception. Chemical Senses, 30(2), 345-351. 

  6. Chen, D., & Haviland-Jones, J. (2000). Human olfactory communication of emo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1(2), 771-781. 

  7. Dalton, P. (2000). Psychophys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lfactory adaptation. Chemical Senses, 25(4), 487-492. 

  8. Davis, R. L. (2005). Olfactory memory formation in Drosophila: from molecular to systems neuroscience.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8, 275-302. 

  9. Fortin, D. R., & Dholakia, R. R. (2005). Interactivity and vividness effects on social presence and involvement with a web-based advertise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3), 387-396. 

  10. Hall, H. J. (2012). The technology of gas cleaning: state of the art. Transaction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9(2 Series II), 147-164. 

  11. Hamasaki, K., Nishiguchi, T., Okumura, R., Nakayama, Y., & Ando, A. (2008). A 22.2 multichannel sound system for ultrahigh-definition TV (UHDTV). SMPTE Motion Imaging Journal, 117(3), 40-49. 

  12. Herz, R. S. (2010).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iological basics of olfaction: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for scent marketing. In A. Krishna (Ed.), Sensory marketing: Research on the sensuality of products (pp. 75-86). New York: Routledge, Psychology Press. 

  13. Herz, R. S., & Engen, T. (1996). Odor memory: review and analysi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3(3), 300-313. 

  14. Higgins, E. T. (2002). How self-regulation creates distinct values: The case of promotion and prevention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3), 177-191. 

  15. Hong, S. C., Holbrook, E. H., Leopold, D. A., & Hummel, T. (2012). Distorted olfactory perception: A systematic review. Acta Oto-Laryngologica. 132(S1), S27-S31. 

  16. Ito, I., Ong, R. C., Raman, B., & Stopfer, M. (2008). Sparse odor representation and olfactory learning. Nature Neuroscience, 11(10), 1117-1184. 

  17. Jung, Y., Lee, G., Li, H. O., & Kim, S. (2015). Emotional adjective profile of various odor stimuli.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8(2), 75-84. 

  18. Katsuura, T., Jin, X., Baba, Y., Shimomura, Y., & Iwanaga, K. (2005). Effects of color temperature of illumination on physiological functions.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and Applied Human Science, 24(4), 321-325. 

  19. Kim, J. D., & Byun, H. G. (2012). A proposal of the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for scent generator using web service.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1(4), 249-255. 

  20. Kim, Y. J. (2008)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3), 427-439. 

  21. Kim, Y. J. (2013) Can eyes smell? cross-modal correspondences between color hue-tone and fragrance family.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8(2), 139-156,. 

  22. Lee, G., Choi, J., Ahn, C., Li, H. O., & Kim, S. (2013a).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2), 207-220. 

  23. Lee, G., Li, H. O., Ahn, C., Choi, J., & Kim, S. (2013b). User percep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and video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8(2), 9-19. 

  24. Lee, G., Choi, J., Ahn, C., Li, H. O., & Kim, S. (2014a). Suggestion of similarity-based representative odor for video reality.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1), 39-52. 

  25. Lee, G., Li, H. O., Bang, D., Ahn, C., Ki, M., & Kim, S. (2014b). The effect of match between odor and color on video reality and sense of immersion.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9(6), 877-895. 

  26. Lee, G., Li, H. O., Ahn, C., Ki, M., & Kim, S. (2015a). The effects of emotional matching between video color-temperature and scent on reality improvement.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0(1), 29-41. 

  27. Lee, G., Jung, Y., Li, H. O., Ahn, C., Ki, M., & Kim, S. (2015b). The effect of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on reality improvement through providing 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and Arts, 13(3), 5-33. 

  28. Lee, B., & Lee, G. (2014). The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on loss aversion when gain and loss between possession and valence compet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4), 101-108. 

  29. Madzharov, A. V., Block, L. G., & Morrin, M. (2015). The cool scent of power: effects of ambient scent on consumer preferences and choic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79(1), 83-96. 

  30. Mitchell, D. J., Kahn, B. E., & Knasko, S. C. (1995). There's something in the air: effects of congruent or incongruent ambient odor on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2), 229-238. 

  31. Noguchi, H., & Sakaguchi, T. (1999). Effect of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n lowering of physiological activity. Applied Human Science, 18(4), 117-123. 

  32. Park, S. (2011, June 22). Samsung, making 10,000 kinds of scented TV. The Asia Business. Retrieved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62211231059545 

  33. Park, S. K., Jo, Y. J., Kim, D. W., & Park, G. M. (2013). A Study on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and construction of direct reception environment by DVB-T2.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8(4), 572-588. 

  34. Royet, J. P., Zald, D., Versace, R., Costes, N., Lavenne, F., Koenig, O., & Gervais, R. (2000). Emotional responses to pleasant and unpleasant olfactory,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0(20), 7752-7759. 

  35. Thesen, T., Vibell, J. F., Calvert, G. A., & Osterbauer, R. A. (2004). Neuroimaging of multisensory processing in vision, audition, touch, and olfaction. Cognitive Processing, 5(2), 84-93. 

  36. Valdez, P., & Mehrabian, A. (1994). Effects of color on emo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3(4), 394-409. 

  37. Willander, J., & Larsson, M. (2007). Olfaction and emotion: the case of autobiographical memory. Memory & Cognition, 35(7), 1659-1663. 

  38. Woodard, C., Alcorta, E., & Carlson, J. (1992). The rdgB gene of Drosophila: a link between vision and olfaction. Journal of Neurogenetics, 8(4), 17-31. 

  39. Zald, D. H., & Pardo, J. V. (2000). Functional neuroimaging of the olfactory system in human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36(2), 165-1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