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창지역 사과원 농약사용 실태분석
Analysis of Pesticide Applications on Apple Orchards in Geochang, Ko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2, 2015년, pp.93 - 100  

장일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김향미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이순원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  최경희 (농촌진흥청 배연구소) ,  서상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창지역에서 사과재배 50농가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사용농약 및 사용량, 선택방법, 살포실태 등을 분석한 결과, 연간 살균제는 $13.9{\pm}3.5$회, 살충제 $12.6{\pm}3.2$회, 살비제 $2.6{\pm}1.3$회를 살포하였으며, 살균제는 갈색무늬병, 탄저병, 점무늬낙엽병, 살충제는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응애류 등을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다. 농약판매상은 병해충의 발생을 현장에서 직접 파악하지 않고 농약을 판매하였으며, 적용작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농약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 등 판매상에 대한 의존도가 82.5%로 매우 높았다. 병해충종합관리(IPM)체계와 관련하여 거창지역의 사과원에서 살포되는 살균제, 살충제, 살비제의 성분조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빈번하게 살포되는 농약을 분석하고, FAO의 권장기준에 부합하는지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약제가 권장기준에 부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the selling, buying, usage, selection and spraying frequency of pesticides on apple orchards in Geochang, Gyeongsangnam-do province from 2012 to 2013 and found that the fungicides, insecticides and acaricides were sprayed $13.9{\pm}3.5$, $12.6{\pm}3.2$,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농약 판매 및 사용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기초차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용대상이 적시되어 있는 작물에 한정하여 살포되어야 하는 규제성을 무시하고 농약 살포를 하였을 때 문제점은 무엇인가? 농약살포는 적용대상이 적시되어 있는 작물에 한정하여 살포되어야 하는 규제성을 띄고 있다(RDA 2000). 그러나 일부 농가 또는 농약판매상에서 이런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해당 작물의 안전사용기준일 및 적용작물을 무시한 채 농약을 사용하거나 판매하고 있다. 이런 농약으로 재배된 부적합농산물이 생산, 유통되어 소비자의 건강 및 재배지 환경을 오염시켜 농작물의 안전성확보에 실패하여 국내산 농산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농약살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무엇인가? 농약살포는 적용대상이 적시되어 있는 작물에 한정하여 살포되어야 하는 규제성을 띄고 있다(RDA 2000). 그러나 일부 농가 또는 농약판매상에서 이런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해당 작물의 안전사용기준일 및 적용작물을 무시한 채 농약을 사용하거나 판매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농경지 및 다년생작물 재배지에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어느정도인가? 한국에서 농경지 및 다년생작물 재배지에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연간 11.6 kg a.i./ha로 중국 10.3 kg a.i./ha과 비슷하며 일본 13.1 kg a.i./ha에 비교하면 조금 적으나 미국 2.2 kg a.i./ha, 독일 2.3 kg a.i./ha, 호주 2.4 kg a.i./ha, 이탈리아 5.6 kg a.i./ha 등 병해충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체계가 정착되어 있는 국가들에 비해 5배 이상 살포되고 있다(FAO 2013; Garthwaite 등 2013). 최근 농산물품질인증제도를 폐지하고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로 개편됨에 따라 이에 따른 적합한 농산물 관리와 생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MFAFF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askaveg, J., D. Gubler, T. Michailides and B. Holtz (2011) Fungicides, Bactericides, and biologicals for deciduous tree fruit, nut, strawberry, and vine crops 2011. Department of Plant Pathology. UC Davis: Department of Plant Pathology. Retrieved from: http://escholarship.org/uc/item/05b5z3vs. Accessed 2 February 2014. 

  2. Garthwaite, D. G., S. Hudson, I. Barker, G. Parrish, L. Smith and S. Pietravalle (2013) Pesticide usage report, Orchards in the United Kingdom 2012.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York, UK. 

  3.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7) Pesticide residues in food Report. FAO Plant Production and Protection Paper - 145. Lyons, France. 

  4.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3) FAO Statistical Yearbook 2013 World Food and Agriculture. Rome, Italy. 

  5. Ha, H. Y., D. S. Na, U. C. Shin, G. J. Lim and J. E. Park (2012)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 J. Pestic. Sci. 16(4):395-400. 

  6. Hong, S. S., A. S. You, M. H. Jung, K. H. Park, J. Y. Park and Y. J. Lee (2013)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operator using modified UK-POEM in Korean orchard. Korean J. Pesticide Sci. 17(1):50-59. 

  7. IRAC (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 (2013) Aphids, Whiteflies and Hoppers - Insecticide mode of action classification. http://www.irac-online.org. Accessed 4 february 2014. 

  8. Johnson, D. T., E. Garcia, R. Weinzidrl, M. Kushad, J. Masiunas, E. Wahle, M. Babadoost and D. R. Lewis (2013) Midwest tree fruit spray guide. http://www.extension.iastate.edu%2Fpublications%2Fpm1282.pdf&eiokLvUoqcHaiwiAehnIDwAQ&usgAFQjCNHYVBsh6LEpIdfXYb0dTENlbKVuVA&bvmbv.60444564,d.aGc&cadrjt. Accessed 4 February 2014. 

  9. Jung, J. E., and J. I. Yun (2006) Phenology and minimum temperature as dual determinants of late frost risk at vineyards. Korean J. Agr. Forest Meteorol. 8(1):28-35. 

  10. Kim, H. M. (2012) Landscape analysis of major lepidopteran pest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Andong National Univ. Academic Thesis. Andong, Korea. 

  11. KMA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September weather characteristics. 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2699&page6&field&text. Accessed 14 December 2014. 

  12.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2) Guideline for plant protect product,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Samjeong Publisher, Seoul, Korea. 

  13. Kwon, O. K., S. M. Hong, D. S. Choi, C. W. Park, B. H. Song, G. H. Ryu and B. Y. Oh (2001) Survey of pesticide usage in fruit crops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Kor. J. Pestic. Sci. 5(4):40-44. 

  14. Lee, H. J. (2009) Monitoring of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EBI)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risk assessment. Korean J. Food Sci. 38(12): 1779-1784. 

  15. Lee, D. H., K. H. Choi, S. W. Lee, J. Y. Uhm and S. K. Kim (2005) Guidebook of apple integrated pest management. Apple Experiment Station, NHRI RDA, Suwon, Korea. 

  16. Lee, D. I. (1995) A survey on pesticide use. Annual Research Report, NIAST: 872-885. 

  17. Lee, S, W., D. H. Lee, K. H. Choi and D. A. Kim (2007) A report on current management of major apple pests based on census data from farmers. Kor. J. Hort. Sci. Technol. 25(3): 196-203. 

  18. Lee, S. W., S. J. Suh, D. A. Kim, K. H. Choi, D. H. Lee and O. H. Ryu (1996) Questionnaire on status and opinions of pest control to apple growers and its related groups. RDA. J. Agri. Sci. 38:545-532. 

  19. Lim, Y. B., K. S. Kim, K. K. Sung, N. S. Kim, H. Y. Ha, H. D. Lee, K. S. Oh, J. W. Kim and G. H. Ryu (2003)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 tree in Korea. Kor. J. Pestic. Sci. 7(4):258-263. 

  20. Lim, T. H., Y. H. Choi, I. K. Song, K. R. Kim, D. W. Lee and S. M. Lee (2008)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persimmon orchards in Sangju, Gyeongbuk in 2007 and 2008. Kor. J. Pestic. Sci. 12(4):414-420. 

  21. M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1) 2011-2015 3rd eco-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by 5 year project. MFAFF. Seoul, Korea. 

  22. Park, H. C., B. S. Lee, J. Y. Choi, C. Y. Min, W. S. Jo and D. H. Lee (2012) To know pesticide-development and management. RDA Interrobang 67:1-25. 

  23.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Safety and Crop Protection of Pesticide. RDA, Suwon, Korea. 

  24.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Public Relations News. http://www.rda.go.kr/board/board.do?modeview&prgIdday_farmprmninfoEntry&dataNo100000519450. Accessed 2 February 2014. 

  25.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A World compendium, 2009, Ed.15.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Alton,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