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도 수정탄 롤제어시스템 충격해석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mpact Analysis Model of Roll Control System for Course Correction Munition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9 no.8, 2015년, pp.737 - 742  

고준복 ((주)한화 종합연구소) ,  윤찬식 ((주)한화 종합연구소) ,  김용대 (국방과학연구소) ,  김완주 (국방과학연구소) ,  조승환 ((주)한화 종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도 수정탄은 기존의 포탄에 조종 kit를 장착하여 목표를 정밀 타격할 수 있게 하는 무기 체계이다. 롤제어시스템은 조종 kit의 구성품으로 유도조종부와 탄체부 사이에 위치하며 포발사시 횡방향으로 5,000g 상당의 가속도 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내고충격 설계를 하는게 중요하다. 선진국에서는 탄도 수정탄의 개발과정에서 실사격 또는 포발사 회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품의 성능 및 강도를 평가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E 해석적 방법으로 설계단계에서 롤제어시스템에 대한 충격 강도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충격 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Explicit code를 이용한 Dynamic 해석 기법을 적용하였고, 고변형률 물성 특성을 Johnson-Cook material model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베어링을 인너, 아우터 레이스, 리테이너, 볼 등으로 상세적으로 구현하여 충격시 베어링의 거동 특성이 분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해석 모델은 가스건 충격시험을 통해 그 신뢰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urse correction munition are a weapson system for precision attacks and are assembled by applying a ballistic control system to existing projectiles. The roll control system is a subsystem of the ballistic control system and is placed between the guidance and control units inside of the projecti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조종 kit 설계를 위해서는 상기의 Setback, Balloting, Set-forward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내고충격 설계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롤제어시스템의 베어링부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횡방향 5,000g 하중 조건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종 kit 구성품중 롤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충격해석 모델을 검토하였다. 롤 제어시스템은 베이스링에서 탄체부(Projectile)와 체결이 이루어지고 퓨즈바디를 통해 유도조정부와 조립이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tback, Balloting, Set-forward 하중은 각각 어떻게 발생하는가? 1은 미국육군연구소(ARDEC)에서 발표한포 발사 환경에서 탄이 받게 되는 하중분포도로 Setback, Balloting, Set-forward구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1) Setback 하중은 추진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으로 약 20,000g의 가속도가 8~10msec 동안 발생한다. Balloting 하중은 강 내에서 탄의 회전방향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으로 5,000g 수준이다. Set-forward 하중은 포강을 이동하던 탄두가 포구를 빠져나올 때 탄저에 작용하던 압력이 갑자기 대기압으로 강하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하중으로 그 크기는 일반적으로 Setback 하중의 20%정도로 탄에 인장파를 유발한다.(5) 조종 kit 설계를 위해서는 상기의 Setback, Balloting, Set-forward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내고충격 설계가 되어야 한다.
탄도 수정탄이란 무엇인가? 이에 여러 선진국에서는 기존의 포탄은 그대로 두고 추가적인 조종 kit를 부착하는 형태인 탄도 수정탄(Course Correction Muni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탄도수정탄은 조종 kit가 탄체와 회전분리되어 움직이는 형태로 탄체의 회전을 감소시키지 않고 유도하는 방법이다.(6) 조종 kit는 포발사 환경에서 축방향으로 20,000g, 횡방향으로 5,000g 이상의 극심한 가속도 하중을 받게 되므로 내고충격 설계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내고충격 설계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탄도수정탄은 조종 kit가 탄체와 회전분리되어 움직이는 형태로 탄체의 회전을 감소시키지 않고 유도하는 방법이다.(6) 조종 kit는 포발사 환경에서 축방향으로 20,000g, 횡방향으로 5,000g 이상의 극심한 가속도 하중을 받게 되므로 내고충격 설계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미국 육군연구소(ARDEC)에서는 실사격 또는 포발사 회수시스템(Soft Recovery System)을 이용하여 탄도 수정탄등의 개발과정에서 부품의 성능 및 강도를 평가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Myers, T., Geissler, D., Ellis, B., Cordes, J.A. and Vega, J., 2007,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Component Level and System Level Testing for the Excalibur Projectile," 2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Ballistics Tarragona, Spain 16-20. 

  2. Yang, H. and Min, O., 2007, "Dynamic Behavior of SM45C at High Strain-rate and High Temperature,"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1, No. 11, pp. 1093-1099. 

  3. Sadeghinia, H., Razfar, M.R. and Takabi, J., 2007, "2D Finite Element Modeling Of Face Milling With Damage Effects," 3rd WSEA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and Theoretical Mechanics, Spain, December 14-16. 

  4. Kim, K.-W., Jeong, H.-S. and Beom, H.-G., 2003, "Transient Dynamic Analysis of a Patterned Tire Rolling over a Cleat with an Explicit Finite Element Program," Trans. Korean Soc. Mech. Eng., Vol. 11, No. 6, pp. 164-170. 

  5. Park, K.J., 2010, "The Utilization of CAE for developing the Projectile," Journal of the KSME, Vol. 50, No.4, pp. 33-35. 

  6. Kim, B.S., 2010, "Precision Guided Munition Development and Technology," Journal of the KSME, Vol. 50, No.4 pp. 36-41. 

  7. Abaqus User's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