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경사면의 세류간 침식에서 빗물튀김과 면상흐름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Raindrops Splash and Sheet Flow in Interrill Erosion of Steep Hillslop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7, 2015년, pp.595 - 604  

남명준 (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  박상덕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승규 (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  신승숙 (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에 의한 세류간 토양침식은 운동에너지를 갖는 빗방울이 지표면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빗물튀김의 박리현상과 지표유출수의 면상흐름에 의한 토사입자의 운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우운동에너지는 토양입자를 토양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강우의 잠재적인 능력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운동에너지가 세류간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강우의 충돌을 제어하는 스트립 커버를 이용한 토양침식 강우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모의에 의한 강우운동에너지는 자연강우에 비해 0.58배 규모로 재현되었다.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은 증가하고 지표하유출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지표커버가 없는 사면으로부터 발생한 지표유출량이 지표커버가 있는 경우에 비해 평균 1.82배 증가하였다. 강우운동에너지는 지표유출 및 지표하유출 발생시간에도 영향을 끼쳤다. 빗물튀김과 면상흐름의 상호작용으로 토사유출량이 3.6~5.9배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폭은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단위수류력과 토사유출량의 관계분석 결과 강우운동에너지는 빗물튀김에 의한 토양입자의 분리침식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지표유출수 증가에 따른 토사이송능력을 가중시켜 토사유출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rill erosion by the rainfall is divided into a detachment of soil particles by raindrop splash when raindrops having kinetic energy strike on the surface soil and a sediment transport by sheet flow of surface runoff. Rainfall kinetic energy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expressing the poten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우모의 발생이후 지표유출수와 지표하유출수가 유도판을 통해 유출되기 시작되는 시각을 지체시간으로 보고 이를 측정하였다. 강우강도 80 mm/hr에 대한 지표유출수 발생시간은 커버가 있는 경우, 평균 16∼32초 범위였다.
  • 따라서 강우입자의 직접적인 충돌만을 제어할 뿐 지표유출 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강우운동에너지만 상쇄시켜 빗방울이 지표면 타격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이다. 산지사면의 토양침식에 유사한 토양조건을 재현하기 위해 SEMMA 개발의 기초자료 수집 지역인 강릉시 사천면 산지토양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강우모의 발생기를 이용한 토양침식 실험으로 강우운동에너지가 나지의 지표유출량, 지표하유출량, 그리고 토양침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표커버 설치유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침식에 기여하는 강우운동에너지의 물리적인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강우입자가 지표를 타격할 때 발생하는 빗물튀김과 박리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스트립 커버(strip cover)를 이용하여 강우모의 토양침식 실험을 수행한다.
  • 따라서 강우입자가 지표를 타격할 때 발생하는 빗물튀김과 박리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스트립 커버(strip cover)를 이용하여 강우모의 토양침식 실험을 수행한다. 스트립 커버가 없는 경우 강우입자의 지표면 타격과 면상흐름의 상호작용에 의한 토사유출과 스트립 커버가 있는 경우 면상흐름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토사유출을 구분하여 세류간 토양침식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운동에너지는 무엇인가요? 강우의 운동에너지가 지표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빗물튀김과 그에 의한 박리현상(detachment), 지표유출(surface runoff)의 면상흐름(sheet flow)에 의한 토양입자의 운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Morgan, 1996; Kinnell, 2005). 강우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는 토사입자를 토양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강우의 잠재적 능력의 지표이다. 이것은 강우입자 크기와 낙하속도 측정에 의해 직접 계산이 가능하며, 관측이 용이한 강우강도와의 경험적 관계식으로부터 간접적 산정이 가능하다.
세류간 토양침식으로 지표유출 수의 토사 이송 능력을 평가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세류간 토양침식에서 강우운동에너지는 토양입자의 박리현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침식능 인자이지만 지표유출수의 토사이송능력(sediment transport capacity)을 평가할 수는 없다. 세류간 토양침식은 강우운동에너지와 면상흐름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잡한 토양침식의 물리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상흐름에 의한 토사 이송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집중 또는 하천 흐름에서 토사 이송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류력(stream power)의 개념(Bagnold, 1966; Yang, 1972)을 고려해야 한다.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과 그에 따른 토사유출의 메커니즘은 어떻게 나뉘나요?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과 그에 따른 토사유출의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강우의 운동에너지가 지표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빗물튀김과 그에 의한 박리현상(detachment), 지표유출(surface runoff)의 면상흐름(sheet flow)에 의한 토양입자의 운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Morgan, 1996; Kinnell, 2005). 강우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는 토사입자를 토양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강우의 잠재적 능력의 지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tlas, D., and Ulbrich, C.W. (1977). "Path- and areaintegrated rainfall measurement by microwave attenuation in attenuation in the 1-3 cm band." J. Appl. Meteorol., Vol. 16, pp. 1322-1331. 

  2. Bagnold, R.A. (1966). "An approach to the sediment transport problem form general physics."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422-J. 

  3. Bartley, R., Roth, C.H., Ludwig, J., McJannet, D., Liedloff, A., Corfield, J., Hawdon, A., and Abbott, B. (2006). "Runoff and erosion from Australia's tropical semiarid rangelands: influence of ground cover for differing space and time scale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3317-3333. 

  4. Chang, H.H. (1979) "Geometry of rivers in regime."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105, HY6, pp. 691-706. 

  5. Chartier, M.P., and Rostagno, C.M. (2006). "Soil erosion thresholds and alternative states in northeastern Patagonian rangelands." Rangeland Ecology Management, Vol. 59, pp. 616-624. 

  6. Covert, S.A. (2003). Accuracy Assessment of WEPP-based Erosion Models on Three Small, Harvested and Burned Forest Watersheds. MS Thesis, Univ. Idaho, Moscow, ID. 

  7. Covert, S.A., Robichaud, P.R., Elliot, W.J., and Link, T.E. (2005). "Evaluation of runoff prediction from WEPPbased erosion models for harvested and burned forest watersheds." Trans. ASAE, Vol. 48, pp. 1091-1100. 

  8. Dun, S., Wu, J.Q., Elliot, W.J., Robichaud, P.R., Flanagan, D.C., Frankenberger, J.R., Brown, R.E., and Xu, A.C. (2009). "Adapting the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model for forest applic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66, pp. 46-54. 

  9. Elliot, W.J., Luce, C.H., and Robichaud, P.R. (1996). Predicting Sedimentation from Timber Harvest Areas with the Wepp Model. In: Proc. 6th Fed. Interagency Sedimentation Conf., March 10-.14, 1996. Las Vegas, NV. pp. IX-46-53. 

  10. Flanagan, D.C., and Nearing, M.A.(eds) (199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version 95.7,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Report 10. US Department of Agriculture-Agricultural Search Service, West Lafayette. 

  11. Fornis, R.L., Vermeulen, H.R., and Nieuwenhuis, J.D., (2005). "Kinetic energy-rainfall intensity relationship for Central Cebu, Philippines for soil erosion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Vol. 300, pp. 20-32. 

  12. Gunn, R., and Kinzer, G.D. (1949). "The terminal velocity of fall for water droplets in stagnant air." J. Meteorol., Vol 6, pp. 243-248. 

  13. Hudson, N.W. (1965). The influence of rainfall mechanics on soil erosion. MSc Thesis, Cape Town. 

  14. Kinnell, P.I.A. (1981). "Rainfall intensity-kinetic energy relationship for soil loss prediction." Soil. Sci. Soc. Am. Proc., Vol. 45, pp. 153-155. 

  15. Kinnell, P.I.A. (2005). "Raindrop-impact-induced erosion processes and prediction: a review."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pp. 2815-2844. 

  16. Lee, J.S., and Won, J.Y.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monthly rainfall erosivity in Korea with derivation of rainfall energy Equation." Journal of KOSHAM, Vol. 13, No. 3, pp. 177-184. 

  17. McIsaac, G.F. (1990). "Apparent geographic and atmospheric influences on raindrop sizes and rainfall kinetic energy."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5, pp. 663-666. 

  18. Meyer, L.D., and Harmon, W.C. (1979). "Multiple-Intensity Rainfall Simulator for Erosion Research on Row Sideslopes." Transactions of the ASAE, pp. 100-103. 

  19. Morgan, R.P.C. (1996).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 Longman, New York. 

  20. Nearing, M.A., Wei, H., Stone, J.J., Pierson, F.B., Spaeth, K.E., Weltz, M.A., Flanagan, D.C., and Hernandez, M. (2011). "A rangeland hydrology and erosion model."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4, No. 3, pp. 1-8. 

  21. Park, S.D., and Shin, S.S. (2011). "Applying evaluation of soil erosion models for burnt hillslopes-RUSLE, WEPP, and SEM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3B, pp. 59-71. 

  22. Park, S.D., Lee, K.S., Shin, S.S., Chae, K.S., Kim, T.G., and Won, D.K. (2005).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oil erosion model in the mountain area (SEMMA). Publication No. 11-1660030-00035-01,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pp. 55-64. 

  23. Park, S.D., Lee, K.S., and Shin, S.S. (2012). "A statistical soil erosion model for burnt mountain areas in Korea-RUSLE approach."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7, No. 2, pp. 293-304. 

  24. Pierson, F.B., Spaeth, K.E., Weltz, M.A., and Carlson, D.H. (2002). "Hydrologic response of diverse western rangelands." J. Rangeland Management, Vol. 55. pp. 558-570. 

  25. Renard, K.G., Foster, G.R., Weesies, G.A., McCool, D.K., and Yoder, D.C.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Handbook 703. US Department of Agriculture-Agricultural Search Service, Washington DC. 

  26. Rosewell, C.J. (1986). "Rainfall Kinetic Energy in Eastern Australia."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5, pp. 1965-1971. 

  27. Sempere-Torres D., Salles C., Creutin J.D., and Delrieu G. (1992). "Quantification of soil detachment by raindrop impact: performance of classical formulae of kinetic energy in Mediterranean storms."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monitoring programs in river basin IASH Publ., Vol. 210, pp. 115-124. 

  28. Shakesby, R.A., and Doerr, S.H. (2006). "Wildfire as a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agent." Earth-Sci. Rev., Vol. 74, pp. 269-307. 

  29. Shih, H.M., and Yang, C.T. (2009) "Estimating overland flow erosion capacity using unit stream power."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24, No. 1, pp. 46-62. 

  30. Shin, S.S., Park, S.D., and Lee, K.S. (2013) "Sediment and hydrological response to vegetation recovery following wildfire on hillslopes and the hollow of a small watershed." Journal of Hydrology, Vol. 499, pp. 154-166. 

  31. Shin, S.S., Park, S.D., and Choi, B.K. (2015). "Universal power law for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kinetic energy and rainfall intensity." Advances in Meteorol., Vol. 2015, pp. 1-11. 

  32. Smith, J.A., and De Veaux, R.D. (1992).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rainfall power." Environ metrics, Vol. 3, p. 29. 

  33. Steiner, M., and Smith, J.A. (2000). "Reflectivity, rain rate, and kinetic energy flux relationships based on raindrop spectra." J. Appl. Meteorol., Vol. 39, No. 11, pp. 1923-1940. 

  34. Tongway, D.J., and Ludwig, J.A. (1997). The nature of landscape dysfunction in rangelands. In: J. Ludwig, D. Tongway, D. Freudenberger, J. Noble and K. Hodgkinson (eds). Landscape Ecology: Function and Management.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Collingwood, Victoria, Australia, pp. 49-61. 

  35. Vanoni, V.A. (1978). "Predicting sediment discharge in alluvial channels." Water Supply and Management, Pergamon Press, Oxfprd, pp. 399-417. 

  36. Wilcox, B.P. (1994). "Runoff and erosion in intercanopy zones of Pinyon-Juniper woodlands." Journal of Range Management, Vol. 47, pp. 285-295. 

  37.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58). "Rainfall energy and its relationship to soil los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39, pp. 285-291. 

  38.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Agriculture hand book 28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39.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Agriculture Handbook 53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cience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Washingtion DC. 

  40. Yang, C.T. (1972). "Unit stream power and sediment transport."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8, No. HY10, pp. 1805-1826. 

  41. Yang, C.T. (1973). "Incipient motion and sediment transport."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9, No. HY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