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Veget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2, 2015년, pp.122 - 128  

이선미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부) ,  명현호 (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생 현황 및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확인된 식물군락은 산지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나무군락, 산지 낙엽활엽수림인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 - 곰솔군락, 음나무군락 및 모감주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인 곰솔군락, 곰솔 - 소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 저층습원식생인 갈대군락, 해안사구식생인 순비기나무군락, 갯그령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및 갯잔디군락, 염습지식생인 해홍나물군락, 식재림인 아까시나무군락이었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경관유형은 곰솔군락 (3.92%), 소나무군락 (1.40%), 아까시나무군락 (0.05%), 사구식생 (0.11%), 경작지 (0.46%), 해변 (0.24%), 간벌지역 (0.08%), 나지 (0.16%), 바다 (93.58%) 등이었다. 식생유형에서는 곰솔군락이 $14.797km^2$ (3.92%)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인간 간섭과 이용의 정도에 따라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곰솔 군락은 층위구조와 종 조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란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떡갈나무 및 졸참나무가 잠재적 식생을 형성하여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에 분포하는 곰솔군락 하층에는 붉은서나물이, 기지포와 삼봉사구에는 갯그령군락과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그곳을 중심으로 백령풀이 침입하여 넓게 분포하고 있다. 외래식물인 붉은서나물과 백령풀은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해안식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veget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s a result, vegetation communities were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식생조사를 통해 현황을 분석하고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기후는? 서해안 해안선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위치하고 있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학암포해수욕장에서부터 해안선을 따라 바람아래해수욕장까지 이르며, 총 31개의 해수욕장과 다수의 유·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다와 접해 있어 온대 중부 및 온대 남부의 기후대이고(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리아스식 해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육상국립공원과 다르게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함께 존재하고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있으며, 해안에는 사구생태계가 위치하고 있다.
국내의 해안형국립공원은 어떤 게 있는가? 우리나라 21개 국립공원 중 해안형국립공원은 태안해안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등 총 4개 지역이다. 이중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1978년에 1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지리적 특징은? 이중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1978년에 1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해안 해안선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위치하고 있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학암포해수욕장에서부터 해안선을 따라 바람아래해수욕장까지 이르며, 총 31개의 해수욕장과 다수의 유·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다와 접해 있어 온대 중부 및 온대 남부의 기후대이고(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리아스식 해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air, B.C., D.K. Letourneau and S.G. Bothwell. 2010. Disturbance, resources, and exotic plant invasion: gap size effects in a redwood forest. MADRONO 57(1): 11-19.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3. Collins, B.S., K.P. Dunne and T.A. Pickett. 1985. Responses of forest herbs to canopy gaps. p. 217-234 In: The ecology of natural disturbance and patch dynamics (Pickett, S.T.A. and P.S. White, eds.). Academic Press, Orlando, FL. 

  4. Csiszar, A. 2006. Study of the generative reproduction of the fireweed (Erechtites hieracifolia Raf. ex DC.). Neobiota. From Ecology to Conservation. 4th European Conference on Biological Invasions. Vienna (Austria), 2006-09-27/29. Book of Abstracts. BfN-Skripten 184: 101. 

  5. Darbyshire, S.J., A. Francis, A. DiTommaso and D.R. Clements. 2012. The Biology of Canadian weeds. 150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92: 729-746. 

  6. Davis, M.A., J.P. Grime and K. Thompson. 2000. Fluctuating resources in plant communities: a general theory of invasibility. Journal of Ecology 88: 528-534. 

  7. Fogg, J.M., Jr. 1945. Weeds of lawn and garde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PA. viii+215 pp. 

  8. Ha, W.Y. 1998. Dynamics of Individual Population and Communities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Forests at the Western Coast in Korea. pp. 53. 

  9. Jeun, C.J. 1992. Ec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in Anmyon-do Islet. Master's degre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N.H., S.M. Lee and H.H. Myeong. 2015. Study on Naturalized Plant Management Applying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Responses in Coastal Sand Dun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1): 32-37.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Resource and Stand Management of Pinus thunbergii in Forest of South Region.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Major Species in South Region.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http://www.kma.go.kr).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http://www.nature.go.kr). 

  1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6. The 1st Natural Resouce Surve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The 2nd Natural Resouce Surve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17. Lee, K.S. and S.H. Kim. 2000. Vegetation of Eastern Coast as a Ecologic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Symposium about Conservation and Use of Coastal Forest in the East Sea Rim. pp. 13-45. 

  18. Lee, K.Y. 1986. Silvicultural study on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Pinus thunbergii in Korea.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ournal 25(1): 81-118. 

  19.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1-33. 

  20. Lim, D.O., E.K. Chekar, H.W. Choi and I.C. Hwang. 2010.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4(2): 117-129. 

  21. Martin P.H., C.D. Canham and P.L. Marks. 2009. Why forests appear resistant to exotic plant invasions: intentional introductions, stand dynamics, and the role of shade tolerance. Frontiers Ecology and Environment 7(3): 142-149. 

  22.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04. The Climate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38pp. 

  23. Myeong, H.H. 2010.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Using Health Assessment. Ph.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Oh, K.K., Y.S. Kim and C.E. Kim. 2010.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Assessment of Green Naturalit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4(2): 108-116. 

  25. Ohtsuka, T. 1998. A comparative review of early herbaceous stages of secondary succession in temperate and tropical region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8: 143-147. 

  26. Parendes L.A. and J.A. Jones.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ation Biology 14(1): 64-75. 

  27. Park, J.W. and M.S. Yoon.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in Taean Haebyeongil - A case of Gijipo and Mongsanpo beach-.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4(1): 35-52. 

  28.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371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