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TFE 강화막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PTFE Pore-filling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5 no.2, 2015년, pp.171 - 179  

강성은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이창현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s; PFSAs)는 뛰어난 수소이온전도성과 높은 내화학성으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용 고체전해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FSA 전해질은 가습-건조조건에서 연료전지가 구동에 따라 반복적인 팽윤-수축으로 인해 전극층이 전해질로부터 탈리되어 전기화학적 수명특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TFE support film의 기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공구조 내 나피온 이오노머를 함침시키는 강화막을 제조하였고, 기본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강화막은 매우 높은 수소이온전도도(${\sim}~0.5S\;cm^{-1}@90^{\circ}C$ in liquid water)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s (PFSAs) have been widely as solid electrolyte material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since they exhibit excellent chemical durability under their harsh application conditions as well as good proton conductivity. Even PFSA materials, however, su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PFSA 에멀젼을 다공성 PTFE 지지체 필름(support film)으로 함침(pore-filling)시켜 제조된 강화막을 통해 연료전지 구동 시 발생되는 전해질의 내구성 저하문제를 해소코자 하였고, 이오노머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전해질막 가격을 낮춤과 동시에 높은 수소이온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는 PEM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함침을 위해 PTFE 지지체 필름의 기본특성을 이해코자 하는 것과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강화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코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특징적인 기공구조를 갖는 다공성 PTFE 지지체 필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와 상용성이 있는 나피온 이오노머를 함침시켜 제조된 강화막의 기본물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PFSA 에멀젼을 다공성 PTFE 지지체 필름(support film)으로 함침(pore-filling)시켜 제조된 강화막을 통해 연료전지 구동 시 발생되는 전해질의 내구성 저하문제를 해소코자 하였고, 이오노머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전해질막 가격을 낮춤과 동시에 높은 수소이온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는 PEM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함침을 위해 PTFE 지지체 필름의 기본특성을 이해코자 하는 것과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강화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코자 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4. (a) Surface and (b) cross-sectional morphologies of PTFE support film.
  • 이를 위해 IPA, IPA-water (3 : 1 vol%), DMAc, H2O의 네 가지 용매에 대한 solvent uptake 실험을 진행하였다. PTFE 지지체 필름의 소수성과 높은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선택된 용매에서 처리 시 PTFE의 치수변화는 거의 없으며, 기공부피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용매처리 후 PTFE의 중량변화는 흡수된 용매의 중량과 직접 대응된다. 다시 말해, PTFE 지지체 필름의 solvent uptake는 선택된 용매의 밀도에 비례해서 증가하게 된다.
  • 1. The concept of pore-filling membran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TFE 기공의 특성은? 2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PTFE 지지체 필름의 기공특성을 보여준다. PTFE 기공은 bimodal 형태의 매우 좁은 기공분포를 가지며, 220 nm와 92 nm 크기의 기공이 각각 56%과 32% 존재한다. 이는 선정된 PTFE의 기공이 비교적 균일하게 제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로전지 구동조건에서 PEM의 낮은 함수율과 높은 치수안정성이 MEA의 안정적인 계면형성과 장기운전성능에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연료전지 구동조건에서의 PEM의 낮은 함수율과 높은 치수안정성 확보는 MEA의 안정적인 계면형성과 장기운전성능에 중요한 요소이다. PEM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 촉매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의 상대적으로 낮은 함수율로 인해, PEM과 전극층의 팽윤되는 정도의 차이를 유발한다. 이러한 팽윤도의 차이는 치수팽창이 PEM의 표면방향(length 및 width 방향)으로 주로 이루어질 경우 더욱 심각한 계면문제를 야기한다. Table 1은 나피온 강화막을 포함하여, 비교를 위해 사용된 나피온 에멀젼으로부터 제조된 Nafion recast막이나 Nafion 211막의 물에 대한 팽윤특성을 보여준다.
PFSA의단점은 무엇인가? PFSA는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한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주사슬과 말단에 수소이온전도성(proton conductivity)을 갖는 황산기(-SO3H)를 지닌 곁사슬(side chain)로 구성된다. PFSA의단점으로는 가격(Nafion® 212 기준 20만원/m2)이 비싸고, 중-고온(80~130oC)과 저습상태(~50% RH)에서 빠른 물의 증발로 인해 높은 수소이온전도도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전지 구동에 따라 PEM과 도포된 전극의 치수안정성 차이로 인한 층간 박리(delamination) 현상이 발생하여 장시간 전기화학적 내구성 확보가 어렵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 Bebin, M. Caravanier, and H. Galiano, "Nafion $^{(R)}$ /clay- $SO_3H$ membran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 J. Membr. Sci., 278, 35 (2006). 

  2. Y. Gao, G. P. Robertson, M. D. Guiver, G. Wang, X. Jian, S. D. Mikhailenko, X. Li, and S. Kaliaguine, "Sulfonated copoly (phthalazinone ether ketone nitrile) s as proton exchange membrane materials", J. Membr. Sci., 278, 26 (2006). 

  3. X. Shang, S. Tian, L. Kong, and Y. Me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fluorene- containing poly (arylene ether keton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J. Membr. Sci., 266, 94 (2005). 

  4. H. Li and M. Nogami, "Pore-controlled proton conducting silica films", Adv. Mater., 14, 912 (2002). 

  5. S.-L. Chen, K.-Q. Xu, and P. Dong, "Preparation of three-dimensionally ordered inorganic/organic bi-continuous composite proton conducting membranes", Chem. Mater., 17, 5880 (2005). 

  6. J. C. McKeen, Y. S. Yan, and M. E. Davis, "Proton conductivity of acid-functionalized zeolite beta, MCM-41, and MCM-48: effect of acid strength", Chem. Mater., 20, 5122 (2008). 

  7. R. Kannan, B. A. Kakade, and V. K. Pillai,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using Nafion based composite membranes with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Angew. Chem. Int. Ed., 47, 2653 (2008). 

  8. Y. S. Kim, F. Wang, M. Hickner, T. A. Zawodzinski, and J. E. McGrath,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teropolyacid ( $H_3PW_{12}O_{40}$ )/directly polymerized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 composite membranes for higher temperature fuel cell applications", J. Membr. Sci., 212, 263 (2003). 

  9. M. Ponce, L. Prado, B. Ruffmann, K. Richau, R. Mohr, and S. Nunes, "Reduction of methanol permeability in polyetherketone-heteropolyacid membranes", J. Membr. Sci., 217, 5 (2003). 

  10. D. J. Kim and S. Y. Nam, "Research trend of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Membr. J., 22, 155 (2012). 

  11. D. Wu, S. J. Paddison, J. A. Elliott, and S. J. Hamrock, "Mesoscale modeling of hydrated morphologies of 3M perfluorosulfonic acid-based fuel cell electrolytes", Langmuir, 26, 14308 (2010). 

  12. C. H. Lee, K.-S. Lee, O. Lane, J. E. McGrath, Y. Chen, S. Wi, S. Y. Lee, and Y. M. Lee, "Solvent-assisted thermal annealing of di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random copolymers for low humidity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RSC Adv., 2, 1025 (2012). 

  13. G. H. Li, C. H. Lee, Y. M. Lee, and C. G. Cho, "Preparation of poly (vinyl phosphate-b-styrene) copolymers and its blend with PPO as proton exchange membrane for DMFC applications", Solid State Ionics, 177, 1083 (2006). 

  14. T. Yamaguchi, F. Miyata, and S.-I. Naka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ith a pore filling structure for a direct methanol fuel cell", Adv. Mater., 15, 1198 (2003). 

  15. M. Watanabe, H. Uchida, Y. Seki, M. Emori, and P. Stonehart, "Self-humidify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J. Electrochem. Soc., 143, 3847 (1996). 

  16. B. Baradie, J. Dodelet, and D. Guay, "Hybrid Nafion $^{(R)}$ -inorganic membrane with potential application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 Electroanal. Chem., 489, 101 (2000). 

  17. C. Yang, S. Srinivasan, A. Arico, P. Creti, V. Baglio, and V. Antonucci, "Composite Nafion/zirconium phospha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operation at high temperature", Electrochem. Solid-State Lett., 4, A31 (2001). 

  18. N. Miyake, J. Wainright, and R. Savinell, "Evaluation of a sol-gel derived Nafion/silica hybrid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II. Methanol uptake and methanol permeability", J. Electrochem. Soc., 148, A905 (2001). 

  19. Y. M. Lee and H. B. Park, "Development of Membrane Material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Membr. J., 10, 103 (2000). 

  20. D. Lee and S. Hwang, "Effect of loading and distributions of Nafion ionomer in the catalyst layer for PEMFCs", Int. J. Hydrogen Energ., 33, 2790 (2008). 

  21. M. Inaba, T. Kinumoto, M. Kiriake, R. Umebayashi, A. Tasaka, and Z. Ogumi, "Gas crossover and membrane degradation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ElElectrochim. Acta, 51, 5746 (2006). 

  22. J. Park, M. Shin, S. Sekhon, Y. Choi, and T. Yang, "Effect of annealing on Nafion recast membranes containing ionic liquids", J. Korean Electrochem. Soc., 14, 9 (2011). 

  23. http://www.novocell.ind.br/en/produtos/componentes/membranas-nafion 

  24. http://en.wikipedia.org/wiki/Polytetrafluoroethylene 

  25. D. Yoshikawa, R. p. N. Nair, and H. Taguchi, "Performance of a ceramic fiber reinforced polymer membrane as electrolyte in direct methanol fuel cell", Membr. J., 14, 53 (2004). 

  26. C. H. Lee, H. B. Park, Y. M. Lee, and R. D. Lee, "Importance of proton conductivity measurement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pplication", Ind. Eng. Chem. Res., 44, 7617 (2005). 

  27. L. A. Zook and J. Leddy, "Density and solubility of Nafion: recast, annealed, and commercial films", Anal. Chem., 68, 379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