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빔 증착을 위한 소결체 지르코니아의 열충격 저항성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Shock Resistance of Sintered Zirconia for Electron Beam Deposition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9 no.3, 2015년, pp.83 - 88  

오윤석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한윤수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채정민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김성원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이성민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김형태 (Engineering Ceramic Team, Icheon Branch,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안종기 (Core Technology Group, Power Systems R&D Center, Power System Division, Samsung Techwin) ,  김태형 (Core Technology Group, Power Systems R&D Center, Power System Division, Samsung Techwin) ,  김동훈 (The 4th R&D Institut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차폐 코팅(Thermal Barrier Coating) 기술의 하나로 연구되는 전자빔(EB, Electron Beam) 증착에 사용되는 코팅재료는 증착 공정 중에 고출력의 전자빔이 조사되기 때문에, 균일코팅을 위해서는 증착 중 코팅재료의 형상유지 및 안정한 융탕 형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밀도와 미세구조를 갖춘 잉곳(Ingot) 형태의 코팅소스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8 wt%의 이트리아($Y_2O_3$)가 안정화제로 첨가된 지르코니아(8YSZ) 조성을 활용하여, 고출력 전자빔 조사환경에 사용가능한 잉곳제조를 위해 최적의 원료분말 조건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잉곳시료들에 대한 전자빔 조사 시, 수십 마이크론과 수십 나노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된 혼합형 분말로 제조된 잉곳의 경우, 나노크기의 분말만으로 제조된 경우보다 향상된 열충격 저항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ting materials used in the electron beam (EB) deposition method, which is being studied as one of the fabrication methods of thermal barrier coating, are exposed to high power electron beam at focused area during the EB deposition. Therefore the coating source for EB process is needed to form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와 같은 잉곳 형태의 코팅소스는 전자빔 조사 초기단계에서 발생되는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충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밀도수준과 구조 안정성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잉곳 표면에서의 균일한 융탕 형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의 8 wt%(4 mol%) YSZ 조성을 선택하여 원료분말의 다양한 입도조건 및 그에 따른 성형, 열처리 조건 변화를 통하여 고출력의 전자빔 조사에 대응 가능한 잉곳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잉곳 시료들에 대하여 미세구조 및 밀도 수준을 분석하고 전자빔 조사 시험을 통해 안정한 융탕 형성여부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차폐 코팅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열차폐 코팅기술은 고온, 고압 및 부식·침식과 같은 극한의 작동환경에 노출되는 발전용 터빈, 항공기용 터빈엔진 등에 사용되는 금속재 부품의 성능 유지 및 요구수명을 보증하기 위한 대표적인 세라믹 코팅기술의 하나이다. 열차폐 코팅을 구성하는 요소는 초합금의 기판재질과 유사한 조직과 성분을 가진 금속계의 본드코팅(bond co ating)과 세라믹 소재의 탑코팅(top coating)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탑코팅은 고온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낮은 열전도성에 의한 열차단 성능과 함께 화학적 열화를 포함한 고온 안정성이 요구된다.
열차폐 코팅기술이란 무엇인가 열차폐 코팅기술은 고온, 고압 및 부식·침식과 같은 극한의 작동환경에 노출되는 발전용 터빈, 항공기용 터빈엔진 등에 사용되는 금속재 부품의 성능 유지 및 요구수명을 보증하기 위한 대표적인 세라믹 코팅기술의 하나이다. 열차폐 코팅을 구성하는 요소는 초합금의 기판재질과 유사한 조직과 성분을 가진 금속계의 본드코팅(bond co ating)과 세라믹 소재의 탑코팅(top coating)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차폐 코팅의 구성 요소 중 탑코팅은 어떠한 것이 요구되는가 열차폐 코팅을 구성하는 요소는 초합금의 기판재질과 유사한 조직과 성분을 가진 금속계의 본드코팅(bond co ating)과 세라믹 소재의 탑코팅(top coating)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탑코팅은 고온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낮은 열전도성에 의한 열차단 성능과 함께 화학적 열화를 포함한 고온 안정성이 요구된다. 열차폐 코팅이 개발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와 같은 탑코팅 소재로서는 지르코니아(ZrO2)가 대표적으로 개발되어 상용화에 이르러 왔으며, 특히 6~8 w t% (4 mol%)의 이트리아를 안정화제로 사용하는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8YSZ) 소재가 가장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vans, A.G., Clarke, D.R. and Levi, C.G., "The Influence of Oxides on the Performance of Advanced Gas Turbine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Vol. 28, No. 7, pp. 1405-1419, 2008. 

  2. Clarke, D.R. and Levi, C.G., "Materials Design for the Next Generation Thermal Barrier Coatings,"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Vol. 33, No. 1, pp. 383-417, 2003. 

  3. Levi, C.G., "Emerging Materials and Processes for Thermal Barrier Systems," Current Opinion in Solid State and Materials Science, Vol. 8, No. 1, pp. 77-91, 2004. 

  4. Ren, X. and Pan, W.,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temperature-degraded Yttria-stabilized Zirconia," Acta Materialia, Vol. 69, pp. 397-406, 2014. 

  5. Evans, H.E., "Oxidation failure of TBC Systems: An Assessment of Mechanisms," Surface & Coatings Technology, Vol. 206, No. 7, pp. 1512-1521, 2011. 

  6. Pan, W., Phillpot, S.R., Wan, C., Chernatynskiy, A. and Qu, Z., "Low Thermal Conductivity Oxides," MRS Bulletin, Vol. 37, No. 10, pp. 917-922, 2012. 

  7. Wolfe, D.E., Singh, J., Miller, R.A., Eldridge, J.I. and Zhu, D.M., "Tailored Microstructure of EB-PVD 8YSZ Thermal Barrier Coatings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Thermal Reflectivity for Turbine Applications," Surface & Coatings Technology, Vol. 190, No. 1, pp. 1321-1349, 2005. 

  8. Schulz, U., Fritscher, K. and Peters, M., "EB-PVD Y203- and CeO2/Y203-stabilized Zirconia Thermal Barrier Coatings - Crystal Habit and Phase Composition,"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Vol. 82, No. 3, pp. 259-269, 1996. 

  9. Schulz, U., "Phase Transformation in EB PVD Yttria Partially Stabilized Zirconia Thermal Barrier Coatings during Annealing,"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Vol. 83, No. 4, pp. 904-910, 2000. 

  10. Nicholls, J.R., Lawson, K.J., Johnstone, A. and Rickerby, D.S., "Methods to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B-PVD TBCs,"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Vol. 151-152, pp. 383-39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