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융복합적 검증 웰니스 구성요소가 웰니스 상태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Wellness Components on Individuals' Wellness Status for Wellness Convergence System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381 - 391  

최문종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동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강원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김상현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은 건강에 대한 내적 생각을 수동적 형태에서 역동적, 적극적 상태로 생각의 전황을 이루고 있다. 이에 웰니스(wellness)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웰니스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웰니스 상태를 측정하는 지수(index)개발 정도로 한정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직업적 웰니스가 직장인들의 웰니스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총 49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로 Partial Least Square(PLS)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가지 웰니스 구성요소 모두 웰니스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웰니스 융복합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individual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health has been changed from passive to active and dynamic way of thinking. This trend has made attention to wellness more interesting. However, prior studies regarding wellness have been limited in developing indices to measure status of individu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웰니스 구성요소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직업적 웰니스를 제안하고 이 요소들이 개인의 웰니스 상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분석 결과 5가지 웰니스 구성 요소 모두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웰니스의 정의를 바탕으로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을 찾아 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웰니스 구성요소들이 근로자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고,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요소 도출은 매우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 상태를 결정 변수로 정하여 단순히 웰니스 구성요소와 웰니스 상태의 직접적 효과만 살펴보았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웰니스 구성요소와 웰니스 상태를 매개 하는 요소 혹은 5 가지 요소와 웰니스 상태의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 시키는 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웰니스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갖고 있다. 이러한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요인은 사내에 사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웰니스 증진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시스템과 기존의 사내 비즈니스에 필요한 정보시스템과 결합하여 지속적인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근로자의 삶의 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는 곧 각 개인들이 속한 커뮤니티 환경에서 웰니스 구성요소가 가지는 중요성 정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제 5가지 웰니스 요소 별 어느 부분에 초점을 두어서 개인의 웰니스 상태를 증진 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마지막으로, 본 실증연구를 통해 제시된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자료는 실제 기업에서 사원들을 위한 웰니스 증진 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어 그동안 직장인들에게 필요한 웰니스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여도 웰니스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으므로, 관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이나 개인에게 적정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웰니스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신체적 상태만을 측정하여 개인의 건강상태만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의료정보 시스템의 관점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건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웰니스 상태 결정을 위해, 정신적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인지적 요인, 직업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개인화된 건강증진에 필요한 웰니스 상태결정을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Fig.

가설 설정

  • H1 : 신체적 웰니스는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정서적 웰니스는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인지적 웰니스는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사회적 웰니스는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직업적 웰니스는 웰니스 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웰니스를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그러나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자들이 ‘삶의 질, 주관적 안녕 혹은 웰빙, 행복, 생활만족도’이란 용어를 혼용하여 쓰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를 “건강의 개념에 신체, 정신, 영성이 서로 유기적으로 통합된 안녕(well-being)과 최적의 건강(optimal health)을 향한 삶의 방식”으로 정의하였다.
웰니스의 정의나 측정을 위한 구성요소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웰니스의 정의나 측정을 위한 구성요소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웰니스의 다차원적 성격 때문이다. 웰니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주관적 지수를 모두 이용하여 측정해야 한다[11].
Laffety(1979), Greenberg(1985), Depken(1994), Adams et al.(1997)의 연구에서 웰니스의 구성요소로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Laffety(1979), Greenberg(1985), Depken(1994), Adams et al.(1997)의 연구에서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영적구성 요소를 제시하였으며[13, 14, 15], Reger et al.(2000)은 상기 5가지 구성요소이외에 환경적 부분을, Anspaugh (1995)와 Travis & Ryan(2004)는 환경적 부분과 직업적 부분을 추가하였다[16,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yers, J. E., Sweeney, T. J., & Witmer, M., A holistic model of wellness, Retrieved from. www.mindgarden.com/products/wells.htm, 2005 

  2. Rickhi, B., & Aung, S., Wellness is state of mind, body and spiri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Health Affiliate of the Canadian Health Network, 2006. 

  3. Ardell, D., What is wellness? Ardell Wellness Report(69th ed.), Winter, p.1, 2005. 

  4. Adams, T. The power of perceptions: Measuring wellness in a globally acceptable, philosophically consistent way. Wellness Management, 2003. 

  5. Dunn, H. L., High-level wellness. Thorofare: NJ: Charles B. Slack, 1977. 

  6. Larson, J. S., The conceptualization of health.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Vol. 56, pp. 123-136, 1999. 

  7. Miller, G., & Foster, L. T., Critical synthesis of wellness literature, University of Victoria, 2010. 

  8. Diener, E., Wirtz, D., Biswas-Diener, R., Tov, W., Kim-Prieto, C., Choi, D., & Oishi, S., New measures of well-being: Flourishing an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In E. Diener (ed.). Assessing Well-Being: The Collected Works of Ed Diener, Social Indicators Research Series 39, 2009. 

  9. OECD,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OECD Publishing, 2013. 

  10. Veenhoven, R., Measures of gross national happiness, Is happiness measurable and what do those measures mean for policy? International OECD Conference Rome, 2-3 April 2007. 

  11. Cummins, R., Woerner, J., Gibson, A., Lai, L., Weinberg, M., & Collard, J., Australian Unity Wellbeing Index Survey 19 The School of Psychology and The Australian Centre on Quality of Life, Deakin University; and Australian Unity Limited, 2009. 

  12. Choi, M-J., Lee, D-H., & Ahn, H-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wellness,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salaried pers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597-606, 2014. 

  13. Depken, D., Wellness through the lens of gender: A paradigm shift. Wellness Perspectives: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Vol. 70, pp. 54-69, 1994. 

  14. Greenberg, J. S., Health and wellness: A conceptual differenti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Vol. 55, pp. 403-406, 1985. 

  15. Adams, T., Bezner, J., & Steinhardt, M.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perceived wellness: Integrating balance across and within dimensions.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 11, No. 3, 208-218, 1997. 

  16. Anspaugh, D. J., Personal wellness assessments and lifestyle change.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 26, No. 3, pp. 188-189, 1995. 

  17. Travis, J. W., & Ryan, R. S., Wellness workbook (3rd ed.). Berkeley: Ten Speed Press, 2004. 

  18. Cooper, K. H., An aerobics conditioning program for the Fort Worth, Texas, School District. Research Quarterly, Vol. 46, No. 3, pp. 345-350, 1975. 

  19. Cooper, K. H., The aerobics way. New York: Evans, 1977. 

  20. Ryan, R. M., & Deci, E. L.,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2, pp. 141-166, 2001. 

  21. Case, A. & Paxson, C., Children''s health and social mobility. The Future of Children. Vol. 16, No. 2, pp. 151-173, 2006. 

  22. Hatfield, T., & Hatfield, S.R., As if your life depended on it: Promoting cognitive development to promote wellnes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71, pp. 164-167, 1992. 

  23. Renger, R. F., Midyett, S. J., Mas, F. G., Erin, T. E., McDermott, H. M., Papernfuss, R. L., Eichling, P. S., Baker, D. H., Johnson, K. A., & Hewitt, M. J., Optimal iving rofile: An inventory to assess health and welln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24, No. 6, pp. 403-412, 2000. 

  24. Anspaugh, D., Hamrick, M., & Rosato, F.,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s(6thed.). Boston: McGrawHill, 2004. 

  25. Durlak, J., Health promotion as a strategy in primary prevention. In D. Cicchetti, J. Rappaport, I. Sandler, & R. Weissberg (Eds.), The promotion of well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21--241). Washington, DC: Child Welfare League Association Press, 2000. 

  26. Crose, R., Nicholas, D. R., Gobble, D. C., & Frank, B., Gender and wellness: A multidimensional systems model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77, pp. 149-156, 1992. 

  27. Ryff, C. D., & Singer, B. H., Best news yet on the six-factor model of well-being. Social Science Research, Vol. 35, pp. 1103-1119, 2006. 

  28. Helliwell, J. F., Well-being, social capital and public policy: What''s New?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Cambridge: MA, 2005. 

  29.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No. 1, pp. 5-14, 2000. 

  30. May, D. Determinants of well-being. 1-7.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and Newfoundland and Labrador Statistics Agency, 2007. 

  31. Leafgren, F. Being a man can be hazardous to your health: Life-styles issues. In D. Moore & F. Leafgren (Ed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for men in conflict (pp. 265-311). Alexandria: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0. 

  32. Kim, S-K. Development of lifestyle assessment inventory for wellness of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9, No.4, pp. 963-982, 2000. 

  33. Tabachnick, B.G., & Fidell, L.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NY: HarperCollins, 1996. 

  34. Williams, B., Brown, T., & Onsman,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Vol. 8, No. 3, pp. 1-13, 2012. 

  35. Kim, M-S., & Han, Y-S.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for Korean, Survey Research, Vol. 7, No. 2, pp.1-38, 2006. 

  36. Ware, J. E., Jr., Kosinski, M., Bjorner, J. B., Turner-Bowker, D. M., Gandek, B., & Maruish, M. E., SF-36v2 Health Survey: Administration guide for clinical trial investigators.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009. 

  37. Witmer, J. M., & Sweeney, T. J., A holistic model for wellness and prevention over the life spa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71, pp. 140-148, 1992. 

  38. Fornell, C., &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1, pp. 39-50, 1981. 

  39. Carmines, E. G., & Richard A. Zeller, R. A.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